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 ▒ H ▒ I ▒

Help (10) Beatles

천하한량 2007. 7. 29. 00:09
Help
 
도와줘요
 
  - Sung by Beatles
 
Help, I need somebody
Help, not just anybody
Help, you know I need someone,
help!
 
**
When I was younger,
so much younger than today
I never needed
anybody's help in any way
But now these days are gone
I'm not so self assured
Now I find I've changed my mind
and opened up the doors
Help me if you can,
I'm feeling down
And I do appreciate
you being round
Help me
get my feet back on the ground
Won't you please, please help me
 
And now my life has changed
in oh so many ways
My independence seems
to vanish in the haze
 
But every now and then
I feel so insecure
I know that I just need you
like I've never done before
 
Help me if you can,
I'm feeling down
And I do appreciate
you being round
Help me
get my feet back on the ground
Won't you please, please help me
 
** Repeat
 
Help me, help me
Ooh
 
 
도와 주세요,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해요
도와 주세요, 하지만 아무나 원하는건 아녜요
도와 줘요, 누군가 필요하다는 걸 알잖아요
도와 주세요
 
**
내가 젊었을 땐,
지금보다 훨씬 젊었을 땐
어떤 식으로든지 도움 같은 건
필요하지 않았어요
하지만 이런 날들은 지나고
난 자신감이 없어졌어요
이제 내 생각이 바뀌었다는걸 알았어요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거든요
당신이 할 수만 있다면
약해지는 날 좀 도와 주세요
당신이 곁에 있어 준다면
정말 감사하겠어요
내가 다시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제발, 제발 날 좀 도와 주지 않을래요?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나의 삶은 많이 변했어요
혼자서 살 수 있다는 생각은
안개 속으로 사라져 버린 것 같아요
 
하지만 가끔씩
난 너무도 불안해요
내겐 꼭 당신이 필요하다는 걸 알아요
전혀 전엔 없었던 일이었어요
 
당신이 할 수만 있다면
약해지는 날 좀 도와 주세요
당신이 곁에 있어 준다면
정말 감사하겠어요
내가 다시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제발, 제발 날 좀 도와 주지 않을래요?
 
** 반복
 
도와 줘요, 도와 주세요
우 우
 
 
 NOTES... 
 
 
 
이 곡은 비틀즈의 두 번째 영화 <Help!> 삽입되었던 곡.
폴 매카트니가 비틀즈의 베스트 곡으로 꼽은 곡 중 하나.
 
 
::::: BEATLES  :::::
 
