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태권도 단증 부정발급 파문으로 사회가 떠들썩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국기원이 해외 태권도인들에게도 단증을 부정발급한 사실이 SBS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한정원 기자의 집중취재입니다.
<기자>
현직 경찰관 김 모 씨는 지난 2005년 태권도 7단을 땄습니다.
스페인에 살고 있었다며 현지 태권도협회의 추천을 받는 방법이었습니다.
[김 모 씨 : 초등학교 때 부터 운동을 해서 저 스페인이라는 나라도 갔다 오고...]
하지만, 확인 결과 김 씨는 외국에 한 번도 나간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심사조차 거치지 않고 단증을 받았습니다.
[전 국기원 임원 : 실력이 하나도 없는데도 (현지 사범이) '너 (승단 심사 신청)해' 하고, 돈(수수료) 가져 와서 추천 하면 우리가 해준다구요.]
외국인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31명은 5단으로, 2명은 6단으로 뛰었습니다.
국기원 본원 심사나 현지 출장 심사를 거쳐야 하지만, 아무런 심사 없이 두단 이상 뛰어오른 외국인은 국기원 자체 조사에서 확인된 것만 백60여 명입니다.
최근까지 승단심사를 맡았던 한 위원은, 해외 태권도협회 인맥을 관리하려는 국기원 고위 관계자들의 요구 때문에 규정을 무시하고 처리해 왔다고 털어놨습니다.
[박구철/전 국기원 해외승단 심의위원 : '아무개가 이번에 심의에 들어왔는데 이번에 한번 챙겨봐라' 식이죠. 한 번에 많이 할 때는 5,6천 명 합니다.]
이런 사정을 알게 된 외국의 태권도 단체들은 국기원 심사 무용론까지 폅니다.
['우리가 국기원 단증을 받아 야 되느냐. 내 이름으로 단증 발행하면 안되겠느냐...' ]
국기원측은 마구잡이 발급은 인정하면서도 "태권도 보급을 위한 정책적 선택"이었을 뿐 부정발급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국기원 관계자 : (그걸 부정발급이라 하면) 백 건도 넘고 몇천 건도 될 수가 있습니다.]
경찰은 단증 부정발급 등의 혐의로 국기원 고위관계자들을 상대로 수사에 나섰습니다.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로 환경이민 속출” (0) | 2008.03.11 |
---|---|
고대 유럽 파괴한 쓰나미 다시 온다 (0) | 2008.03.11 |
최음제, `뿅` 가려다 `저세상` 간다? (0) | 2008.03.06 |
맞벌이와 외벌이 '경제만족도' 별 차이 없다 (0) | 2008.03.06 |
'글로벌 보릿고개' 한국만 속수무책 (0) | 2008.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