▒ 완당김정희 ▒

초의에게 주다[與草衣][2]

천하한량 2007. 3. 9. 18:01
초의에게 주다[與草衣][2]

해와 달이 흘러흘러 세상에는 또 한 해의 봄 가을이 지났구려. 사의 무리들은 마땅히 영원토록 윤겁(輪劫)을 벗어나 굴러가지 않는 땅에 처하고 싶을 거요.
그러나 평이한 데 거하여 운명을 기다리며 사는 것은 순리요 죽는 것은 편안이라 여기는 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들의 하고 싶어하는 짓이 왜 그리 가쁘고 가쁘지요. 도리어 일이 많은 게 아니겠소.
일부러 찾아 주었는데 만나지 못하여 자못 서글프고 허전하더니 뒤를 이어 선함(禪椷)이 손 에 들어오니 글자 글자가 혜주(慧珠)마냥 온 방을 밝게 비추어 너무도 피상(皮相)적인 언어로서 반나절의 한가를 빼앗는 그러한 비교가 아니다마다요. 반가운 나머지 칭송이 뒤따르외다.
해로사(海老師)도 무양한지요. 밥을 먹을 적마다 잊혀지지 않는데 그 늙은이는 반드시 나를 잊은 지가 오래일 거요. 무아무인(無我無人)이란 네 글자를 대예(大隷)로 써서 보내니 행여 나를 위해 전달해 주면 어떻겠소. 이미 없을진대 잊음 역시 붙을 데 없을 게 아니오. 이 때문에 무망(無忘)이 아니겠소. 이 뜻으로서 고증(叩證)하여 노사에게 전하여 한번 웃게 하는 것도 무방하지 않은가요. 운백복(運百福)의 세 대자는 사 자신이 거두어 갖도록 하오. 스스로 운전하고 또 남을 운전하는 것을 간절히 비는 바외다. 열 꼭지의 향을 아울러 보내니 청공(淸供)에 대비하기 바라며 하인을 세워놓고서 간신히 적으외다.

[주D-001]윤겁(輪劫) : 순환하는 겁을 말함. 겁(劫)은 불경에 천지의 일성 일패(一成一敗)를 말하 여 1겁이라 이름.
[주D-002]사는 것은……자 : 장재(張載) 《서명(西銘)》의 "存吾順事 沒吾寧也"에서 나온 말임.

'▒ 완당김정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의에게 주다[與草衣][4]  (0) 2007.03.09
초의에게 주다[與草衣][3]  (0) 2007.03.09
초의에게 주다[與草衣][1]  (0) 2007.03.09
백파에게 주다[與白坡][3]  (0) 2007.03.09
백파에게 주다[與白坡][2]  (0) 200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