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자료실 ▒

동지에 보는 봄

천하한량 2016. 12. 28. 04:35

내각에서 하교를 받들어 짓다[內閣應敎]

 

동짓날 풍광이 따사롭기 그만인데
제방 버들은 언제나 마음껏 피어날까
삼동의 쌓인 눈이 핍박하건 말건
희미하게 불어오는 양기는 막지 못해
가지 밖 여린 자태 눈에 보일 듯한데
잎눈의 싹틀 뜻 전혀 없진 않고말고
섣달에도 봄소식 새어 나오긴 하겠지만
봄 꾀꼬리 한창 울어댈 때를 기다리리

 

南至風光煖有餘남지풍광난유여
幾時堤柳任情舒기시제류임정서
從他積雪三冬逼종타적설삼동핍
不禁微陽一氣噓불금미양일기허
枝外嫩容如可見지외눈용여가견
葉心生意未全疏엽심생의미전소
縱然漏洩嘉平節종연루설가평절
猶待春鸎百囀初유대춘앵백전초

- 정약용(丁若鏞, 1762~1836),『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권1」

해설
   동지는 24절기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겨울에 속한다. 옛 선현들은 동지 다음날부터 해가 조금씩 길어지는 것으로 양의 기운이 움튼다는 사실에 주목하였고, 이것을 다섯 음효(陰爻) 아래에 하나의 양효(陽爻)가 생긴 주역(周易) '복괘(復卦)'의 형상으로 설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태양의 궤도가 가장 남쪽으로 내려가 있다고 하여 ‘남지(南至)’라고도 불렀다.

 

   이 시의 제목에 “11월에 ‘섣달 문턱 언덕 풍경 버들눈 피려 하네[岸容待臘將舒柳]’라는 구절을 시제로 내었다”라는 주가 붙어 있다. 이 구절은 당(唐)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소지(小至)」라는 시에 나오는 구절이다. 정조는 동짓날이면 문신들에게 이 구절을 시제로 내어 시험을 보이곤 하였다. 『일성록(日省錄)』 정조 13년 11월 기사에, 정약용이 초계문신으로서 이 시제에 답하여 이 시를 지어 수석을 차지하였다는 내용이 나온다.

 

   시인은 동짓날 제방의 버들을 통해, 지금은 비록 추운 겨울이지만 오래지 않아 어김없이 봄이 찾아오고 버들이 움을 틔우리라는 희망을 보였다. 눈이 두껍게 쌓인 겨울, 가장 음기가 강한 그 순간이 바로 양의 기운이 처음으로 싹트는 순간이요, 미약하지만 그 기운을 막을 수 없는 것이 우주의 섭리이다. 아직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가지는 이미 여린 자태를 품고 있고, 잎눈이 돋아나올 뜻도 없을 리가 없다. 섣달이면 이미 가지에는 봄빛이 새어 나오겠지만, 봄 꾀꼬리 울어대는 완연한 봄을 기다려 활짝 피어 날리는 버들 꽃을 만끽하리라 하였다.

 

   동지는 음기가 온통 가득한 세상에서 미약하게나마 새로 양기가 싹트는 날이다. 아무리 추위가 혹독하더라도 한 걸음씩 어김없이 다가오는 봄을 이기지 못하는 법이다. 이번 겨울 추위는 참으로 혹독하고 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다가오는 봄은 더욱 찬란할 것 같다. 그 봄은 어느 시인의 말처럼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일테니.
글쓴이정동화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 한시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자서 묘(伍子胥廟)  (0) 2017.02.02
대한 끝에 양춘 있다   (0) 2017.01.22
염치와 인지(仁智)  (0) 2016.11.10
걸인의 노래  (0) 2016.10.27
사치함에 대한 경계  (0) 2016.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