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예절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 ▒ 유익한자료 ▒ 2007.03.29
독도와 백두산 이야기 한일협정이 물밑에서 논의되던 시기 일본은 한 명의 특사를 박정희에게 보낸다. 고토 마사유키...일본 육사의 박정희 선배이며 일본정계와 재계를 연결하던 최고의 우익 로비스트이자 다혈질적인 기질로 스스로를 쇼와 시대 최고의 사무라이라고 자칭하던 자이다. 거한의 체구와 특유의 거친 말투 그.. ▒ 유익한자료 ▒ 2007.03.27
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성씨의 발생근원은 정확한 기록이 없거니와 전해지는 자료도 많은 부분 소실(燒失)되어 상세히는 알 수 없으나 대략 중국 성씨 제도의 영향으로 고조선시대부터 왕족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부족 국가시대가 도래하면서 집단의 지배자가 생겨나게 되고 다른 부족과 구별 하기 위하여 .. ▒ 유익한자료 ▒ 2007.03.27
성과 본관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성씨와 본관 성씨란 본시 혈통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일종의 부호로서 혈연의 관계를 나타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을 무렵, 즉 씨족 중심을 벗어나 부족사회(部族社會), 또는 부족국가(部族國家)로 형성 발전하면서 서로의 가통을 호칭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장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은 .. ▒ 유익한자료 ▒ 2007.03.27
오행상생(五行相生)과 수휘(數彙) ■ 음양오행도 오행(五行)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상생(相生)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목(木) 상극(相剋) 토(土) 금(金) 수(水) 목(木) 화(火) 오방(五方) 동(東) 남(南) 중앙(中央) 서(西) 북(北) 오시(五時) 춘(春) 하(夏) 계하(季夏) 토용(土用) 추(秋) 동(東) 오기(五氣) 인애(仁愛) 강맹(剛猛) 관.. ▒ 유익한자료 ▒ 2007.03.27
간지(干支) 및 육갑(六甲) ■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이름 자(子) : 쥐 축(丑) : 소 인(寅) : 범 묘(卯) : 토끼 진(辰) : 용 사(巳) : 뱀 오(午) : 말 미(未) : 양 신(申) : 원숭이 유(酉) : 닭 술(戌) : 개 해(亥) : 돼지 ■ 간지(干支) 및 육갑(六甲) 간지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로 구별이 되는데 간(干)은 양(陽)에 속하고 지(支)는 .. ▒ 유익한자료 ▒ 2007.03.27
가훈으로 알맞은 문구들 가훈이란?.. 〔개 요〕 가계(家誡)·정훈(庭訓)·가규(家規)·가헌(家憲)·가의(家儀)·가학(家學)·가법(家法)·가범 이라고도 한다. 가정의 윤리적 지침으로서, 가족들이 지켜야 할 도덕적인 덕목을 간명하게 표현한 것이다. 가족의 구성원이나 후손들이 올바른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로 단란하고 행복.. ▒ 유익한자료 ▒ 2007.03.26
日常生活에서의 禮節 日常生活에서의 禮節 1. 夫婦間의 禮節 夫婦는 家族의 核이며, 大自然의 攝理에 의한 創造의 根源이다. 夫婦는 남으로 태어나고 자랐지만 마침내 한 몸이되 함께 자녀를 낳아 父母가 되고 한 家庭을 管理하는 家長이며 主婦이다. 그러므로 夫婦는 神聖하고 尊嚴하며 神秘스럽고 偉大한 것이다. 그 夫.. ▒ 유익한자료 ▒ 2007.03.26
한문의 기원은 한민족의 녹도문 한문의 기원은 한민족의 녹도문 < 최초로 문자를 만든 동이족(한민족) > - 한자의 원조인 갑골문은 중국이 아닌 동이족(배달민족)의 문자이다 - 일반적으로 한문은 중국인이 만든 중국의 문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한자의 원조는 황하유역의 <은나라>의 갑골문이라고 합니다. (최근들어.. ▒ 유익한자료 ▒ 2007.03.26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의 혈죽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의 혈죽 1861년(철종 12)∼1905년(광무 9). 시호는 충정(忠正), 본관은 여흥(驪興) 1878년 고종 15년 문과에 급제. 미국 공사로 있다가 1896년 고종 33년 2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례. 군부대신으로 있을 때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 등 여러 .. ▒ 유익한자료 ▒ 2007.03.26
