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슈는 자아의 생존 방위 혹은 종족유지를 위한 인간 자연본능에서 출발하였다. 기원과 관계되는 문헌은 후한(後漢)의 반고(班固 - 기원전 32 -92)가 지은 한서 백권 중에 수박육편(手搏六編)으로 가장 오래된 무예서이다. 구체적으로 나타난 문헌은 척계광(戚繼光)의 기효신서(紀效新書-1584)와 모월의 가 지은 무비지 (武備志-1621)가 있는데 조선시대의 무예서인 선조 (先祖)때의 무예제보(武藝諸譜)와 영조(英祖)때의 무예신보(武藝新譜) 와 정조(正祖)때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기효신서와 무비지를 참고한 무예서로서 현재는 정조 14년(1790)의 무예도보통지만이 전하여지고 있다. 우슈는 동양사상의 하나인 지행합일(知行合一)사상의 영향을 받아 생성 발전되었으며 실천을 중요시하는 지향합일 사상은, 우슈를 구현함에 있어 이론과 실기는 실용에 합치되어야 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우슈의 발전에 실마리가 되어 우슈의 운동형식과 기술체계의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현대의 우슈는 전통우슈로 바탕으로 1990년 제11회 중국 북경 아시안게임에서 우슈경기 7종목(장권, 남권, 태극권, 도술, 검술, 창술, 곤술)이 채택되어 국제 스포츠계에 공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1993년 중국상해에서 제1회 동아시안 게임과 그리고 1994년 일본 제12회 히로시마 아시안게임에서도 정식종목으로 채택 되었고 또 1997년 부산 동아시안 게임에도 채택되었고 금년 제13회 태국 방콕아시안게임에도 채택되었으며 산타 경기가 추가되었다.
우슈의 종목으로는 중국 북방무술이라 할 수 있는 장권(長拳)과 남방무술이라 할 수 있는 남권(南拳)과 양생 술인 태극권 (太極拳)의 권법부분과 단 병기인 도술(刀術), 검술(劍術)과 장병기인 곤술(棍術), 창술(槍術)의 무기술 부분의 표연 경기와 동급체급선수간의 자유대련으로 승부를 겨루는 산타(散打)가 있다.
|
|
역사 |
|
|
|
무술이 무술로써 만들어 진 것은 중국 양무제(楊武帝)시절(서기520년경) 달마대사가 중국하남성의 숭산에 있는소림사 (少林寺)의 주지 승으로 있을 때 많은 승려들을 맹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로 고심하던 중 전축국(인도)의 체조술(요가)과 동물들의 특기를 병합하여 면벽좌선9년 만에 체계화된 무술(武術)을 창안하게 되었다. 이후 세월이 흐르면서 많은 사람들이 무술(武術)을 배우게 됨에 좀 더 과학적으로 인 가나의 체질에 맞게 무술로써 발전시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렇게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무술의 기술도 다양화되면서 때리는 기술, 차는 기술, 던지는 기술, 찌르는 기술, 잡는 기술 등 그 기법이 날로 발전되어 왔으며 또한 수많은 무술의 문파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약 400여 일선 도장에서 소림(少林), 당랑, 팔괘장 등 각기 각 문파의 특징을 살려 후배 양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
우슈의 전망 |
|
우슈(武術)는 우슈로서의 오묘한 기술을 구사하는 장점도 있지만 사회 및 생활체육으로서도 매우 적합한 종목이다. 우슈에서는 강하게 수련하는 종목도 있을 뿐 아니라, 아주 부드럽게 수련하는 종목도 있어서 각자취향에 맞는 종목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사회 및 생활체육으로서는 태극권을 들 수 가있다.
음, 양과 오행에 근거를 두고 수련하는 태극권은 남. 여. 노. 소를 불문코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으며 특별한 기구나 넓은 공간을 사용치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활체육으로서는 가장 적합한 종목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기(氣)를 다스리고 기(氣)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질병을 물리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더더욱 생활체육으로써의 가치가 있으며 많은 분들에게 권장하고 싶은 종목이다.
