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식의 서울역사산책> 北村일대 역사공간⑤
3ㆍ1운동의 발상지, 중앙고등학교계동 현대사옥에서 중앙고등학교에 이르는 남북축의 일직선 진입로는 해방직후 건국운동의 주요 동선으로서 뿐아니라, 3ㆍ1운동의 발상지로서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공간이었다।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으로서 한국민족주의의 신기원을 이룩한 3ㆍ1운동은 처음에 천도교계와 기독교계, 그리고 학생세력이 각각 별도의 거사를 모색하다가 천도교측과 기독교측을 중심으로 운동의 일원화를 이루어내면서 급류를 탔는데, 그 주요 거점이 바로 종로의 배후 근거지였던 북촌이었다। 이제 3ㆍ1운동 거사 준비과정을 머리에 그리며 이 길을 따라 가 보도록 하자. 계동 김성수의 거처- 천도교계와 기독교계의 첫 접촉 현대사옥을 지나 중앙고등학교를 향해 쭈욱 걷다보면 오른편 대동정보산업고로 꺾어지는 골목 어귀에 3ㆍ1운동 당시 인촌 김성수가 거처하였던 계동 130번지 김사용의 집이 있었다। 당시 중앙고보의 주인이었던 김성수가 서울에 올라와 살던 집으로, 1919년 2월 11일 최남선의 편지를 받고 급거 상경한 이승훈이 현상윤의 중개로 중앙고보 교장 송진우와 역사적인 만남을 가진 장소이다. 3ㆍ1운동의 거사 준비는 1919년 1월 하순 일본 동경 유학생 송계백이 계동 중앙고보 숙직실로 교사 현상윤을 방문해, 교장 송진우와 함께 한 자리에서 동경 유학생들의 거사 계획을 알리고 '2ㆍ8 독립선언서' 초안을 전달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 때 현상윤과 송진우, 보성고보 교장으로 그 학교 출신 송계백으로부터 같은 소식을 전해들은 최린, 그리고 최남선은 재동 68번지 최린의 집과 중앙고보 숙직실 등지에서 회동을 거듭하며 거사를 모의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민족자결 원칙에 입각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는데 의견의 일치를 보고 1월말에서 2월초에 걸쳐 여기에 참여할 민족대표를 교섭하는 작업에 먼저 착수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교섭을 받은 박영효 윤용구 한규설 김윤식 등 대한제국 시기 요로에 있던 명망가들이 난색을 표하면서 거사계획은 처음부터 난관에 봉착하였다. 그리하여 종교계를 중심으로 하는 거사가 모색되었는데, 천도교계의 경우 그 중진인 최린이 이미 참여하고 있으므로 별 문제가 없었으나 기독교계의 경우는 새로 그 지도자를 교섭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유력한 후보로 떠오른 인물이 바로 평안북도 정주에서 오산학교를 경영하고 있던 이승훈 장로였다. 그리하여 2월 7일경 최남선이 인편으로 이승훈에게 급히 상경을 요망하는 편지를 보내고 이승훈이 서울로 올라오게 된 것이다. 계동 김성수의 거처에서 있은 회동에서 최남선을 대신해 나온 송진우가 천도교측에서 기독교측과 힘을 합쳐 독립운동 거사를 할 의향이 있다는 제안을 하자, 이승훈은 그 자리에서 쾌히 승락을 하고 곧바로 기독교계의 세 규합에 착수하였다। 그러니까 계동 김성수의 거처는 간접적인 형태로나마 천도교계와 기독교계가 첫 접촉을 하고 독립운동 일원화의 물꼬를 튼 역사적인 장소였던 셈이다. 현재 계동 130번지 김사용의 집 동편으로는 1923년 무렵부터 김성수 부자가 살았던 대저택이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역사적인 면에서 뿐 아니라 북촌 한옥마을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그의 집은 일반인의 출입을 일체 금한 채 철옹성처럼 꽉 닫혀 있다. 한용운의 거처- 불교계의 민족대표 합류 2월 11일 이승훈과 송진우의 회동으로 물꼬를 튼 천도교측과 기독교측의 거사 일원화 작업이 이후 순탄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었다। 양측의 매파 역할을 하던 송진우가 운동 일선에서 한 발 물러선 때문이었다. 천도교측과의 연락이 두절되자 평안도 일대에서 동지를 규합한 다음 2월 17일 재차 상경한 이승훈은 한때 기독교계 단독의 거사를 생각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2월 21일 최남선이 이승훈의 숙소로 찾아와 이승훈과 최린의 회담이 전격 성사됨으로써 기독교측과 천도교측의 합작 교섭은 다시 급물살을 탔다। 