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의부령(典儀副令) 이곡(李穀)이 원 나라에 가 있을 때 어사대에 말하기를, 우리나라에서 처녀를 구하는 것을 중지하여 줄 것을 청하고는, 그를 위해 대신 글월을 올리기를, “옛날 우리 세조황제(世祖皇帝)께서 천하를 다스릴 적에 인심을 얻기에 노력하셨으며, 특히 풍속이 다른 외국에 대해서는 지방의 풍습에 따라서 다스리도록 하였습니다. 그런 까닭에 천하의 모든 백성이 기뻐하여 북치고 춤추며, 여러 차례의 통역을 거쳐 들어와 조회하여 혹은 남보다 늦을까 오히려 걱정하였으니, 요ㆍ순의 정치도 이에 더할 수 없었습니다. 고려는 본래 해외에서 따로 한 국가를 형성하였으므로 중국에 성인이 있을 때가 아니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서로 교통하지도 아니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당 태종(唐太宗)의 위엄과 덕망으로도 두 번이나 군사를 일으켜 정벌하였으나, 공을 이루지 못한 채 돌아갔습니다. 국가(원 나라)가 처음 일어나자 제일 먼저 신복(臣服)하여, 왕실에 현저한 공훈을 세웠고, 세조 황제께서는 공주를 하가시켰으며, 인하여 조서를 보내어 장려하여 이르기를, '의복이나 예법은 선대의 풍습대로 지키라'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그 풍속이 지금까지 변하지 않았으며, 지금 천하에 임금과 신하가 있고, 백성과 사직이 보존되어 있는 곳은 오직 우리나라뿐입니다. 고려의 입장으로서는 마땅히 현명하신 조서의 뜻을 공경히 받들어 선조 때부터 행하던 것을 그대로 따라서 정치와 교화를 닦고 밝히며, 조회와 문안을 제때에 행하여, 국가와 함께 아름다움을 누려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부녀자와 환관의 무리들이 중국에 가서 자리를 잡고 그 무리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은혜와 사랑 받음을 믿고 도리어 본국을 잡아 흔들며, 심지어는 황제의 지시라고 허위로 칭탁하고 다투어 사자를 달려 보내어 해마다 처녀를 데려가는 자가 길에 잇닿았습니다. 대개 남의 딸을 데려다가 위에 잘 보여서 자기의 이익을 도모하려 한 짓은 비록 고려가 자초한 일이지만, 황제의 지시가 있었다고 말하니 어찌 나라에 누(累)가 되지 않겠습니까. 예로부터 제왕이 호령을 한 번 발하거나 명령을 한 번 시행하면, 온 천하가 그 덕망과 은택을 기쁜 마음으로 우러러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조서나 지시를 가리켜 덕음(德音)이라 합니다. 그러니 지금 자주 특지를 내려 남의 처녀를 빼앗는 것은 매우 불가한 일입니다. 무릇 사람이 자식을 낳아 사랑하며 기르는 것은 그 자식에게 봉양을 바라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존귀한 사람이거나, 비천한 사람이거나, 중국이거나 이적(夷狄)이거나 차이가 없는 것이니, 그것은 천성이 다 같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저희들 고려의 풍속은 차라리 사내 자식은 다른 집으로 내보내더라도 딸은 자기집에 두고 내보내지 아니하니, 진(秦) 나라 때의 데릴사위 제도와 비슷한 것입니다. 무릇 부모를 봉양하는 것은 딸이 맡아서 하는 일입니다. 그런 까닭에 딸을 낳으면 은혜와 애정으로 수고를 다하면서 밤낮으로 그 딸이 자라서 능히 부모를 봉양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일조에 그 딸자식을 품 안에서 빼앗겨 4천 리 밖에 보내게 되고, 한 번 문 밖을 벗어나면 죽을 때까지 돌아오지 못하니 그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지금 고려의 부녀 가운데 후비(后妃)의 반열에 끼어 있는 이도 있고, 왕후(王侯)의 귀한 짝이 된 이도 있어, 공경대신 중에는 고려의 외생(外甥) 출신이 많이 있사오나, 이것은 그 본국의 왕족이나 문벌 있는 부호의 집에서 특히 조지(詔旨)를 받았거나 혹은 자원하여 온 경우이며, 또한 중매의 예절을 갖춘 것이니, 진실로 특별한 경우입니다. 그런데 이익을 좋아하는 자들이 그것을 원용하여 예(例)로 삼고 있습니다. 대개 지금 그 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자들은 모두가 아내나 첩을 얻으려 하고 있으며, 동녀를 데려 가는 것만이 아닙니다. 무릇 사방에 사신으로 가는 것은 황제의 은혜를 선포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알아보려는 데 있는 것입니다. 시(詩)에, '두루 물어보고 두루 자문한다[周爰咨詢 周爰咨諏]' 하였는데, 지금은 외국에 사신으로 가면 곧 재물과 여자만을 탐내고 있으니 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한편으로 듣자오니, 고려 사람들은 딸을 낳으면 곧 감추고, 오직 그 비밀이 탄로날 것을 걱정하여 이웃 사람들도 볼 수 없다고 합니다. 