우리나라 국민들도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기에 태극권과 같이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종목이 크게 각광을 받으리라고 전망되며 현재도 많은 국민들이 태극권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므로 우리의 생활체육에 태극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리라고 전망이 된다.
| | | |
|
|
Home > 우슈란? > 종목 | |
|
우슈의 종목 |
|
|
『 쿵푸(武術:우슈) 』란 무술의 중국 발음이며 그 종목이 매우 다양 하다. 우리 나라에서는 쿵푸(功夫), 십팔기(十八技), 국술(國術)이라고도 부르며 약 50여년 전인 6,25동란 직후부터 보급 되었다. 우슈(武術)는 크게 나누어 장권(長拳), 남권(南拳), 태극권(太極拳)과 같이 국제 경기를 할 수 있는 권술부분과 도, 검(검도), 봉,(棍), 창 등 무기를 사용해서 겨루는 기계술부분, 그리고 상대의 몸을 맨손으로 차고(태권도), 꺽고(합기도), 던지(유도)는 호신용의 금나술 부분이 있다.
| |
권술부분 |
|
|
장권(長拳) 사권(査拳), 화권(華拳), 소림권(少林拳)등의 권법을 통틀어서 장권 이라고 한다. 장권의 특징은 동작이 크고 넓으며 또한 신축성이 강하다.맨손 체조의 마루운동과 같이 전신을 종횡으로 움직이며 그 맵시가 우아하고 아름답기도 하다.
남권(南拳) 남권은 광동성, 복건성등 중국 남방 각지에 널리 수행되는 권법을 일컫는다. 그 중에서도 광동남권은 홍가권(洪家拳), 이가권(李家拳), 오가권(吳家拳)등이 유명하며 복건 남권은 영춘권(永春拳), 오조권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권법은 일반적으로 권세가 강렬하고 보법이 굳세며 동작이 긴밀한 것이 특징. 항상 근육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며, 신체의 중심을 중앙에다 모아서 팔방으로 가볍게 나가고 물러나며 큰 소리로 기합을 넣는다 |
|
형의권(形意拳) 벽.붕.참.포.호;D등 다섯가지 권법을 기본으로 하며, 호랑이.용.원숭이.말.닭.제비.뱀.독수리.곰,등 동물의 형상과 자세 12가지를 본뜬다. 강한 것과 부드러운 것. 단단한 것과 부서지기 쉬운 대상을 가려 조심스럽게 손으로 움켜지면서 발을옮겨 침착하게 가격한다.
팔괘장(八卦掌) 발을 앞으로 벌리거나 팔자로 오므리는 자세를 취하며 상대를 표적으로하여 원형으로 돌면서 계속 움직이는 것이 특징.
팔극권(八極拳) 상대와 짧은 거리에서 속공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통배권(通背拳) 솔.박.천벽.찬등 다섯종의 기본 장법(掌法)을 위주로 구성되며, 팔을 길게 뻗쳐 기습적으로 총알같이 빠르면서도 부드러운 가격을 하는 것이 독특하다.
번자권(飜子拳) 짧고 가벼우면서도 치밀하게 짜여서 빠르게 힘을 쓰는 권법.
소림권(少林拳) 소림권 포괄, 대홍권, 소홍권,매화권,칠성권,나한권등이 대표적. 이들 모든 권법은 일직선상에서 전후진을 하는 것이 남다르며, 강건한 기상이 돋보인다.(자료실 참조)
착각권 발을 사용하는 법을 위주로 구성된 권술로 손도 함께 사용.
지당권 이 권법은 구르며 뒤집는등 바닥에 모로 누어서 상대를 넘어 트리는 목표로 구성된 권술이다. 수준 높은 기교가 요구되기 때문에 훈련과정이 어렵다.
상형권(象形拳) 각종 동물이나 사람의 특정한 동작을 형상화한 권술로 다음과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 응조권 = 독수리가 발톱을 이용하여 먹이를 채는 동작을 본뜬 기술.
