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대학살 [關東大虐殺] 1923, Japan
寺島村의 조선인 시체. 동북아역사재단
강덕상 재일한인역사자료관 관장이 입수해 2013년 8월 22일 동북아역사재단 학술대회에서 공개한 관동대지진 당시의 사진.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9분, 도쿄를 중심으로 한 관동 지역 이래에 진도 7.9급의 초강력 지진이 발생하였다. 불운하게도 점심 식사 준비로 인해 거의 전 가정에서 불을 때고 있던 시간대라서 지진의 여파는 곧바로 대화재로 이어졌고, 도쿄, 요코하마 지역을 비롯한 관동 지역 일대가 궤멸되다시피 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사망자, 행방 불명자가 14만 명, 이재민 340만 명에 달하는 엄청난 재난이었다. 그런데 재난의 혼란 속에 계엄령이 시행되었고, 사회 불안 속에서 유언비어가 난무하는 이상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일본 육군과 경찰은 이 지진을 이용, 날조된 유언(流言)을 퍼뜨려 무고한 한국인 수천 명을 학살하였다. 지진의 진원(震源)은 사가미만[相模灣:동경 139.3", 북위 35.2", 심도 40km]이었으나, 간토지방 전역과 시즈오카[靜岡)·야마나시[山梨] 두 현(縣)에도 큰 재해를 가져왔다. 매그니튜드 7.9, 최대진도 7이었다.
일본 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사망자 9만 9331명, 행방불명 4만 3476명, 가옥 전파(全破) 12만 8266동, 반파(半破) 12만 6233동, 소실(燒失) 44만 7128동, 유실(流失) 868동의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대도시인 도쿄·요코하마[橫濱]에서는 화재로 인한 피해가 대부분이었으며, 건물 붕괴로 인한 압사자(壓死者)는 도쿄에서 확인된 수가 2,000명 안팎이었으며, 화재에 의한 사망자는 6만 명에 달했다.
도쿄 혼조[本所]에 있는 육군 피복창 자리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피난하고 있었는데, 여기에 스미다강[隅田川] 쪽에서 세찬 바람이 불어 피난보따리에 불이 붙기 시작하여 4만 명이 소사하였다.
이 지진은 일본의 중심지인 도쿄와 요코하마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더욱 영향이 컸다. 더구나 제1차 세계대전 후 경제대공황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있던 일본은 이 재난으로 인하여 국가적인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지진 발생 다음날 발족한 야마모토 곤노효에[山本權兵衛] 내각은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 계엄령을 선포해야 했고 계엄령을 선포하기 위해서는 위기의식을 조성해야 했는데, 이 위기의식을 조성하는 데 재일한국인이 이용된 것이다.
즉,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는 유언비어를 조직적으로 유포시켜, 민심의 불안이 극도에 도달한 이날 오후 6시를 기하여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그리고 그들 당국자들은 유언비어의 전파에만 그치지 않고 그것을 민중에게 확신시키기 위하여 유언반(流言班), 지휘반, 실행반 등의 공작대를 조직하여 그들로 하여금 방화·독물투입·투탄(投彈) 등의 테러 행위를 감행시켜 그것이 마치 조선인들이 자행한 것처럼 조작하였다.
곳곳에서 민간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불시검문을 하면서 조선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하는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죽창이나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하였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하였다.
우선 조선식 복장을 한 이는 바로 살해당하였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신분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들을 식별해 내기 위해서 조선인에게 어려운 일본어 발음(한국어에 없는 어두유성음 및 종종 정확하게 발음되지 않는 장음 발음(撥音)등으로 이루어진) 「十五円五十銭」(じゅうごえんごじっせん)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
이 때,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외자 성을 강제당해 조선인으로 오인받은 아마미 제도 출신, 지방에서 도쿄로 와 살고 있었던 지방의 일본인(특히 도호쿠 출신)들도 발음상의 차이로 조선인으로 오인받고 살해당하는 등, 자경단의 광기는 상상을 초월할만큼 잔악했다.
일본 국민은 한국인 폭동설을 그대로 믿고, 그 보복책으로 각 지방별로 자경단(自警團)을 조직하였다.