사신이 중국에서 그곳에 이를 때마다 곧 안색이 변하여 돌아보며 말하기를, '무엇 때문에 왔을까. 처녀를 잡으러 오지 않았을까. 아내와 첩을 데리러 오지 않았을까' 합니다. 얼마 후에 군리(軍吏)가 사방으로 쏟아져 나가 집집마다 뒤지고 찾는데, 만일 딸을 감춘 것을 알면 그 이웃까지도 연계하여 잡아들이고 그 친족을 구속하여 매질하고 고통을 주어 찾아내고야 맙니다. 그리하여 한 번 사신이 오면 나라 안이 소란하여, 닭이나 개까지도 편안할 수 없습니다. 처녀를 모아놓고 선발하는데, 잘 생기고 못 생긴 것에 상관없이 혹 사신에게 잘 대접하여 배불리 먹여주면 비록 아름다운 여자라도 놓아주고, 그 여자를 놓아주고는 또 다른 여자를 찾습니다. 이때에 한 여자를 데려갈 적마다 수백 집을 뒤지는데 오직 사신이 하자는 대로 할 뿐이요, 아무도 감히 그 영을 어기지 못합니다. 왜 그러냐 하면, 황제의 지시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이 1년에 한두 번이나 혹은 2년에 한 번 있는데, 그 수가 많을 때는 40~50명에 이릅니다. 이미 그 선발에 뽑히게 되면 그 부모나 일가 친척들이 서로 모여 통곡하는 소리가 밤낮으로 끊이지 않으며, 국경에서 송별할 때에는 옷자락을 붙잡고 발을 구르며 넘어져서 길을 막고 울부짖다가 슬프고 원통하여 우물에 몸을 던져 죽는 자도 있고, 스스로 목매어 죽는 자도 있으며, 근심과 걱정으로 기절하는 자도 있고, 피눈물을 쏟아 눈이 먼 자도 있습니다. 이러한 예는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사신의 아내나 첩으로 데려가는 때는 비록 이렇게까지는 하지 않을지라도 인정을 거스리고 원망을 사는 것은 다를 것이 없습니다.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필부(匹夫)ㆍ필부(匹婦)가 자진하여 협력하지 않으면 임금의 사업도 성공할 수 없다' 했습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나라의 덕화(德化)가 미치는 곳마다 만물이 모두 이루어지는데, 고려 사람만이 유독 무슨 죄로 이런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옛날에 동해(東海) 지방에 원한 품은 여자가 있어 3년이나 크게 가물었다 하는데, 지금 고려에는 원한 품은 여자가 얼마나 많겠습니까. 근년에 그 나라에는 홍수와 가뭄이 서로 연달아서 백성들 가운데 굶어 죽은 시체가 매우 많으니, 이는 아마도 그 원한과 한탄이 능히 순화한 기운을 해친 것인가 합니다. 지금 당당한 대국으로서 후궁으로 둘 사람이 모자라서 반드시 외국에서 데려와야만 합니까. 비록 조석으로 총애를 받는다 하더라도 오히려 부모와 고향 사람들을 그리워하는 것이 인간의 지극한 정성인데, 이에 궁궐 안에 방치된 채 젊음을 그냥 보내고 헛되이 늙으며, 때로는 혹 환관에게 시집 보낸다 하더라도, 마침내 잉태 한 번 못하는 자가 열에 대여섯 명은 되니, 그 원기(怨氣)가 화(和)를 손상함이 또한 어떻겠습니까. 일에 조그만 폐단이 있더라도 나라에 이로운 것이 간혹 있기는 합니다만 그것도 폐단이 없는 것보다는 못합니다. 하물며, 나라에 이익도 없이 원방의 백성에게 원한을 사고 그 폐단이 적지 않음에 있어서야 말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바라건대, 덕음(德音)을 베푸시어, 감히 내지를 칭탁하고 위로 황제의 총명을 흐리게 하며, 아래에서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처녀를 데려오는 자와,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아내나 첩을 데려오는 자가 있다면 법령으로 명확히 금지하시어 그 후일의 기대까지도 근절하게 하옵소서. 그리하여 성조(聖朝)에서 똑같이 사랑하시는 감화를 밝히시고 외국에서 의를 사모하는 마음을 위로하시어, 원망을 없애고 화기를 이루어 만물을 육성하게 하시면 이보다 다행함이 없겠나이다." 하니, 황제가 이를 받아들였다.
<고려사절요 제25권 김종서(金宗瑞)>
'▒ 가정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곡(李穀)을 밀직사(密直使)에 임명하였다. - 김종서- (0) | 2007.02.28 |
---|---|
이곡(李穀)이 원 나라에서 재상에게 글을 보내어 말하기를,,,-김종서- (0) | 2007.02.28 |
고려국 봉익대부 검교밀직제학 보문각제학 상호군 영록대부 형부상서 정선생 행장-정도전(鄭道傳) - (0) | 2007.02.14 |
고려말의 큰 별 가정 이곡(稼亭 李穀) 선생 (0) | 2007.02.04 |
가정(稼亭) 이곡(李穀) 선생 생애와 학문(명지대 신천식 교수) (0) | 200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