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심동암 희순 에게 주다[與沈桐庵 熙淳][3]

천하한량 2007. 3. 9. 04:05
심동암 희순 에게 주다[與沈桐庵 熙淳][3]

어제 정겨운 회답을 받아서 매우 흐뭇한데, 하물며 강은 비고 해는 다가는 이때에 멀리 보내주신 방화(芳華)야말로 음지에 볕이 들어 난율(暖律)을 돌릴 만하게 해주니, 묵고 쓸쓸한 막바지 길에도 이러한 한가닥 희환(喜歡)의 연(緣)이 있단 말입니까?
인의첩(因宜帖)은 모축(摹縮 원형을 줄여 모함)으로써 장점을 보이지만 그러나 지난번에 말한 경룡종(景龍鍾)은 과연 축본(縮本)이어서 이상하며 이에 그칠 뿐만 아니라 상·주(商周)의 옛 종정문(鍾鼎文) 같은 것도 다 진면목을 잃었고, 저서(褚書)의 맹법사비(孟法師碑)도 전혀 저서의 수경(瘦勁)하고 고직(古直)한 태(態)가 없으니 어찌하지요?
영형(令兄)의 임(臨)한 것을 보고 어찌하여 이와 같이 되었나 생각하며 그 까닭을 몰랐더니, 급기야 이 원본을 보니 여기서 빗나가게 된 것이군요. 그러기에 임서(臨書)나 모서(摹書)에 있어서는 반드시 선본(善本)을 가려야만 되는 것이외다.
대개 영형의 필치는 구(歐)와 더불어 서로 가까우며 저법(褚法)에 이르러는 억지로 할 수 없는 것이니, 반드시 자신의 가까운 곳에서부터 들어가야만 성공이 쉬운 것이지요. 이는 자연의 형세라 마치 물은 젖은 데로 흐르고, 불은 마른 데로 나아가, 각기 제 유(類)를 따르는 것과 같은 것이외다. 행여 하나의 구비(歐碑) 원탁 선본(原拓善本)을 구득하여 시험삼아 손을 들여 놓는 것이 좋을 것 같구려.
구비로는 예천명(醴泉銘)이 있고, 또 황보비(皇甫碑), 화도사탑(化度寺塔), 우공공비(虞恭公碑) 등의 너댓 종류가 있으며, 또 당비(唐碑) 중에 구(歐)의 체가 있는 규봉비(圭峯碑) 같은 것도 역시 길 잡아 나아가기에는[津逮] 대단히 좋겠지요. 이것이 비록 소도(小道)이기는 하나 영형(令兄)의 재성(才性)이 시속의 무리와는 특별히 다른 점이 있는데, 이와 같은 천부(天賦)를 가지고 무엇 때문에 내던지고 거둬들이지 않는 거지요. 후배들 중에도 수주형벽(隋珠荊璧)의 좋은 자질을 지닌 사람이 없지는 않지만 형은 그 중에서도 으뜸이외다. 행여 노력하여 가찬(加餐)하시오. 남은 말은 뒤로 미루고 갖추지 못하외다.

[주D-001]방화(芳華) : 서찰의 미칭임.
[주D-002]난율(暖律) : 추율(鄒律)이라고도 함. 추연(鄒衍)은 제(齊) 임치인(臨淄人)인데 연 소왕(燕昭王)이 갈석궁(碣石宮)을 짓고 모셔와 사사(師事)하였음. 일찍이 북방에 땅이 있어 아름다우나 추워서 오곡(五穀)이 나지 않으므로 추연이 율(律)을 불어 따뜻하게 하니, 화서(禾黍)가 자라났다고 함. 《列子 湯問》
[주D-003]규봉비(圭峯碑) : 규봉정혜선사비(圭峯定慧禪師碑)를 이름인데, 섬서(陝西) 호현(鄠縣)에 있다. 정서(正書)로 36항이요, 각 항이 65자이며, 액(額)에는 전서(篆書)가 있음.
[주D-004]길 잡아 나아가기에는[津逮] : 《수경(水經)》하수(河水)의 주에 "현암(懸巖)의 속에 석실(石室)이 많고 실(室) 안에는 책이 쌓여 있는데 세상 선비들이 그 진(津)에 미쳐간 자가 드물다." 하였음.
[주D-005]수주형벽(隋珠荊璧) : 수후(隋侯)의 주와 화씨(和氏)의 벽을 이름.
[주D-006]가찬(加餐) : 찬반(餐飯)을 더하여 건강에 유의하라는 말임. 《후한서(後漢書)》환영전(桓榮傳)에 "태자가 편지로 아뢰기를 '願君愼疾加餐 重愛玉體'라고 하였다." 하였고, 고시(古詩)에 "上有加餐飯 下有長相憶"이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