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선생글 ▒

서(序) 송 수정장로서(送水精長老序) -이곡(李穀) -

천하한량 2007. 2. 10. 18:25

서(序)
 
 
송 수정장로서(送水精長老序)
 

이곡(李穀)

공자가 돌아가자 부도(浮圖)씨가 나와서 유(儒)와 함께 대립하였는데, 그 교(敎)가 공적(空寂)하고 고원하여, 세상의 생리와 소활하기 때문에 공자를 위하는 자는 배척하게 된다. 당 나라의 한 이부(韓吏部 한유)같은 이가 더욱 대단하였다. 그러나 그 글을 보면 간혹 부도와 더불어 노닐어 좋은 정이 언어의 사이에 자주 나타났으니, 아마도 그 사람들이 모두 뜻이 맑고 행실이 조촐하며, 영화와 욕됨을 무시하고, 죽고 삶을 한결같이 하여 잃어버릴까 근심하여 이욕에 골몰하는 자보다 만 배나 높이 솟아났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나는 그 시를 외고 그 글을 읽고서 그의 사람됨을 상상할 수 있었다.
지금 수공(修公)이 그 머리털을 깎으면서부터 족적이 한 번도 명리(名利)의 길을 걷지 아니하고, 산수 가운데 오락가락 하며 용모가 깨끗하고 장구(章句)가 청절하니, 비록 한문공(韓文公)이 다시 난다 하더라도 반드시 더불어 사귐을 끊지는 않을 것이다. 나같은 불초는 높은 풍도를 대하매 오히려 진작 알지 못한 것이 한인데, 하물며 어느 겨를에 그 사이를 따지게 되리오. 아, 사귀 날이 얼마 되지 않는데, 갑자기 영남을 떠난다고 한다. 더구나 영남의 경치는 동국에 제일을 차지하여 두류산(頭流山)이 생겼고, 두류산에 있는 수정사(水精寺)는 큰 총림(叢林)이다. 거기에 석장(錫杖)을 머무는 이는 불교를 두루 통하여 뭇 사람이 추대하는 자가 아니면 될 수 없다. 이 걸음은 오직 산수를 즐기는 본뜻에 적당할 뿐 아니라, 실로 불자(佛子)의 마음대로 도를 행할 수 있는 절호의 시기라 하겠다. 우리 당의 구구한 이별의 한이야 어찌 족히 돌아볼 것이 있으랴. 이에 동녘 들에 전송의 자리를 펴고 운자를 나누고 시를 지어 나로 하여금 서문을 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