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墓誌)
대원 고장사랑 요양로 개주판관 고려국 정순대부 검교 성균관 대사성 예문관 제학 동지춘추관사 최군 묘지(大元故將仕郞遼陽路蓋州判官高麗國正順大夫檢校成均館大司成藝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崔君墓誌)
이곡(李穀)
황조(皇朝) 진사로 동방에 유명한 자가 있었으니, 이르기를, “계림(鷄林) 최수옹(崔壽翁)”이다. 처음에 개주판관(蓋州判官)에 제수돠었는데 지역이 궁벽하고 직무가 골몰하여 거한 지 5개월 만에 병으로 사직하고 본국에 돌아와서 다시 원 나라에 벼슬하지 않았다. 비록 본국에서 벼슬하였으나 재주가 기이하고 뜻이 높아 당시에 용납되지 못하고, 나이 54세로 지원(至元) 6년 경진(후지원임. 충혜왕 복위 원년) 6월 10일 임인에 병으로 세상을 마치니, 장사는 아직 기일이 있다.
공의 아우 감찰규정(監察糾正) 지()가 자기가 지은 바의 행장을 가지고 와서 묘명(墓銘)을 청하여 말하기를, “우리 형님의 재주는 옛날 사람에 부끄럽지 않았는데, 우리 형님의 뜻이 세상에 행해지지 못하고 마침내 벼슬도 높지 못하였습니다. 나이가 많지 않으므로 은택을 남에게 미치지 못하고, 아들이 뒤를 잇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또 분묘에 명문을 적어 그 행적을 기록하지 않으면 나는 우리 형님을 저버리는 것입니다. 우리 형님을 알기로는 그대만한 이가 없으니, 명문을 지어주소서”. 하였다. 내가 의리상 사양하지 못하여 그 세계(世系)를 차례대로 하고 그 행실을 서술한다.
군의 휘는 해(瀣)요, 자는 언명보(?明父)라고도 한다. 먼 조상 윤순(允順)이 신라에 벼슬하여 관직이 태수(太守)에 이르렀고, 대대로 계림부에서 살았다. 증조부의 휘는 모이니 경주사병(慶州司兵)인데 증직으로 군부판서(軍簿判書)이며, 조부의 휘는 모이니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이요, 증직 판도판서(版圖判書)이다. 부친의 휘는 백륜(伯倫)이니 장원급제하여 명성이 조정에 들려, 고려왕 경유학교수(高麗王京儒學敎授)에 제수되었고, 누차 영전으로 본국의 민부의랑(民部議郞)이 되니, 계품은 중현대부(中顯大夫)이다. 모친은 임씨(任氏)이니 진양군부인(晉陽郡夫人)에 봉하였고, 대호군으로 치사한 휘 모(某)의 딸이다.
군은 어려서부터 남보다 뛰어나게 총명하여 9세 때에 시를 잘 지었고, 장성한 뒤에는 학문이 날로 진취하여 크게 선비들에게 칭탄을 받았다. 채 20세 전에 두 번 사부(詞賦)로써 유사(有司) 시험에 응시였는데, 그때마다 모두 합격하였다. 처음에 성균학유(成均學諭)에서 파직 당하고, 예문춘추관 검열에 선발되었다가 얼마 후에 사능으로 장사감무로 폄직되었다. 얼마 후에 또 다시 예문춘추관 주부에 선발되고, 주부에서 장흥고사에 임명되었다가 전직하여 성균관승 예문응교 전교 전의 이부령 검교대사성(成均館藝文應敎典校典儀二副令檢校大司成)이 되었으니, 군의 경력이 이러하다.
군은 글을 읽고 문장을 짓는 데 스승과 친구의 강습에 힘입지 않고 초연(超然)히 의리의 귀추를 스스로 깨달았으며, 이단에 미혹되지 않고 세속의 습속에 빠지지 않으면서 옛날 사람과 합치되기를 힘썼다. 의논의 같고 다름이 있는 데에 이르러서는 참으로 그 정도임을 알면, 비록 노사숙유로 당시의 종장(宗匠)이 되는 자일지라도 힐문하고 또 꺾으며 자기의 생각을 확고히 하며 변하지 않았으니, 군의 배운 바는 이러하다.