이승훈과 함태영은 2월 24일 최린과 함께 송현동 34번지 현 덕성여중 자리에 있던 천도교 중앙총부로 손병희를 방문하여 양측의 독립운동 일원화 방침을 최종 확정한다. 천도교측과 기독교측의 합작교섭을 마무리지은 최린은 이어 계동 43번지 만해 한용운 스님의 거처로 찾아가 불교계의 민족대표 참여를 내락받았다। 천도교계와 기독교계, 불교계 지도자들로 이루어진 민족대표의 골격이 비로소 완성되는 순간이었다. 당시 최린이 찾았던 한용운 스님의 거처는 앞서 김성수의 거처에서 중앙고 진입로를 따라 50m쯤 올라간 지점에 있다। 지금의 중앙탕이라는 목욕탕 골목 맞은편 두번째 집이다.(계동 43번지) 30평 남짓한 초라한 한옥집인데, 한용운이 1918년 9월 월간지 <유심(唯心)>을 창간하여 12월 3권까지를 발행한 곳이다. 한용운은 1910년 12월 '조선불교유신론'을 저술한 이래 민중불교의 사상에 입각해 불교개혁운동을 전개하였는데, 그가 편집겸 발행을 맡았던 <유심>지 또한 불교를 대중화하는 데 목적을 둔 잡지였다। 그런데 이렇게 유서깊은 장소가 불교계의 관심에서조차 멀어진 채 날로 쇠락해 가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이 집을 만해기념관으로 꾸며 일제의 조선불교 왜색화에 맞서 불교개혁운동을 전개한 만해 스님의 정신을 기리고, 김성수의 거처와 중앙고등학교를 연계시켜 3ㆍ1운동의 정신을 되새기는 역사교육장으로 조성했으면 하는 기대를 가져본다. 건준 창립본부의 전철을 되밟지 않았으면 하는 안타까운 마음에서다. 아무튼 중앙고 진입로변 김성수의 거처와 한용운의 거처는 3ㆍ1운동 당시 천도교계와 기독교계의 첫 만남이 이루어진 장소이자, 여기에 불교계까지 가세시켜 민족대표 33인의 윤곽을 완성한 공간이었다। 중앙고보 숙직실 터와 손병희 집터- 3ㆍ1운동 거사준비의 시작과 매듭3ㆍ1운동 당시 한용운의 거처에서 100m쯤 언덕길을 오르면 정면에 중앙고등학교가 모습을 드러낸다। 정문을 지나 앞 마당으로 접어들면 서편의 6ㆍ10만세운동 기념비와 짝을 이루고 서 있는 ‘삼일운동 책원지’라는 기념비가 눈길을 끈다. 중앙고등학교 남동쪽 앞마당, 이 곳은 3ㆍ1운동의 책원지가 된 중앙고보 숙직실이 있었던 곳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동경유학생 송계백이 찾아와 현상윤과 송진우에게 유학생들의 거사 계획을 알리고 '2ㆍ8 독립선언서' 초안을 전달함으로써 3ㆍ1운동의 도화선을 놓은 장소이다। 기념비 동북쪽으로는 학교 담장가에 당시의 모습대로 복원된 숙직실 건물이 삼일정신을 기념하며 서 있다. 너무 후미진 곳이라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이 아쉽다. 중앙고등학교를 나와 서쪽길로 돌아 내려오다 보면 가회동사무소가 있는 곳에 ‘손병희 집터’와 ‘이상재 집터’라고 쓰여진 두개의 표지석을 발견하게 된다। 민족대표 33인의 좌장이었던 천도교 제3대 교주 손병희의 집이 있었던 곳이다. 그러나 이 표지석의 위치가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다. 손병희의 800평도 훨씬 넘는 대저택이 있었던 가회동 170번지는 현재 가회동사무소 북쪽의 한의원과 음식점, 그리고 그 뒤편의 민가 몇 채를 아우르는 권역이었기 때문이다. 손병희의 집은 3ㆍ1운동 거사 전날인 2월 28일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23인이 상견례를 겸해 서로의 지면을 익히고 독립선언식의 절차를 협의하기 위해 최종 회합한 장소로 유명하다। 그런데 이 자리에서 공개적인 장소에서의 독립선언식이 가져올 만일의 사태를 우려하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그 결과 거사장소가 당초 예정했던 탑골공원에서 평소 손병희가 자주 찾던 인사동의 요리점 태화관으로 급작스레 바뀌게 된다. 명월관 분점 태화관은 일제의 한국 강제병합 당시 매국노 이완용이 살며 나라 팔아먹는 역적모의를 했던 곳이다। 그러니까 나라를 팔아먹는 모의를 한 그 장소에서 독립을 선언한다는 것 또한 의미없는 일은 아니었다. 그러나 대중과 유리된 민족대표들만의 독립선언식 거행이 과연 적절한 처사였을까? 최린을 비롯해 이후 친일로 전향한 적지 않은 수의 민족대표들의 행적이 오버랩되며 드는 아쉬움이자 안타까움이다.
