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농산물 시장에 조만간 위기가 올 것 같아요. 중국마저 폭설로 작황이 엉망이에요. 그러니 임금 싼 캄보디아에서 농사를 지으면 중국이나 한국에서 큰돈을 벌 수 있어요."
한국이 미국의 주택금융 위기만 바라보고 있는 동안 월스트리트의 전문가들은 농산물 시장의 위기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제프리 커리 상품팀장은 "향후 1년~1년 6개월 내에 상품시장, 특히 농산물 부문이 위기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식탁의 위기'를 공개적으로 경고한다. 외신들은 '식량 공포' '식량 위기'라는 단어 사용을 서슴지 않는다.
전문가들이 우려할 만한 현상은 벌써 벌어지고 있다. 세계 최대 농산물 생산국인 미국에서조차 식품가격이 뛰고 있다. 지난해 옥수수 가격은 62%, 콩값은 31% 올랐다. 올 들어 상황은 더 심각해져, 지난 1월의 밀 가격은 전년보다 90%나 뛰었다. 이집트와 파키스탄은 20여년 만에 식량배급제를 부활시키고, 러시아와 중국은 소매가격을 동결했다. 세계 각국은 경쟁적으로 곡물수입 관세를 낮추고 있다.
농산물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가뭄과 폭설로 생산이 줄어드는 데 반해, 옥수수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 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으로 수요가 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달러 약세로 갈 곳을 잃은 투기자본들이 '사재기'에 나섰다.
사람들은 대체로 농산물 위기라고 하면 유가가 폭등하는 오일쇼크 정도를 연상한다. 하지만 기름이 없어서 승용차를 운행하지 못하는 상황과, 식량이 없어서 굶어야 하는 상황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체감 강도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주식(主食)인 쌀이 남아도니까 식량위기를 남의 집 불보듯 할 수 있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미국 옥수수 가격이 뛰면 미국 옥수수 사료를 먹는 한국 쇠고기의 가격이 뛴다. 주부들은 가족들이 좋아하는 쇠고기와 빵이 식탁에서 사라지는 모습에 한숨을 내쉬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서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은 커진다.
벌써 미국의 식품업체들은 원료가격이 상승하자 미국 곡물의 해외수출을 제한하라고 정부에 압력을 넣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사막에 농사를 짓기 위해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시설을 건설 중이다. 하지만 유엔식량기구는 "1년에 2모작, 3모작하는 정도의 신기술을 개발해야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고 걱정한다. 자원은 공장제품과 달리 공급을 늘리려면 수년씩 걸린다. 그래서 선진국들은 안정적 확보를 위해 입도선매와 같은 금융선물(先物) 기법을 쓴다.
새 정부가 '자원외교'를 하겠다며 총리의 역할을 재규정했다. 하지만 자원 문제는 외교관이 외국을 많이 돌아다닌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월스트리트맨들은 맨해튼에 앉아서 선진금융기법을 동원해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돈을 번다. 자원확보는 철저히 가격(價格)의 방정식이기 때문이다. C씨는 "식량 위기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지만, 한국 금융은 여전히 이자놀이나 주식투자 수준"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사람들은 대체로 농산물 위기라고 하면 유가가 폭등하는 오일쇼크 정도를 연상한다. 하지만 기름이 없어서 승용차를 운행하지 못하는 상황과, 식량이 없어서 굶어야 하는 상황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체감 강도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주식(主食)인 쌀이 남아도니까 식량위기를 남의 집 불보듯 할 수 있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미국 옥수수 가격이 뛰면 미국 옥수수 사료를 먹는 한국 쇠고기의 가격이 뛴다. 주부들은 가족들이 좋아하는 쇠고기와 빵이 식탁에서 사라지는 모습에 한숨을 내쉬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면서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은 커진다.
벌써 미국의 식품업체들은 원료가격이 상승하자 미국 곡물의 해외수출을 제한하라고 정부에 압력을 넣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사막에 농사를 짓기 위해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시설을 건설 중이다. 하지만 유엔식량기구는 "1년에 2모작, 3모작하는 정도의 신기술을 개발해야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고 걱정한다. 자원은 공장제품과 달리 공급을 늘리려면 수년씩 걸린다. 그래서 선진국들은 안정적 확보를 위해 입도선매와 같은 금융선물(先物) 기법을 쓴다.
새 정부가 '자원외교'를 하겠다며 총리의 역할을 재규정했다. 하지만 자원 문제는 외교관이 외국을 많이 돌아다닌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월스트리트맨들은 맨해튼에 앉아서 선진금융기법을 동원해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돈을 번다. 자원확보는 철저히 가격(價格)의 방정식이기 때문이다. C씨는 "식량 위기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지만, 한국 금융은 여전히 이자놀이나 주식투자 수준"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로 가는 아이들 (0) | 2008.02.28 |
---|---|
'하늘의 쓰나미' 황사 한국, 어떻게 대처할까? (0) | 2008.02.23 |
재앙의 전조? `물의 도시` 베니스 물이 사라졌다 (0) | 2008.02.20 |
아일랜드·스페인·캐나다·이스라엘·뉴질랜드 … 지구촌 5대 이민자 천국 (0) | 2008.02.18 |
지금처럼 고기 먹으면 지구가 못견딘다 (0) | 2008.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