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donga.com/news/img/icon_news2_01.gif)
![](http://image.donga.com/news/img/icon_news2_02.gif)
![](http://image.donga.com/news/img/icon_news2_03.gif)
![](http://image.donga.com/news/img/blank.gif)
![](http://image.donga.com/news/img/icon_news2_04.gif)
![](http://image.donga.com/news/img/icon_news2_05.gif)
![](http://image.donga.com/news/img/icon_news2_06.gif)
![](http://image.donga.com/home/img/msn.gif)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직장인 1220명을 대상으로 3월 1일부터 4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현재 맞벌이를 하고 있는 직장인 545명의 경제 만족도(만점 5점 척도)는 2.2점으로 집계된 반면 외벌이 직장인들의 경제 만족도는 2.1점으로 나타났다.
![]() | |
![]() |
경제 만족도 수준이 '보통 이하'라고 답한 맞벌이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배우자와의 수입을 합쳐도 많지 않기 때문'(37.1%)이라는 점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다음은 '부모님 부양이나 대출금 상환 등 생활비 외 지출이 많기 때문'(23.1%), '놀이방이나 가사도우미 등 맞벌이로 인한 지출이 많기 때문'(14.4%), '수입이 많은 만큼 지출도 늘어나기 때문'(13.1%) 등의 이유를 들었다.
경제 만족도가 2.1점으로 나타난 외벌이 직장인들의 경우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여유롭지 않다'(1점)는 답변이 36.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약간 여유롭지 않다'(2점) 30.1%, '보통이다'(3점) 22.8%, '약간 여유롭다'(4점) 5.9%, '매우 여유롭다'(5점) 5.2% 순이었다.
이 조사에서 맞벌이 직장인의 한달 평균 수입은 329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저축을 제외하고 식비, 자녀양육비, 교육비, 문화생활비, 대출금 상환 등으로 지출되는 금액은 월평균 203만2000원이었으며, 한달 평균 저축액은 93만1000원으로 월급의 28% 정도 수준이었다.
반면 외벌이 직장인 675명의 가구당 월수입은 247만8000원으로 맞벌이보다 82만 원 적었다. 월평균 지출금액은 170만4000원이었으며, 저축액은 79만7000원으로 월급의 약 32%를 차지하고 있었다.
커리어 관계자는 "상당수 직장인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맞벌이를 선호하고 있지만 실제 맞벌이를 할 경우 사회적 품위유지비나 자녀양육비 등이 외벌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지출됨은 물론 평소 자녀를 잘 돌봐주지 못한다는 데에 대한 보상심리까지 소비로 이어져 지출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경제적 여유로움을 누리기 위해서는 소비지출 항목과 재테크 수단 등을 조목조목 따져본 뒤 가계를 꾸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하운기자 hawoon@donga.com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기원, 해외서도 '태권도 단증 장사' (0) | 2008.03.10 |
---|---|
최음제, `뿅` 가려다 `저세상` 간다? (0) | 2008.03.06 |
'글로벌 보릿고개' 한국만 속수무책 (0) | 2008.03.04 |
런던 시내 한 복판에서 촬영된 '초선명 UFO' (0) | 2008.03.04 |
빨리빨리 한국인, 해외 호텔 예약 이것만 알아두자! (0) | 2008.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