그 수는 도쿄에 1,593, 가나가와[神奈川]에 603, 사이타마[埼玉]에 300, 지바[千葉]에 366, 이바라기[茨城]에 336, 군마[群馬]에 469, 기타 16, 합계 3,689개의 자경단이 조직되었다. 이리하여 군경과 자경단에 의한 한국인 대학살이 자행되었다.
학살된 한국인의 수는 확실하지 않으나,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는 저서 《압박과 학살》에서 2534명으로, 김승학(金承學)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6066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9월 3일에는 일본인 노동운동 지도자 히라사자와 게이시치[平澤計七] 등 9명이 가메이도[龜戶] 경찰서에 검거되어 학살되었고, 16일에는 오스기 사카에[大杉榮:사회주의의 거물]와 그의 처 이토 노에[伊藤野枝] 등이 헌병대위 아마카스 마사히코[甘粕正彦] 등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일본이 이 지진에서 입은 총피해액은 65억 엔이며, 그후 일본은 제도부흥심의회(帝都復興審議會)·부흥원 등을 설치, 재해복구에 노력했으나, 무고한 한국인을 학살한 일본 군벌의 잔악한 행위는 일본역사상 씻을 수 없는 오점으로 남았다.
학살당한 재일 조선인들에 대해, 지금까지 공식적인 조사는 한 번도 이루어진 적이 없다. 1923년 9월 10일 상해 임시정부가 일본 정부에 대해 학살 실태를 상세히 조사하여 알려줄 것을 요청했으나 일본 정부는 미동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일본 정부는 국제 적십자 조사를 빙자해 매장한 피학살자 유골을 파내 비밀리에 다른 곳에 매장하여 은폐했다. 요코하마에서는 시신을 바다에 버렸다.
일본인 오우치 리키(大內力)가 지진 당시 해군 친척으로부터 들은 바에 의하면 "함선을 타고 요코하마에 입항했는데 조선인 시신이 바다 위에 가득 떠 있어 그 위를 걸어갈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그로부터 반년 후, 고야스(子安) 해안 태풍으로 수백 구의 백골이 밀려왔는데, 경찰은 신고를 받고도 방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일본에서 간행된 당시 판결 자료집에 따르면, 1심 판결문 중 조선인 학살 관련 피고인은 모두 102명이었다. 이 중 81명에게 집행유예, 5명에게 무죄가 선고됐다.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16명이었다. 실형률이 고작 16.5%였다. 상고심에서 조선인 학살자의 최고 실형은 징역 2년 미만이었다.
경찰서 유치장에 검거돼 있던 조선인을 끌어내 살해한 후지오카(藤岡) 사건을 담당한 검사 가시다(樫田)는 법정에서 이렇게 말했다. "조선인을 죽인 것은 그렇다 쳐도 경찰서를 습격한 것은 무슨 까닭이냐? 평소에 경찰에 불만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 당시 경찰서 기물을 파손한 자에 대한 실형률은 조선인 살해 사건 실형률의 3배였다.
1심 판결문에서 확인되었던 조선인의 이름과 거주지·직업은 대심 판결문에서는 '성씨 불명의 조선인'으로 바뀌었다. 조선인 피학살자의 신원을 은폐하려 한 것이다. 현재 피학살 조선인 중 이름이라도 확인된 이는 80여명에 불과하다.
원문
http://terms.naver.com/
참고
https://ko.wikipedia.org/
http://blog.daum.net/
*
BR3 project http://www.br3project.com/
Blog - http://blog.naver.com/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
Instagram - https://instagram.com/
기획 Designersparty http://
'▒ 역사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운동 참가자 처형 사진 (0) | 2016.09.23 |
---|---|
정신대 [挺身隊, comfort women], Korea, 1940's (0) | 2016.09.23 |
유관순 시신을 담은 석유상자 1920 (0) | 2016.09.23 |
김개남 [金開男, 1853 ~ 1895] 외 2인의 목 (0) | 2016.09.23 |
'나라로서의 한국은 이번 주 사라진다' 뉴욕타임즈 1910년 8월 22일 (0) | 2016.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