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d Moon Rising
-
| - 음산한 달빛이 비추는 밤
-
| - Sung by C.C.R
| -
- I see the bad moon arising
I see trouble on the way I see earthquakes and lightning. I see bad times today -
- **
- Don't go around tonight,
Well, it's bound to take your life, There's a bad moon on the rise.
I hear hurricanes blowing I know the end is coming soon I fear rivers over flowing I hear the voice of rage and ruin
** Repeat
All right!
-
- ~ ~ ~ ~ ~
Hope you got your things together Hope you are quite - prepared to die
Looks like we're in for - nasty weather
One eye is taken - for an eye
** Repeat 2 times -
| -
- 난 음산한 달이 떠오르는걸 봤어
- 난 오는 길에 여러 재앙을 보게 되었지
- 땅이 갈라지고 번개가 치는 걸 보았어
- 오늘 밤은 불길한 예감이 드는 밤이야
-
- **
- 오늘 밤은 나가 돌아다니지 마
- 그러면 분명히 너의 목숨을 잃을거야
- 불길한 징조의 달이 떠오르고 있거든
-
- 허리케인이 불어오고 있는 소리가 들려
-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는걸 알고 있어
- 강물이 넘쳐 범람할까봐 두려워
- 분노와 파멸의 소리가 내게 들려
-
- ** 반 복
-
- 괜챦을거야!
-
- ~ ~ ~ ~ ~
-
- 이제 모든걸 정리하고
- 사실상 죽음을 맞이할
- 채비를 하길 바래
- 마음을 가다듬고 몰려오는
- 비바람을 맞이해야할 것 같아
- 한쪽 눈을 위해서는
- 한쪽 눈을 버려야 하는 법
-
- ** 반복 2회
-
| -
NOTES... -
-
-
- :::: Bad Moon Rising ::::
- 근래에 들어서 '청정원, 순창고추장' 등 국내 CF 방송에 백뮤직으로 그리고 에어로빅 댄스뮤직으로 가끔씩 등장하여 우리의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노래인 이 곡은 1969년 발표한 C.C.R의 3번째 앨범 <Green River> 에 <Commotion>과 같이 수록된 곡으로 C.C.R 의 히트 곡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는 곡이다.
- '사람들은 C.C.R을 춤추기 좋은 댄스 음악 밴드라고 알고 있다.' 라고 말하는 세인들의 말에 대하여 그룹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존 포거티'가 그에 반발하듯이 깊이 있는 내용의 가사를 써서 더욱 눈길을 끌었던 곡이다.
- 아울러 이 곡명과 동명의 그룹이 있다. 그룹명이 <Bad Moon Rising>인 이 그룹은 'Steeler'출신의 드러머 'Mark Edwards'가 결성한 'Lion'을 전신으로 'Tytan'출신의 보컬리스트 'Kal Swan'과 나름의 실력으로 인정받던 기타리스트 'Doug Eldrich'가 중심이 되어 1990년 결성된 밴드로 91년 데뷔앨범 [Bad Moon Rising]을 비롯하여 [Blood], [Opium For The Masses]와 가튼 앨범을 발표하고 활동하다 팀원들간의 갈등으로 3년여의 '별거' 상황 끝에 결국 1998년 공식적으로 해산한 그룹이다.
-
-
- :::: Creedence Clearwater Revival ::::
-
- C.C.R(Creedence Clearwater Revival)은 록음악이 다양한 스타일로 분화되던 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까지 R&B와 'Country'에 기반을 둔 복고적인 사운드로 큰 인기를 얻은 밴드이다. C.C.R의 음악에 있어서 거의 모든 역할을 담당하던 'John Fogerty'(보컬, 기타)와 그의 형 'Thomas Fogerty'(기타)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태생으로 'John'의 학창시절 친구들인 'Stuart Cook'(베이스), 'Douglas Ray' 'Clifford'(드럼)와 함께 1959년부터 <The Blue Velvets>라는 밴드이름으로 음악활동을 시작하였다.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활동을 계속하던 이들은 1964년 샌프란시스코의 'Fantasy' 레코드사와 계약을 하고 밴드이름을 <The Golliwogs>로 바꾸어 몇 장의 싱글을 발표했으나 비틀즈가 미국 전역을 휩쓸 무렵인지라 그리 신통치는 못했다.
