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mookas.com/images/dot.gif) |
[명인열전 - 7] KTA 시범공연단 이춘우 단장
![](http://www.mookas.com/images/dot.gif)
단순히 멋있어 보인다는 이유로 시작한 태권도 시범이 인생이 되어버린 사람이 있다. 그가 바로 대한태권도협회(KTA) 시범공연단 이춘우 단장이다.
1960
년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난 그는 초등학교 5학년 때 서울로 올라와 지금까지 살고 있다. 어린 시절 운동에 남다른 소질을 보인
그는 선생님의 권유로 육상부에 들어가 활동하기도 했다. 하지만 육상보다 무술을 배우고 싶었던 어린 이춘우. 그래서 그는
부모님에게 무술 도장에 보내 달라고 떼를 쓰기 시작했다.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고 했던가 어린 이춘우는 무술 도장에 다니게
된다.
그런데 이춘우 단장이 처음 배운 무술은 태권도가 아닌 합기도였다. 지금의 이춘우 단장을 생각하면 왠지 상상하기 힘든 모습이다.
이춘우 단장은 “합기도 고수의 꿈을 품고 시작한 합기도 수련은 3개월만에 끝나고 말았다”며 “당시 합기도 도장의 선배들이 너무
많이 때려 어린 나로서는 감당하기 힘들어 그만뒀다”고 회상했다.
그의 무술에 대한 열정은 태권도를 만나면서 꽃을 피기 시작한다. 동양공업고등학교에 진학한 이춘우 단장은 학교 태권도 동아리 팀에
들어가면서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한다. 이후 도장에서 보조사범 생활을 하면서 수련에 더욱 매진하게 되고, 당시 종별선수권 대회에
나가 입상하기도 한다.
지금의 이춘우 단장이 있게 만든 태권도 시범단과의 인연은 보조사범으로 일하던 도장을 통해서 였다. 당시 사범이자 국기원
시범단원이었던 구정회 사범. 구 사범의 시범단 동료들은 자주 도장에 놀러와 시범을 보이곤 했다. 그렇게 선배 태권도인들의 시범을
보면서 국기원 시범단의 꿈을 키워가고 있을 때 쯤 국기원에서 공개 심사를 통해 시범단을 모집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지원한다.
결과는 합격.
이춘우 단장은 “국기원 시범단 공개모집은 내가 지원한 1987년이 최초였다”며 “초대 김영작 단장님 밑에서 2년간의 후보 생활을
거쳤다. 이후 1989년 2대 이규형 단장님이 오시면서 부주장과 주장 그리고 부단장을 맡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의 내가 있는 것은 이규형 단장님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국기원 시범단에 있으면서 이규형 단장님에게 시범은 물론 태권도에 대한 많은 것을 배웠다”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이춘우 단장은 2006년에 이규형 전임 단장의 뒤를 이어 3대 국기원 시범단장에 선임된다. 그런데 국기원 시범단에서 20년 넘게 몸 담아온 그가 올해 돌연 KTA 대표시범공연단 단장직을 수락하며 자리를 옮겼다.
|
![](http://www.mookas.com/images/dot.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