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순[筍] 5수 |
남팽의 식단을 세세히 점검하니 / 南烹細點食單回
정사라 빙순이라 차례로 나오누나 / 晶鮓氷蓴次第開
향적주 안에는 이 맛이 없을테니 / 香積廚中無此味
옥판에 배부른 이 몇이나 되겠는고 / 飽參玉版幾人來
돋아나는 동산에 세어본 적 몇 번인고 /
앵주에선 처음 꺾어 금맹을 벗겨 왔네 / 櫻廚試取錦繃開
오늘에야 참으로 택룡을 먹게 되니 / 籜龍此日眞成喫
종당에는 소저와 분순을 보게 되리 / 會見燒猪噴筍來
식은 국 찬밥 덩이 모두 다 쓸어 내고 / 淘汰陳羹冷飯回
창자 사이 천만 그루 파릇파릇 피어나네 / 腸間千翠萬靑開
글씨 속에 천연의 별맛이 들었으니 / 書中別有天然味
장진이란 초성을 일찍이 보고 왔나 / 曾見藏眞草聖來
버들 그늘 우거진 속 마을 장정 둘러앉아 / 里魁匝坐柳陰回
상치 잎에 밥을 싸서 큰 입이 벌어지네 / 萵飯包靑大口開
해묵은 평상 발을 저녁내 삶았으니 / 舊簀屋中通夕煮
남녘 사람 감쪽같이 그대를 속여 왔네 / 南人轣轆瞞君來
맛 밖에 맛이 나서 단수숫대 씹기 마냥 / 味外味同蔗境回
동산 뜰 하룻밤에 택뇌가 터졌구려 / 園庭一夜籜雷開
알괘라 전 세상에서 인연이 무거워서 / 知應宿世因緣重
산승에게 목숨을 의탁하여 왔군그래 / 天自山僧托命來
[주D-001]향적주 : 절의 부엌을 이름.
[주D-002]옥판 : 주 110) 참조.
[주D-003]돋아나는 : 죽순이 뿔처럼 돋아나는 형용. 《시경(詩經)》에 "其角
"이라 하였음.
[주D-004]앵주 : 앵순주(櫻筍廚)의 준말인데 앵도와 봄죽순이 4월 경에 생산되므로 당주(堂廚)로부터 백사주(百司廚)에 이르기까지 통틀어 앵순주라 이름. 《秦中歲時記》
[주D-005]금맹 : 갓 돋은 죽순을 말함.
[주D-006]소저(燒猪) : 돼지를 굽는다는 말. 소식의 희답불인시(戲答佛印詩)에 "佛印燒猪待子瞻"이란 글귀가 있음.
[주D-007]분순(噴筍) : 《북몽쇄언(北夢鎖言)》에 "동파(東坡)가 말하기를 '문여가(文與可)가 내 시를 보고 하는 말이 〈料得淸貧饞太守 渭川千畝在胸中〉이라 하였으므로 웃음이 터져서 분순만안(噴筍滿案)의 지경에 이르렀다.'고 했다." 하였음.
[주D-008]장진 : 당 나라 승(僧)인데 초성(草聖)으로 유명하였으며 호는 회소(懷素)임.
[주D-009]해묵은……왔네 : 육운(陸雲)의 《소림(笑林)》에 "한(漢) 나라 사람이 오(吳) 나라에 가니 오 나라 사람이 죽순나물을 차려 주었다. 그래서 무슨 물건이냐고 물었더니 대[竹]라고 했다. 집에 돌아와서 상책(床簀 : 살평상의 대)를 아무리 삶아도 익지 않으니 하는 말이 '오 나라 놈이 나를 이렇게 감쪽같이 속였다.' 하였다." 원문에 '轣轆'은 은어(隱語)인데 본디 수레의 궤도(軌道)를 역록이라 이르므로 빌려서 궤도(詭道)로 쓴 것임.
[주D-010]단수숫대 씹기 마냥[蔗境] : 진(晉) 나라 고개지(顧愷之)가 단수수를 먹을 때는 항상 꼬리에서부터 먹기 시작하여 밑둥으로 들어가면서 '차츰 가경(佳境)으로 들어간다.' 하였음. 그래서 사람들이 고(苦)로부터 낙(樂)으로 가는 일을 들어 자경(蔗境)이라 하였음. 수숫대는 본디 밑둥이 더 달기 때문임.
[주D-002]옥판 : 주 110) 참조.
[주D-003]돋아나는 : 죽순이 뿔처럼 돋아나는 형용. 《시경(詩經)》에 "其角
[주D-004]앵주 : 앵순주(櫻筍廚)의 준말인데 앵도와 봄죽순이 4월 경에 생산되므로 당주(堂廚)로부터 백사주(百司廚)에 이르기까지 통틀어 앵순주라 이름. 《秦中歲時記》
[주D-005]금맹 : 갓 돋은 죽순을 말함.
[주D-006]소저(燒猪) : 돼지를 굽는다는 말. 소식의 희답불인시(戲答佛印詩)에 "佛印燒猪待子瞻"이란 글귀가 있음.
[주D-007]분순(噴筍) : 《북몽쇄언(北夢鎖言)》에 "동파(東坡)가 말하기를 '문여가(文與可)가 내 시를 보고 하는 말이 〈料得淸貧饞太守 渭川千畝在胸中〉이라 하였으므로 웃음이 터져서 분순만안(噴筍滿案)의 지경에 이르렀다.'고 했다." 하였음.
[주D-008]장진 : 당 나라 승(僧)인데 초성(草聖)으로 유명하였으며 호는 회소(懷素)임.
[주D-009]해묵은……왔네 : 육운(陸雲)의 《소림(笑林)》에 "한(漢) 나라 사람이 오(吳) 나라에 가니 오 나라 사람이 죽순나물을 차려 주었다. 그래서 무슨 물건이냐고 물었더니 대[竹]라고 했다. 집에 돌아와서 상책(床簀 : 살평상의 대)를 아무리 삶아도 익지 않으니 하는 말이 '오 나라 놈이 나를 이렇게 감쪽같이 속였다.' 하였다." 원문에 '轣轆'은 은어(隱語)인데 본디 수레의 궤도(軌道)를 역록이라 이르므로 빌려서 궤도(詭道)로 쓴 것임.
[주D-010]단수숫대 씹기 마냥[蔗境] : 진(晉) 나라 고개지(顧愷之)가 단수수를 먹을 때는 항상 꼬리에서부터 먹기 시작하여 밑둥으로 들어가면서 '차츰 가경(佳境)으로 들어간다.' 하였음. 그래서 사람들이 고(苦)로부터 낙(樂)으로 가는 일을 들어 자경(蔗境)이라 하였음. 수숫대는 본디 밑둥이 더 달기 때문임.
'▒ 완당김정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동피서(城東避暑) -완당 김정희- (0) | 2007.03.14 |
---|---|
이 진사가 토성에 돌아가니 2수 -완당 김정희- (0) | 2007.03.14 |
마을에 봉선화가 성하게 피어 오색을 이루고 몽우리도 몹시 커서 남쪽 땅에서도 이런 것은 보기 드물다 -완당 김정희- (0) | 2007.03.14 |
초량(初涼) -완당 김정희- (0) | 2007.03.14 |
보리 타작 두 절구로 북청부사의 편면에 부치다[打麥二絶 寄北靑明府便面] 2수 -완당 김정희- (0) | 2007.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