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57㎏급 임수정(경희대)이 시작한 ’금빛 발차기’가 남자 68㎏급 손태진(삼성에스원)을 거쳐 22일에는 간판 스타 황경선(한국체대)까지 이어졌다.
황경선은 22일 베이징 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 여자 67㎏급에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정상을 밟았다.
한국 태권도는 매트 위에 오른 세 명 모두 금메달을 목에 걸며 종주국의 위상을 떨쳤다.
마지막날인 23일 차동민(한국체대)이 남자 80㎏ 이상급에 출전한다.
황경선은 22일 베이징 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2008 베이징올림픽 태권도 여자 67㎏급에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정상을 밟았다.
한국 태권도는 매트 위에 오른 세 명 모두 금메달을 목에 걸며 종주국의 위상을 떨쳤다.
마지막날인 23일 차동민(한국체대)이 남자 80㎏ 이상급에 출전한다.
차동민이 1위를 차지하면 한국 태권도는 사상 첫 올림픽 단일 대회 금메달을 석권하는 금자탑을 세우게 된다.
2000년 시드니대회부터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 경기에서는 남녀 4체급씩 총 8체급이 치러진다. 국가별로는 이 중 최대 네 체급까지만 출전할 수 있다. 종주국 한국 등 일부 국가의 메달 독식을 견제하기 위함이다.
2004 아테네 대회까지 두 번의 올림픽을 치르며 네 체급 금메달을 모두 딴 나라는 아직 없었다.
2000년 한국이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한 것이 역대 최고 성적이다.
당시 한국은 남자 80㎏이상급 김경훈과 여자 57㎏급 정재은, 여자 67㎏급 이선희가 금메달을 차지했고, 남자 68㎏급의 신준식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4년에는 금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땄다. 남자 80㎏이상급 문대성과 여자 57㎏급 장지원이 금메달을 수확했고, 남자 68㎏급 송명섭과 여자 67㎏급 황경선이 동메달을 땄다.
사상 첫 네 체급 금메달 석권은 이제 차동민의 발끝에 달렸다.
’태권도의 꽃’이라 불리는 최중량급인 남자 80㎏이상급에서 한국은 역대 올림픽 금메달을 놓친 적이 없다.
게다가 대진운도 좋다. 차동민은 지난해 베이징 세계선수권대회 챔피언 다보 모디보 케이타(말리)와 2004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알렉산드로스 니콜라이디스(그리스), 베이징올림픽 세계 예선 1위 미카엘 보로(프랑스) 등 유력한 메달 후보들과는 결승에서나 맞붙게 됐다.
갈수록 선수들의 기량이 평준화 돼 최근 국제 무대에서 잇따라 체면을 구겼던 한국 태권도가 모처럼 활짝 웃을 수 있을 지 기대된다.
그러나 만에 하나 우려되는 것은 종주국 한국의 독주를 지나치게 의식, 의도적으로 판정에 불이익을 주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 태권도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아라! 태권V… 우리는 태권 꿈나무 (0) | 2008.09.07 |
---|---|
태권도, 2012년 런던대회서 전자호구 사용 (0) | 2008.08.25 |
빛 바랜 태권도 검은띠 (0) | 2008.08.06 |
해병대 여군 (0) | 2008.07.25 |
검도, 진검승부에 빠진 사람들 (0) | 2008.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