손금으로 알아보는 운세 1. 손금의 종류 1.생명선 엄지와 검지의 사이에서 나와 엄지구와 손바닥의 중앙부에 우묵한 부분의 경계에서 아래로 달려 손목에 이르는 굵은 금을 말한다. 생명선은 수명의 장단과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가운데 제일 중요한 선일 것이다. 생명선이 굵고 게다가 깊고 길게 똑똑.. ▒ 유익한자료 ▒ 2007.03.26
대전서 안중근 의사 추정 사진 발견 쇠사슬에 묶인 채 의연한 표정을 짓고 있다 대전서 안중근 의사 추정 사진 발견 일제에 검거될 당시 안중근 의사로 추정되는 사진. 쇠사슬에 묶인 채 의연한 표정을 짓고 있다. 최정민씨 제공. 연합 오는 26일 안중근 의사의 순국 97주기를 앞두고 일제에 검거된 안 의사의 모습으로 추정되는 사진이 지역의 한 주택에서 발견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유익한자료 ▒ 2007.03.26
족보상식,족보의 종류 ,족보 용어 ,족보 보는법 족보상식 조상의 열이 담겨있는 족보를 경건한 마음으로 모셔야 하고,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서는 족보 편수하는 방법이나 구성, 체재 등 열람하는 방법을 숙지 하여야한다. 족보(族譜)란? 부계(父系)를 중심으로 혈연관계(血緣關係)를 도표식으로 나타낸 한 종족의 계보(系譜). 일명 보첩(譜牒) ·세보(.. ▒ 유익한자료 ▒ 2007.03.22
혼례 (婚禮)의 절차 혼례 (婚禮)의 절차 ■혼례는 육례(六禮)라 하여 다음의 절차를 갖추는 것이 원칙이다. 육례(六禮)는 아래와 같다. ▶납채(納采)­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사주단자를 보낸다. ▶문명(問名)­ 양가에서 서로 이름을 묻는다. ▶납길(納吉)­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혼인승락을 통지한다. ▶납징(納.. ▒ 유익한자료 ▒ 2007.03.22
나이의 호칭 및 생신 명칭 나이를 나타내는 漢字 막 태어났을 때를 의미하는 것 -농경(弄璟) :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璟]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한 말이고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합니다. -농와(弄瓦) :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딸을 낳은 .. ▒ 유익한자료 ▒ 2007.03.17
친인척간의 계촌법과 호칭 친인척간의 계촌법과 호칭 남 자 (直系) 5촌 현조부 (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부 (父) 백숙부 (伯叔父) 종.. ▒ 유익한자료 ▒ 2007.03.17
고문서에 적혀있는 내용들은 과연 완전한 것인가 하는 내용은 이미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오던 주제였다. 고문서에 적혀있는 내용들은 과연 완전한 것인가 하는 내용은 이미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오던 주제였다. 우리의 경우도 같은 의심을 할 필요가 있었다고 본다. 서효사(誓效詞)의 본분이 신라와 고려, 조선에 걸쳐 우리 역사에 미친 파장은 대단히 큰 것임이 드러났다. 특히 조선에서는 그 .. ▒ 유익한자료 ▒ 2007.03.14
입춘대길과 건양다경(건강하고 좋은일이 많기를 바람) - <안동 하회마을 양진당 내당 출입문의 입춘첩> - 입춘첩의 대명사 입춘대길과 건양다경(건강하고 좋은일이 많기를 바람) - 올 丁亥年 입춘은 양력 2월 4일이다. 해마다 입춘절(立春節)이 되면 동지(冬至) 이후 음의 기운을 지니던 대지가 양의 기운을 갖기 시작하며 모든 사물이 왕성히 생동하기 시.. ▒ 유익한자료 ▒ 200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