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故事成語)란
[ 고사를 바탕으로 하여 이뤄진 관용 어구 ]라고 할수 있다.
한마디로 고사(古事)에서 연유한 말이라고 하지만, 여기에는 신화·전설·역사·고전·문학 작품 등에서 나온 말이 포함된다. 이러한 말들은 교훈·경구·비유·상징어 등으로 기능하고, 또 관용구나 속담으로 쓰이어, 표현을 풍부하게 꾸며준다.
한국·중국에서 발생한 고사성어는 <어부지리> 처럼 사자성어(四字成語)가 대부분이지만, 단순한 단어로서 예사롭게 쓰는 <완벽> 이나 벼슬에서 물러난다는 <계관>, 도둑을 뜻하는 <녹림> 등도 고사성어에 속한다. 또 흔히 쓰는 <등용문> <미망인> 과 같은 삼자성어(三字成語)도 있으며, 아예 8 자, 9 자로 된 긴 성구도 있다.
한국에서 발생한 고사성어 역시 사자성어가 많다. 그 출처는《삼국유사》《삼국사기》 등의 역사서, 《춘향전》《구운몽》과 같은 구소설, 《순오지》와 같은 속담집 등이다. 이 중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은 <오비이락> <적반하장> <초록동색> <함흥차사> <홍익인간> 등이다. 그러나 우리가 속담처럼 쓰는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언 발에 오줌누기>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등과 같은 말도 모두 한자(漢字) 로 된 성어에서 나온 말이다. 또 스승보다 낫다는 뜻의 중국 고사성어 <청출어람> 을 한국에서는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는 <후생각고> 로 표현하여 흥미롭다.
한국에서 쓰이는 중국 고사성어는 270 가지 정도이다. 이 성어들은 중국의 역사와 고전, 또는 시가(詩歌) 에서 나온 말이 대부분이며, 그 전거만 해도 70 남짓한 문헌과 200 명 정도에 이르는 인물이 관련되어 있다. <일망타진> <일거양득> <천고마비> <방약무인> <배수의 진> <조강지처> <오리무중> <철면피> <천리안> 등 쉽게 쓰는 말도 중국의 역사에서 나온 성어이다. 또 <전전긍긍> <유언비어> <대기만성> <자포자기> 등은《논어》등의 고전에서, <고희> <청천벽력> 등은 시가에서 나온 성어이다.
서양의 고사성어 역시 신화·역사·문예·종교 등에서 나온 말이 많으며, 이 중 더러는 금언·격언·명언·잠언 등으로 높임을 받아,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많이 인용된다. <제왕절개> <태산명동서일필> <백일천하> <정상회담> 등 한자어로 번역된 성어와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기하학에 왕도(王道) 없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루비콘강을 건너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등은 서양의 역사, 또는 역사적 인물에 의해서 만들어진 성어이다. 또 《베니스의 상인》《위험한 관계》《악의 꽃》《지킬 박사와 하이드》《25시》등의 작품명은 상징적인 성어로 변하여 많이 쓰인다. 이밖에 <금단의 열매> <카인의 후예> <소돔과 고모라> <쿠오바디스> 등은 성서에서, <판도라의 상자> <에디푸스 콤플렉스> <시지푸스의 바위> 등은 신화에서 나온 성어이다.
- 자료출처 : 두산 대백과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