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자료실 ▒

늦봄의 단상

천하한량 2017. 4. 13. 14:07
늦봄의 단상

창고를 점고하다 보니 ‘유춘헌’이란 편액이 있었는데, 이는 조부가 쓰신 글씨였다. 어느 곳에 걸려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지금은 창고에 방치된 물건이 되었기에 먹을 다시 칠해서 향설헌 앞쪽 문미에 걸었다.[閱府藏。有留春軒扁額。是王考手筆也。未知揭於何處。而今爲庫中之物也。改繪采揭于香雪軒前楣。]

어느 누정의 편액을 ‘유춘’이라 했으며
조부님 글씨가 먼지에 묻힌 세월이 몇 해나 됐을까
이렇게 내가 편액을 발견하게 된 것 우연이 아니어라
처마 끝에 높이 달고 보니 먹빛이 새롭구나

3월 꾀꼬리가 노래하는 어느 새벽
꽃이 핀 지 얼마 안 됐건만 또 꽃이 지네
향설헌 문미에 ‘유춘’이란 편액을 새로 거니
이제 봄빛이 느릿느릿 흘러가겠구나

何樓眉額號留春하루미액호류춘
手澤埋深幾歲塵수택매심기세진
顯晦由來非偶爾현회유래비우이
檐端高揭墨花新첨단고게묵화신

三月流鶯啼曉暉삼월류앵제효휘
花開未幾又花飛화개미기우화비
軒眉新揭留春字헌미신게류춘자
贏得韶光緩緩歸영득소광완완귀

- 홍경모(洪敬謨, 1774~1851), 『관암전서(冠巖全書)』 제3책

해설
   안변(安邊) 관아에 누정이 있었다. 이름은 향설헌(香雪軒)으로,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이 부사(府使)로 재직할 당시에 관아 건물을 지었는데, 그 뜰에 배나무를 심고 누정을 지은 후 이름을 그렇게 붙였다고 했다. 이백여 년 후 부사가 된 홍경모가 배꽃이 만발한 어느 봄날 이곳에서 노닐었는데, 그때 지은 시의 주석에 이런 내력이 적혀 있다. 그리고 그 봄이 끝나가는 3월 어느 날 안변 관아의 창고에서 홍경모는 선조부(先祖父)인 홍양호(洪良浩, 1724~1802)가 직접 쓴 편액을 발견하게 된다.

 

   그때는 한창 만발해 있던 꽃잎이 져가고 있던 차였다. 꽃잎이 한 장씩 땅에 떨어질 때마다 그의 마음속에서 봄이 한 걸음씩 떠나가고 있었다. 그에게 꽃은 곧 봄이었다. 변심한 정인이라면 소매라도 붙들고 잡아보련만 꽃은, 봄은 쉽사리 잡히지 않았다. 그런 그에게 나타난 것이 바로 선조부의 친필 편액이었으니, 어쩌면 하늘이 그를 기다려 편액이 나타나게 한 뜻이 있었을까. 편액을 보니, 같은 피를 가진 분이라 그의 마음을 먼저 알았던 것일까. 봄이 떠나가는 것을 만류하고 싶어 하는 그의 마음과 꼭 같은 뜻의 글귀였다.

 

   하긴 그와 선조부는 여느 다른 조손(祖孫) 사이와는 달랐다. 겨우 세 살 때 부친을 여읜 그에게 선조부는 때론 엄한 아버지요, 때론 자애로운 할아버지였으리라. 문형(文衡)을 지낸 선조부는 자칫 고아라고 괄시당할 수 있었을 그의 든든한 뒷배였을 터였다. 그런 분을 이십 대 후반에 잃고 또 십여 년이 흘러 그도 어느덧 중년의 나이가 되었다.

 

   이젠 무감각해질 만도 하건만 꽃이, 봄이, 그리고 세월이 떠나가는 것이 아쉽고 서글프다. 아니, 그런 마음은 오히려 더해만 간다. 선조부가 저 편액을 몇 세 때 썼는지 모르겠지만, 선조부가 세상을 떠날 당시 홍안의 청년이었던 그도 어느덧 손주를 볼 나이가 되었다. 선조부의 마음을 알 것 같다. 편액을 새로 칠하고 이화우(梨花雨) 흩날리는 향설헌에 높이 건다. 배꽃이 비 오듯 떨어지는 그 슬프도록 눈부신 광경 앞에 눈앞이 아득해진다. 시간이 느릿느릿 흘러가는 듯한 기분이 든다. 서글프기도 하지만 든든하기도 했으리라.

 

   이제 사람은 가고 향설헌은 북녘 땅에 있어 존재유무조차도 알 길이 없다. 그저 시 몇 줄만이 남아 그들의 봄을 증거 해 줄 뿐이다. 그렇다면 오늘 나의 이 봄은 무엇이 증거 해 줄 것인가. 내 마음인 듯 활짝 피었다 진 꽃잎을 바라보며 쓸쓸히 몇 줄 끄적여본다.
글쓴이강만문(姜萬文)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 한시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고나기는 쉬워도   (0) 2017.04.30
자식의 무덤 앞에서  (0) 2017.04.30
한강에서 뱃놀이하며[漢江泛舟]   (0) 2017.03.30
마흔 아홉, 늙어감에 대하여  (0) 2017.03.18
대취종필(大醉縱筆)  (0) 2017.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