   1940년 10월 9일, 영국의 리버플에서 태어난 존 레논(John Lennon)은 중학 시절부터 친구들과 함께 쿼리 맨이란 스쿨 밴드를 조직해 그룹 활동을 했다. 그가 리버플 시내에 있는 퀴리 뱅크 중학에 재학하면서 만든 이 밴드는 학교에서 열리는 콘서트나 파티 장소를 무대로 해서 연주를 하였다. 1956년 6월에는 울턴 교회에서 공연을 하다가 리버플 출신의 폴 메카트니(Paul McCartney)를 만났는데, 1942년 6월 18일생인 폴 메카트니는 그때부터 존 레논과 함께 쿼리 맨에서 함께 활동하면서, 자신의 친구 조지 해리슨(George Harrison)을 존 레논에게 소개하고 그도 쿼리 맨의 멤버로 활약했다. 1943년 2월 25일, 리버플에서 버스 운전사 아들로 태어난 조지 해리슨 외에도 베이시스트인 스튜어트 슈트클리프가 가입하면서 그룹 이름을 문 덕스라고 개명하고, 스코틀랜드로 연주 여행을 떠났었다. 성공리에 이 스코틀랜드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이들은 고정적인 드러머가 필요함을 느끼고, 드러머로 피트 베스트를 충원해서 독일 함부르크로 연주 여행을 떠났는데, 이 때 그룹 이름을 실버 비틀즈로 바꾸었다. 함부르크 공연이 한창 절정에 달했을 때 베이시스트인 스튜어트 슈트클리프가 탈퇴하여, 중도에 영국으로 되돌아온 이들은 거의 해상 상태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1961년 11월에 브라이언 엡스타인(Brian Epstine)이 매니저로 들어오면서부터 다시 활기를 찾은 이들은 EMI 레코드사의 거물 프로듀서 조지 마틴(George Martin)의 도움으로 레코딩할 기회를 얻었다. 이 때 브라이언 엡스타인은 드러머인 피트 베스트를 내보내고, 1940년 7월 7일에 영국 데잉글구 태생으로 로니 스톰이란 그룹에서 활약하던 링고 스타(Ringo Starr)를 가입시켰으며, 이때부터 비틀즈(Beatles)란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62년 10월에는 조지 마틴의 지휘 아래 데뷰 싱글인 <Love Me Do>를 발표했지만, 그 당시에는 부분적인 일부 지역에서만 히트하였으며, 다음해인 1963년에 발표한 두번째 싱글 <Please Please Me>가 영국 전역에서 히트되어 영국 챠트 정상을 석권했다. 그러한 인기는 폭발적인 것이었으며, 이들은 순식간에 영국의 아이돌(우상)로 부각되었으며, 비틀즈의 선풍은 계속 끊이지 않고 인기 그룹으로 군림하기 시작했다. 1963년 4월에는 <From Me To You>와, 최초의 앨범인 「Please Please Me」를 출반하였으며, 그해 5월에는 영국내 순회 공연을 벌여서 전 세계에 비틀즈 선풍을 일으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계속해서 발표한 싱글 <She Loves You>와 <I Wanna Hold Your Hand> 같은 곡들도 챠트의 수위를 지켜 나갔으며, 1964년 2월에는 최초로 미국순회 공연을 벌여서 성공은 물론이고 미국의 갖가지 챠트를 완전히 독점하는 인기를 누렸다. 또한 그해 4월에는 비틀즈를 주제로 한 영화 『Hard Day's Night』에 출연해, 자신들의 인기를 재확인시켜 나갔다. 8월에도 두번째 미국 공연과 년말에 행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유럽 일대를 순회화면서 공연을 벌인 이들은 열광적인 환호 속에 공연을 마무리지었다.
   1965년 6월 12일에는 비틀즈의 레코드와 악보출판 등의 매상이 영국 총 수출액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명목으로, 엘리자베스 여왕으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MBE)를 수여받아서 영국의 고위 관리들간에는 일대 혼란이 일기도 했다. 또한 그 해에는 두번째 자신들의 영화인 『Help』가 공개되고, 타이틀 송인 <Help>도 크게 히트되었으며, 8월에는 세번째 미국 순회 공연을 벌였다. 1965년 말경에는 연주 스타일이 다소 변형된 곡인 <Rubber Soul>을 발표해, 일부 극성 팬들로부터 빈축을 사기도 했다. 그러나 1966년 5월에 행하여진 영국내 순회 공연과, 6월에 가진 일본 공연, 그리고 8월에 가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연주 여행이 마지막 콘서트가 되었으며, 이때부터 이들의 음악은 레코드만을 통해서 들을 수 있었다. 또한, 비틀즈의 불행은 그 뒤로 계속해서 이어졌다. 9월에 발표한 앨범 「Revolver」에서는 비틀즈의 사운드가 완전히 변해 있었는데, 팬들의 반발은 극심했으며, 이 앨범이 발매되고 난 직후부터 네명의 멤버는 단독으로 활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1967년 1월에 발매한 싱글 <Penny Lane>은 저조한 판매력을 보여 고심하던 비틀즈가 그해 6월에 발매한 앨범 「Sergean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록 뮤직 자체가 최절정에 달했음을 암시한 앨범으로, 비틀즈 최고 걸작으로 기록되고 있는 앨범이다.
   1967년 9월에는 비틀즈 성공에 결정적인 인물로 지목되는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이 사망해, 비틀즈는 지주를 잃고 갈등이 일기도 했다. 또한 1968년에는 자신들의 레코드 회사인 애플(Apple)를 설립했지만 적자 운영을 면치 못했으며, 레코딩 프로듀서 즈지 마틴은 소속회사 EMI 레코드사를 떠나 AIR이라는 녹음 회사를 신설했다. 1968년 3월에는 애플 레코드사를 통해 <Lady Madonna>와 <Hey Jude> 같은 싱글과 앨범 <The Beatles>를 발표했으나 이때부터 비틀즈의 해산설이 나돌아 비틀즈의 네명 멤버는 부인 하기에 바빴다. 그러나 그후로 발표한 싱글 <Come Together>, <Let It Be>, <Long And Winding Road>와, 앨범 「Let It Be」를 최후로 레코딩 활동도 없었다. 그후로 이야기되는 애플 레코드사의 운영 문제와 이익 배당 문제 등 여러 문제로 자주 불화를 겪던 비틀즈는, 1970년에 폴 메카트니가, 존 레논이 일방적으로 선임한 새 매니저 앨런 클라인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면서 이익 균등 배분 문제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정식으로 해산하고 말았다. 60년대 젊은이들의 의식 구조를 표현하는 대명사로 군림하던 이들의 해산 소식은 당시 세계의 팝 팬들에게 아쉬움을 더하게 하였으며, 비틀즈 시절에 발매된 앨범과 싱글은 현재까지도 대단한 판매력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비틀즈 시절에 발표하지 않았던 작품들이 재편집되어 앨범과 서적으로 공개되기도 했는데, 비틀즈란 말은 로큰롤을 대변하는 언어라고도 할 수 있다. [ From Samhomusic.com ]
 
*much : 비교급 수식, 훨씬더, 더욱더 (=even, still, far)
*self assured : 자신 있는, 자기 만족의
*opened up the doors : 젊었을 땐 타인의 도움은 바라지
          않았지만 나이가 들어 남들의 도움 없이 살아 가기란
          어렵다는걸 깨달아 이젠 언제든지 충고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마음의 문을 열어 놓았다는 뜻
*have one's feet on the ground : 땅을 디디고 서 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다.
   -
get my feet back on the ground : 발을 다시 땅에 디디고 서다.
                                                 옛날의 안정된 생활을 찾아서 삶을 다시 시작하다의 의미
*My independence : 나의 독립심, 혼자서 살 수 있다는 생각
*now and then : (=sometimes, on and off) 가끔, 때때로
*insecure : 위험한, 안전하지 않은(unsafe). 불안한, 걱정스러운, 확신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