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전(表箋)
하표(賀表)
이곡(李穀)
삼양(三陽)이 협동하는 철에 비로소 위궐(魏闕)의 화기(和氣)를 반포하고, 만국(萬國)이 신정(新正)에 조회하여 더욱 자위(慈?)의 경사를 더하오니, 빛이 해와 달에 더하고 기쁨이 온 누리에 넘치옵나이다. 운운. 도(道)는 건강(乾剛)을 짝하시고, 덕(德)은 곤순(坤順)을 체(體)하시어 심신(心神)을 연의(淵懿)하게 즐기사 여중요순(女中堯舜)의 이름을 얻으시고, 성인(聖人)의 우근(憂勤)을 도우시어 천하를 희헌(羲軒) 세상으로 만드셨사오니, 이제 가신(佳辰)이 돌아옴을 맞아 그지없는 복을 받으리로소이다. 운운. 마침 성대(盛代)를 만나 외람되이 성은(聖恩)을 더럽혀 왔사오나, 멀리 동토(東土)의 봉강(封彊)에 살아 하열(賀列)에 참가치 못하옵고, 남산(南山)의 수(壽)를 올려 다만 충성을 드리옵나이다.
[주D-001]희헌(羲軒) : 복희씨(伏羲氏)와 황제(黃帝) 헌원씨(軒轅氏) 시대의 성세(聖世).
'▒ 가정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전(表箋) 사표(謝表)-이곡(利穀) - (0) | 2007.02.10 |
---|---|
표전(表箋) 사 복궁 병마필 기거 표(謝復弓兵馬匹起居表) -이곡(利穀) - (0) | 2007.02.10 |
표전(表箋) 태후 하정 기거 표(太后賀正起居表) -이곡(李穀) - (0) | 2007.02.10 |
표전(表箋) 하정표(賀正表) -이곡(李穀) - (0) | 2007.02.10 |
표전(表箋) 태후상동전 표(太后上同前表) -이곡(李穀) - (0) | 200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