- 당랑권 = 사마귀가 앞발로 곤충을 잡듯 손과 발을 교묘히 쓰는 기술.
- 후 권 = 원숭이 권법=원숭이의 절묘한 앞발 사용법을 응용.
- 사 권 = 뱀의 몸놀림과 이빨 쓰는 법을 원용한 권법.
- 취 권 = 술에 만취된 사람처럼 비틀거리면서도 교묘하게 균형을 취하면서 허허실 실의 동작으로 상대를 교란하며 가격하는 특이한 권법.
- 태극권 = 몸을 부드럽고 신축성있게 움직이며 동작이 완만한 것이 특징. 상대방의 강하고 집중적인 공격을 피하면서 자신의 중심을 잡아 반격하는 기법이다. 여성이나 노인들도 무리없이 익힐 수 있어서서 일상 생활의 건강법으로 큰인기가 많은 무술이다. 태극권도 여러 유파가 있는데 진식
(陳式), 양식(楊式), 오식(吳式), 손식(孫式)등이 유명하다.
| |
병기부분 |
|
|
|
검술(劍術) 검술은 양쪽의 날로 베고, 선 검을이용하여 상대방을 찌르고 베고. 밀어치는 공격과 방어를 한다. 약진, 회전, 전진, 후퇴등 상대와 상황에 따라 기술을 행하며 그 동작이 화려 하면서도 긴장 감이 커서 높은 강도의 훈련과 스피드한 힘을 요구한다.
도술(刀術) 도술은 한쪽에만 날이 선 것을 써서 상대를 베고 밀치는 동작에 더하여 찌르기도 한다. 검술과 마찬가지로 속도와 강인한 정신력이 필요하다.
|
창술(槍術) 창술은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백낙곤에 창끝을 달아 사용하며, 그 방법은 찌르고 떨치고 덮치거나 때리는 연속동작 창술의 기본기는 다른 종목의 무술에도 그대로 응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동작이기도 하지만 창술의여러 가지 응용기술은 고도의 훈련 과정을 거쳐야 가능한 것이다.
곤술(棍術) 창술과 마찬가지로 백낙곤을 사용한다. 곤술은 매우 힘차고 웅장하며 다양한 기법을 요구 한다. 이밖에 이들 여러 부분을 혼합한 전능(全能)부분도 있다. |
|
|
Home > 우슈란? > 소림사 | |
|
|
|
그 뒤 서기 527년에 다시 인도에서 불교 선종(禪宗)28대 종정(宗正)인 보리달마(菩리達磨)가 광동, 남경, 장강을 거쳐 소림사에 와서 이른바 면벽 좌선 9년의 고행 끝에 득도하자 그 명성을 듣고 찾아온 승려들이 많아져서 이 절은 당대 최대의 명찰로 중국 천하에 이름을 떨치게 됐다. 본래 참선은 부동의 상태에서 스스로 마음을 닦아 가는 신앙 행위이므로 수행자들이 당연히 운동부족에 걸려 건강의 균형이 깨질 우려가 많다. 그래서 달마선사는 자신을 따르는 선승(禪僧)들을 위한 건강증진과 정신수양, 그리고 호신연담(護身練膽)-몸을 지키고 간담을 키우기 위해서 소림권법(少林拳法)을 개발했고, 짐승들의 몸동작까지 응용한 이 신묘한 무예 때문에 소림사는 불교의 수양도량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중국 고유무술의 커다란 발원지로 그 명성을 세계에 떨치고 있다.
현재에도 소림사와 사찰 일대에는 세계각국에서 모여든 5천여명의 수련생들이 무술을 읽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스승 반 야다라가 세상을 뜬 뒤 중국에 불교가 잘못 전해져서 진실의 교법을 잃어가고 있는 것을 알고 불타의 정법을 시 전하기 위하여 인도로부터 머마먼 여행 끝에 중국에 이르렀다.
달마는 중국에 당도하자 첫 번째로 열렬한 불교 신자였던 양(梁)나라 무제(武帝)를 접견했다. 무제는 그때까지 절도 많이 짖고 승려들의 수도를 도왔으며 경전을 해석하는 학자들도 양성했다.