연우(延祐) 연간(원 나라 인종〈仁宗〉의 연호)에 과거를 보이는데, 조서를 듣고서 말하기를, “배운 바를 시험해 볼 것이다.” 하였다. 그런데 과연 신유년(충숙왕 8년) 과거에 장원에 합격하였다.
송 좨주(宋祭酒 원 나라 사람)가 그의 재주를 칭찬하여 자주 시에서 말하니 여기서부터 명성이 더욱 나타났는데, 자기와 다른 자는 좋아하지 않고 더욱 배격하였다. 군은 윗사람을 찾아 다니면서 문안드리는 일을 잘하지 않았고, 큰 소리로 과감하게 남의 선악을 말하기 좋아한 까닭으로 벼슬에 올랐다가는 문득 쫓겨나서 마침내 크게 쓰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단정한 사람과 벗하고 천명을 알아 걱정이 없으며, 벼슬하고 안 하는 것으로 하여 기뻐하거나 노여워하지 않고, 다만 시와 술로써 스스로 세월을 보내었다.
일찍이 본국 명현(名賢)의 저술을 뽑아 그 제목을 《동인문(東人文)》이라 붙이니, 모두 25권이다. 평생에 가정 살림살이를 하지 않으며 스스로 졸옹(拙翁)이라 호하였다. 후에 성남 사자산(城南獅子山) 아래 살았는데, 농원(農園)을 개발하고 이르기를, “충분타.” 하며, 드디어 “예산농은(猊山農隱)”이라 자칭하였다. 죽어서 그 산의 동쪽 언덕에 장사지내는데 집이 몹시 가난하여 모든 군을 아는 자들이 다투어 부의를 보내어 이에 장례를 치루었다.
군은 재취(再娶)하였는데 전취(前娶)는 검교평리(檢校評理) 반영원(潘永源)의 딸이다. 딸 하나를 낳았는데 선비 지섭(池燮)에게 출가하였다. 후취(後娶)는 통례문 지후(通禮門祗候) 채흥(蔡興)의 딸로서 딸 둘을 낳았는데 모두 어리고 아들은 없다.
명문에 이르기를,
아, 최군이여 / 嗚呼崔君
홀로 고상하였네 / 不?不群
사숙한 그 학문이요 / 私淑其學
옛것을 좋아한 문장일세 / 好古而文
분연히 세속에 끌리지 않았고 / 奮不?俗
미친 척 과감히 말하였다 / 陽狂敢言
나이는 높지 않으나 / 雖無其年
이름은 전할 수 있고 / 名有可傳
아들은 없으나 / 雖無其子
아우 있어 의지되네 / 弟有可倚
너는 지위, 나는 덕이니 / 彼位我德
득실이 누구인고 / 孰失孰得
그대 스스로 의심하지 않았으니 / 君自不疑
그 또한 무엇을 슬퍼하리 / 其又奚悲
예산 동쪽 언덕에 / 猊山之東
마렵의 봉분 있으니 / 馬?之封
천년을 내려가도 / 千載之下
졸옹 있었던 줄 알지로다 / 知有拙翁
하였다.
'▒ 가정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지(墓誌) 고려국 정순대부 밀직사 우부대언 종부령 겸감찰집의 지판도사사 유군 묘지명-이곡(李穀)- (0) | 2007.02.14 |
---|---|
묘지(墓誌) 고려국 봉상대부 전리총랑 보문각 직제학 지제교 이군 묘표-이곡(李穀)- (0) | 2007.02.14 |
묘지(墓誌) 유원 봉의대부 태상예의원 판관 요기위 대흥현자 고려 순성보익 찬화공신 삼중대광 우문관 대제학 ~-이곡(李穀) - (0) | 2007.02.14 |
비명(碑銘) 대숭은 복원사 고려제일대사 원공비(大崇恩福元寺高麗第一代師圓公碑) -이곡(李穀) - (0) | 2007.02.14 |
비명(碑銘) 금강산 장안사 중흥비(金剛山長安寺重興碑)- 이곡(李穀)- (0) | 200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