그들의 상업적 성공은 1968년 밴드 이름을 <Creedence Clearwater Revival>로 바꾸고 셀프타이틀로 첫 앨범을 발표하면서부터이다. 첫 골드를 기록한 이 앨범에서는 'Dale Hawkins'의 노래를 리메이크한 'Susie Q'와 'Screaming Jay Hawkins'의 'I Put A Spell on You', 두 개의 50년대 커버곡이 인기를 누렸는데, 'Susie Q'는 싱글차트 11위까지 올라갔다. C.C.R이 본격적으로 전 미국인의 사랑을 받는 밴드가 된 것은 1969년 2월 두 번째 앨범 [Bayou Country] 이후 그해 연속적으로 앨범을 발표하면서 부터다. 2집에서는 싱글차트 2위 곡인 'Proud Mary'와 'Born on The Bayou'가 인기를 끌었고 같은 해 8월 발표한 3집 [Green River]에서 'Bad Moon Rising', 'Green River'가 미국차트 2위에 올라갔다. 또 그해 11월 4집 [Willly & The Poor Boys]에서는 'Down on The Corner', 'Fortunate Son'를 대히트 시켰다. 때문에 당시 히피들의 플라워무브먼트가 절정에 달하고 그들 사이에서 싸이키델릭한 록음악이 지배하던 분위기 속에서도 그해 열린 우드스탁 페스티벌에 초대되는 영광을 누리게 된다. C.C.R에겐 1969년은 잊을 수 없는 한해였다. C.C.R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는 'John Fogerty'의 창작력과 음악적 재능은 절정기였다. 흙냄새 가득한 정겨운 곡들에서부터 정치성이 짙은 곡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의 손에 의해서 씌어지고 불려졌다. 1970년대로 넘어와서도 C.C.R의 인기는 식을 줄 몰랐다. 1970년 발표한 5집 [Cosmo's Factory]에서 'Travellin' Band', 'Up Around The Bend' and 'Looking Out My Back Door' 'Who'll Stop The Rain'이 인기를 모았고, 그해 발표한 6집 [Pendulum]에서는 'Have You Ever Seen In The Rain?', 'Hey Tonight'등이 히트했다. 결국 3년이란 짧은 사이에 'Fantasy' 레이블에서 발매한 6장의 앨범이 모두 골드를 기록하게 된다. 그러나 1971년을 기점으로 C.C.R의 음악활동은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이미 동생 'John Fogerty'가 밴드의 음악활동에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형 'Thomas Fogerty'가 음악적인 견해차이를 이유로 밴드에서 탈퇴를 하고 만다. 그 이후 C.C.R은 Thomas를 제외한 세 명의 라인업으로 계속 활동하여 그해 7집 [Mardi Grass]를 발표하였으나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앨범중 유일하게 골드를 기록하지 못하고 밴드의 마지막 앨범이 되고 말았다. 그 후 C.C.R.의 멤버들은 저마다 솔로로 독립하여 음악활동을 이어갔으나 'John Fogerty'외에는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 [ From Koreamusic.net ]
-
- *be bound to : (=be sure to, never fail to) 반드시 ...하다, 꼭 …하다..
- He is bound to lose. 그는 반드시 진다 - It is bound to happen. 반드시 그런 일이 생긴다. - *get together : …을 모으다, 합치다; (vi.) 합쳐지다, 모이다. [의견이] 일치하다.
- The committee finally got together on its proposals. - 위원회는 그 제안에 대하여 결국 의견이 일치했다.
- *be prepared to do : …의 각오를 하고 있다, …하기를 예기하고 있다;
- 자진하여(기꺼이) …하다(할 수 있다).
- They were not prepared to part so easily with their liberty. - 그들은 그렇게 쉽사리 자유를 빼앗기리라고는 예기치 않았다
- I am prepared to accept. 기꺼이 받아들일 각오입니다. - *be in for : [보통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되다, 하기로 되어 있다.
- be in for an examination 시험을 쳐야만 하다. - be in for it [구어] [벌·위험 따위를] 면할 수 없다, 꼼짝 못할 처지에 빠져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