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이곡(李穀)이 원 나라에서 재상에게 글을 보내어 말하기를, “우리 삼한이 나라 구실을 못한 지가 이미 오래 되었습니다. 풍속은 퇴폐하고 형정(刑政)은 문란하여 백성이 제대로 살 수 없게 되어 도탄 속에 있는 것과 같았습니다. 다행히 지금 국왕께서 명을 받고 본국으로 가시었으니 백성들이 기대하기를 큰 가뭄에 단비를 바라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그러나 국왕께서는 젊으신 나이에 겸공하고 말수가 없어서 일국의 정치를 여러 분에게 들어서 결정하시니, 곧 그 사직의 안위와 인민의 이해와 사군자(士君子)의 진퇴가 모두 여러 분들에게 달려있습니다. 대개 군자를 등용하면 사직이 편안하고, 군자를 물리치면 인민이 고통을 받는 것은 고금의 상리입니다. 그러한즉, 사람을 쓰는 것은 역시 정치하는 근본인데, 대개 사람을 쓰기는 쉽지만 사람을 알기는 어려운 것입니다. 사정(邪正)을 묻지 않으며 고하를 논하지 않고 오직 재물만을 보며, 오직 세력에 따라 나에게 아부하는 자는 비록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라도 그를 등용하고, 나와 달리하는 자는 비록 청렴하고 근신하는 자라도 이를 물리친다면 사람 쓰는 것이 아주 쉽지 않습니까. 사람을 쉽게 쓰기 때문에 정치는 날로 문란하며, 정치가 날로 문란하여지기 때문에 국가는 따라서 위태로워지고 망할 것이니, 이것은 먼 옛날에서 찾아볼 필요가 없이 바로 눈 앞에서 본 뚜렷한 경험이 있습니다. 옛 사람은 그러함을 알고 있었으니 한 번 사람을 등용하거나 물리침에 있어서 반드시 그 행하는 바와 그의 과거를 살피는 것은 오직 재물에 안목이 흐려지고 권세에 뜻을 빼앗길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붉은색과 자주색이 서로 엇갈리고 옥석(玉石)이 서로 혼동되니, 사람을 안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오늘날의 우리나라 풍속은 재물이 있는 것을 능력이 있는 것으로 여기고, 세력이 있으면 지식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이때문에 조관(朝官)이나 유신(儒臣)의 복장까지 하고, 바른 말과 정당한 언론도 시골 사람의 미친 소리로 생각하게 되었으니, 나라가 나라 구실을 하지 못하는 것도 당연하다 하겠습니다. 곡(穀)이 친척들과 헤어져 고국을 떠나 오래도록 황제의 서울에 나그네로 머물러 있는 것은 바로 이때문입니다. 근자에 들으니, 여러 분들이 정사를 보좌하고, 교화를 고쳐나가는 것이 전일보다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 명목상으로는 비록 늙은이를 높인다 하나 실제로는 젊은이가 권력을 잡고 있으며, 명목상으로는 비록 청렴을 숭상한다 하나 실제로는 탐관이 실권을 맡고 있으며, 불량배를 내쫓았다 하나 세력이 큰 자가 그 악을 고치지 않고 있으며, 옛 신하를 갈았으나 새 사람들이 도리어 구신들에게 붙었다고 합니다. 사람을 알아보기를 어렵게 여기지 않고, 사람 쓰는 것을 매우 쉽게 여기는 것이니, 이것은 국왕께서 위임하신 뜻이 아닐진대, 원 나라 조정에서 이를 들으면 옳지 않게 여기지 않겠습니까. 어떤 이는 말하기를, '여러 분들에게 글을 보낼 필요가 없다. 다만 그들의 노여움을 살 뿐이요, 도움될 바가 없을 것이다' 하였으나, 곡은 이에 답하기를, '만일 사직이 편안하게 되고 인민들에게 이롭게 된다면 응당 그 본말을 자세히 갖추어서 이를 조정에 말하며, 이를 천자에게 아뢸 것인데, 어찌 제공들의 노여움 때문에 입을 다물 수 있을 것인가' 하였습니다. 이리하여 감히 어리석은 말씀을 올리오니 반드시 제공들은 살펴주십시오." 하였다.
<고려사절요 제25권 김종서(金宗瑞)>
'▒ 가정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년강목(編年綱目)을 한산군(韓山君) 이곡(李穀)등에게 명하여 편찬..-김종서- (0) | 2007.02.28 |
---|---|
이곡(李穀)을 밀직사(密直使)에 임명하였다. - 김종서- (0) | 2007.02.28 |
이곡(李穀)이 원 나라에 고려에서 처녀를 구하는 것을 중지하여 줄 것을 청하고..-김종서- (0) | 2007.02.28 |
고려국 봉익대부 검교밀직제학 보문각제학 상호군 영록대부 형부상서 정선생 행장-정도전(鄭道傳) - (0) | 2007.02.14 |
고려말의 큰 별 가정 이곡(稼亭 李穀) 선생 (0) | 200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