사실 당시의 중국 불교는 내세의 행복을 기원하고 웅장한 절과 탑을 세우거나 화려한 불상을 조성하는 등 본질적인 문제를 떠나 겉치레에 바빳다. 그런 물질적인 공양이 부처의 길에 이르는 수양이나 헌신으로 생각하는 분위기였다. 그런 판이라서 달마대사가 설교하고자하는 자기해탈(解脫)자기 확립의 교리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었다.
달마는 양나라를 떠나서 북위(北魏)의 수도 낙양(洛陽)에 가까운 하남성 숭산 소림사에 이주했다. 거기서 이른바 동굴 속의 막힌 쪽과 마주한체 면벽좌선 9년의 좌선행(坐禪行)을 했으며, 함께 심신을 단련하는 역근행(易筋行)에도 힘을 쏟았다. 그역근행이 바로 후세에 소림권법으로 일컫는 무술로 분화 된 것이다.
그 뒤 숭산 소림사에서는 무심한 좌선행보다 역근행쪽이 수도에 효과가 있었고 재미도 있었으므로 승려들 사이에 큰인기를 모았다.
| | |
부활한 소림무술 |
|
|
이후 17세기 중엽 명(明)나라가 망하고 청(?)이 건국되었을 때는 새 왕조를 반대하는, 이른바『반청복명』(反淸復明)운동의 근거지로 떠올라 당시 민중들에게 깊은 신뢰와 감동을 주었으며, 소림사 승려들이 익히던 무술들이 민간으로도 빠르게 전파 되었다.하지만 소림사나 소림무술들이 승승장구-영광의 세월만 누려온 것은 아니었다. 특히 1898년부터 3년간 화북(化北)지방 일대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된 의화단(義和團)사건의 주동 세력들이 소림권법을 휘두르는 무술인들 이었다고 하여 청 국군을 격파한 미국.독일.일본등 이른바 연합군들은 소림무술을 철저하게 탄압했다. 이 때문에 소림사는 인적마저 끊긴 폐찰로 버려지는 비운의 시기를 수십년이나 격었으며, 소림 무술도 고수들이 산이나 지방으로 흩어지거나 사라져서 그 명맥을 �z기조차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던 중, 홍콩의 영화사들이 중국고유무술을 테마로한 오락영화를 만들어 세계시장에 내놓았는가 하면, 흥미진진한 무협 소설을 통해서 소림무술을 비롯한 정통무예를 tro함으로써 잊혀져가던 소림사와 그 무술 고수들을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되살아 났다.
아무튼 1985년에는 등소평(登小平)을 비롯하여 조자양(趙紫陽),호효방(胡搖邦)같은 당시 중국 최고의 실권자들이 폐허화된 이 절을 방문하고 재건과 무술의 복원에 열의를 보였다. 이에따라 무술고승인 소희(素喜)스님등 80여명이 명맥이 흐트러진 소림무술의 가닥을 새로 잡고 발굴해서 정리하기 시작했으며,
지난 1989년제2회 서울아시아우슈선수권대회, 1990년 제11회 북경아시안게임, 1991년 제1회 세게우슈선수권대회 1992년 제1차 한.중 무술교대회 및 세계무술박람회 1992년 제3회 아시아우슈선수권대회 1993년 제1회 동아시아경기대회 1993년 제2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1994년 제12회 일본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1995년 제3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1997년 제4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1997년 제2회 부산동아시아경기대회 1999년 제5회 세계우슈선수권대회
에서는 이 정통무술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으며, 또한 2004년 올림픽에 시범종목으로 결정 되었고, 2008년 올림픽에는 정식종목으로 채택될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한국의 우슈는 메달박스 종목으로 주목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2000년3월 현재 대한우슈협회 소속 전국16개 시도에 276개의 체육관이 있으며, 수련인구는 약30여만명으로 등록선수는 2천여명이다. 국제심판12명등 4단이상의 지도자는 1,513명이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