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래는 얼마나 많은 물을 입 속에 담을까? 이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계산이 나왔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과 미국 버클리 대학의 과학자들은 학술지 ‘해양생태학(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1월호에 실린 논문을 통해 구체적인 계산 결과를 내놓았다.
긴수염고래의 경우 대형 스쿨버스 크기에 해당하는 바닷물을 입 안에 담을 수 있다.
최대 26미터 길이의 긴수염 고래는 한꺼번에 삼킨 2,900 세제곱 피트 가량의 바닷물을 걸러내 ‘겨우’ 11kg의 크릴을 얻게 된다. 이 때문에 고래는 하루에 4시간을 사냥해야 하루 필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긴수염 고래는 수심 200미터에서 시속 11km의 속도로 헤엄친다. 이는 높은 속도에서 낙하산을 펴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낳는다. 수압이 증가하면서 입이 점점 더 크게 벌어지고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입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동물인 고래는 가장 작은 먹이를 먹고 산다. 크릴의 크기는 1~2cm에 불과하다. 고래들은 이 작은 먹이를 먹기 위해 막대한 바닷물을 삼키고 걸러내는 일을 반복해야 한다.
(사진 : 연구팀의 보도 자료)
/팝뉴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과 미국 버클리 대학의 과학자들은 학술지 ‘해양생태학(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1월호에 실린 논문을 통해 구체적인 계산 결과를 내놓았다.
긴수염고래의 경우 대형 스쿨버스 크기에 해당하는 바닷물을 입 안에 담을 수 있다.
최대 26미터 길이의 긴수염 고래는 한꺼번에 삼킨 2,900 세제곱 피트 가량의 바닷물을 걸러내 ‘겨우’ 11kg의 크릴을 얻게 된다. 이 때문에 고래는 하루에 4시간을 사냥해야 하루 필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긴수염 고래는 수심 200미터에서 시속 11km의 속도로 헤엄친다. 이는 높은 속도에서 낙하산을 펴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낳는다. 수압이 증가하면서 입이 점점 더 크게 벌어지고 엄청난 양의 바닷물이 입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동물인 고래는 가장 작은 먹이를 먹고 산다. 크릴의 크기는 1~2cm에 불과하다. 고래들은 이 작은 먹이를 먹기 위해 막대한 바닷물을 삼키고 걸러내는 일을 반복해야 한다.
(사진 : 연구팀의 보도 자료)
/팝뉴스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이야기 1년, 업주 백기홍씨의 눈물 어린 고백 (0) | 2007.12.03 |
---|---|
최장수 기록? 산전수전 다 겪은, 26살 검은 고양이 (0) | 2007.12.03 |
사상 최대 속도, 초속 1300km로 은하 탈출하는 중성자 별 (0) | 2007.12.03 |
80년 된 비스킷 통, 3,000만원에 팔렸다. "과자도 들어있어" (0) | 2007.12.03 |
공룡의 피부~ 피부와 인대 남은 6700만년전 ‘공룡 미라’ (0) | 200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