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불안요소로는 44%가 취업난 - 실업 꼽아
외환위기 이후 10년, 한국 사회가 외형적으로는 정상을 거의 회복했으나 국민의식은 불안 불신 분열 무기력에 빠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민주화의식과 대외개방성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아일보와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사발연·소장 정진성)가 공동 기획해 11일 발표한 ‘국민의식조사-IMF 10년, 한국 사회 어떻게 변했나’에서 나타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사발연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9월 11일∼10월 1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와 1998년 사발연이 실시한 ‘현대 한국인의 의식과 관행 조사’ 등 8건의 기존 조사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신뢰도 95%, 표본오차 ±3.1%).
이 조사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초래한 국민적 트라우마(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정치권의 이념 논쟁과 별개로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외환위기 이후 소득, 자산, 직업 안정성, 가족 유대의 감소로 한국인들의 불안감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구조화되면서 돈을 중시하는 물질주의적 가치가 팽배해 10년 전에 비해 성공의 조건으로 돈(35.8→60.5%)과 학벌(15.3%→36.4%)을 꼽는 경우가 급증했다. 개인의 노력(38.2%→24.2%)이나 인간관계(36.9%→21.4%)를 꼽는 경우는 크게 줄었다.
현재의 불안요소로 취업난·실업(43.8%)과 급격한 경기변동(26.1%)이 꼽힌 반면 10년 뒤 불안요소로는 환경오염(28.2%) 기상이변(26.8%) 노후대책 미비(22.1%)가 꼽혔다.
사회 제도와 조직에 대한 신뢰는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신뢰도가 낮은 기관은 정당(2.9%) 국회(3.2%) 행정부(8%) 사법부(10.1%) 순이었고 신뢰도가 가장 크게 하락한 곳은 시민단체(48.8%→21.6%)였다.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여기는 비율은 외환위기 직전 41.1%에서 28%로 급감함으로써 계층의식이 추락하는 무기력 증상도 심화됐다.
한편 지난 10년간 민주주의가 발전했다는 응답자가 55%였고 퇴보했다는 사람은 17.9%에 그쳐 우리 사회의 민주화는 공고한 것으로 평가했다. 결혼이주 외국인 이민자에 대해서도 반대(20.9%)보다 찬성(35.6%)이 높게 나타나면서 대외개방성도 높게 나타났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첨부파일]
1 외환위기 10년 국민의식 어떻게 변했나
2 가치관 소비
3 민주주의 통일 외국인 노동자
4 가족, 노동, 복지
'▒ 경제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차오일쇼크' 위기고조 (0) | 2007.11.12 |
---|---|
엔캐리 청산 강화…세계 금융시장 공포 (0) | 2007.11.12 |
1999년과 2007년 비교해 보니 (0) | 2007.11.12 |
중국 수혜주, 날개없는 '추락' (0) | 2007.11.12 |
코스피 급락세…장중 1910선도 붕괴 (0) | 2007.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