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당김정희 ▒

보리 타작 두 절구로 북청부사의 편면에 부치다[打麥二絶 寄北靑明府便面] 2수 -완당 김정희-

천하한량 2007. 3. 14. 03:21
보리 타작 두 절구로 북청부사의 편면에 부치다[打麥二絶 寄北靑明府便面] 2수

복별이 내리비쳐 온 마을에 빛 발하니 / 福星十九社中光
노랗게 보리 익어 온 들이 향기롭네 / 大麥坌黃四野香
관가에서 요즘은 밖을 도는 일이 없어 / 近日官家無外事
어우러진 나무 아래 낮잠이 한창일레 / 婆娑樹下午眠長
어허 좋다 개인 날 지평 잡힌 마당 안에 / 大好新晴碌碡場
양기(兩岐)는 지난해와 길이가 어떠한지 / 兩岐何似去年長
도리깨질 소리는 공중에도 안 끊기니 / 空中不斷連耞響
천상이라 인간이라 보리밥이 향기로워 / 天上人間麥飯香

[주D-001]지평 잡힌 마당[碌碡場] : 녹독은 밭을 평평하게 고를 때 사용하는 농기구로서 녹독장은 지평을 잡아놓은 마당을 말한다.
[주D-002]양기(兩岐) : 한 나라 장감(張堪)이 어양 태수(漁陽太守)로 가서 백성에게 농종(農種)을 가르쳐 해마다 풍년이 드니 백성들이 즐거워서 노래하기를 "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라고 하였다. 《後漢書 張堪傳》
[주D-003]도리깨질……끊기니 : 《집선전(集仙傳)》에 "왕노(王老)란 사람이 도(道)를 사모했는데 온몸에 부스럼이 난 도사가 찾아와 말하기를 '술에다 몸을 담그면 바로 낫겠다.' 하므로 왕노가 술을 만들어 항아리에 가득 채워 주자 도사는 항아리 속에 들어 앉아 3일 만에 머리털이 다 새까맣게 되어 동자(童子)와 같았고 부스럼도 다 나았다. 그를 말하기를 '이 술을 마시면 신선이 되어간다.' 하므로 이때 바야흐로 보리를 두들기면서 온 집안 사람이 다 마셨더니 문득 바람이 일어나 한때에 공중으로 올라가는데 오히려 보리 두들기는 소리가 들렸다."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