<장규식의 서울역사산책> 정동 일대 역사공간③
대한제국 중립외교의 거점, 손탁호텔이화여고 심손기념관 자리의 언더우드학당예원학교 정문 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이화여고 동문 안으로 들어서면, 붉은 벽돌로 치장한 건물 한 채가 학교의 오랜 연륜을 자랑이라도 하듯 우뚝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이화여고 교정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라고 하는 심손기념관이다. 1915년에 지어진 지상 4층, 반지하 1층의 건물로, 건축기금을 기탁한 미국여성 사라 심손(Sarah J। Simpson)의 이름을 따 ‘심손기념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6.25전쟁 때 파괴된 것을 1960년대 초에 복원하였는데, 그래서인지 처음 건축할 당시의 모습을 하고 있는 건물 남쪽 부분에 비해 뒷부분은 다소 현대적인 느낌을 준다. 화려한 장식이나 기교는 없지만, 벽돌의 붉은 빛깔과 창문 인방에 사용된 흰색의 돌, 그리고 검은 지붕이 한데 어울어져 담백한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건물이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청교도적인 개신교 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건물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이화여고에서 기념비적 건물로 자랑하는 정동 32번지의 심손기념관 자리는 본래 경신고등학교의 전신인 언더우드학당이 있던 곳이었다। 언더우드(H.G. Underwood, 元杜尤)가 자신의 집 길건너 편의 한옥 한 채를 구입하여 학교를 개설한 것은 1886년 5월이었다. 당시 그는 ‘제중원 교사’로 알렌이 설립한 제중원에 나가 일하면서, 자신을 찾아와 영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을 모아 주일학교 형태의 학교를 꾸리고 있었다. 교육선교의 필요성을 느낀 그는 일차로 고아와 극빈아동들을 위한 학교를 세울 계획을 세우고, 1886년 2월 외아문의 인가를 받아 그 해 5월 정식으로 학교의 문을 열었는데, 그것이 이른바 언더우드학당의 시작이었다. 처음에 고아 한 명으로 시작한 언더우드학당은 2개월도 채 못되어 학생수가 10명으로 늘어나는 등 순조로운 발전을 보였다। 언더우드가 양자처럼 키운 민족운동가 김규식 또한 이무렵 학당에 다녔던 초창기 학생들 가운데 하나였다. 이후 마펫(1890-1893), 밀러(F.S. Miller, 閔老雅: 1893-1897) 등이 언더우드의 뒤를 이어 학당 일을 맡아보면서, 학당은 점차 고아원학교의 성격을 탈피하여 일반 학교의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 학당장이 바뀌면서 학교의 이름 또한 원두우학당에서 예수교학당, 구세학당, 민로아학당 등으로 변하였다. 이 때 학당을 거쳐간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이 바로 도산 안창호였다। 청일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전투인 평양성전투를 겪으며 깨달은 바 있어 단신 상경한 안창호는 정동길을 걷다 우연히 만난 밀러 선교사의 권면을 받고 언더우드학당에 첫 발을 들여 놓았다. 학당을 다니며 신학문과 기독교에 눈을 뜬 그는, 1896년 11월 서재필의 지도로 배재학당안에 조직된 협성회에 준회원 자격인 찬성원으로 참여하여 토론회와 여론정치라는 새로운 정치문화를 경험한다. 그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1898년 봄 그곳의 교회 지도자들과 함께 독립협회 평양지회를 조직하면서, 새로운 세대의 청년지사로서 세상에 이름을 알렸다. 이렇듯 언더우드학당은 비록 규모는 초라했지만, 안창호 김규식같은 민족지도자들을 배출하며 한국근대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겼다। 그러나 ‘교육전담자가 부족하고 학교는 시기적으로 적당치 않으며 복음전도에 주력해야 한다’는 미국 선교본부의 결정에 따라 1897년 10월 문을 닫는다. 그리고 4년 후인 1901년 1월 종로5가 연동교회 부속건물에서 게일(J.S. Gale) 목사를 제4대 교장으로 하여 예수교중학교(1905년 儆新學校로 개명)라는 이름으로 다시 개교함으로써 오늘날의 경신학교가 되었다. 1895년 정동여학교와 교회가 종로5가 연못골과 서대문안으로 각각 이주하고, 1897년 언더우드학당이 문을 닫은 데 이어, 북장로회 선교본부 또한 1904년경 연못골 선교기지로 완전히 이주함에 따라 북장로회 선교부의 정동시기는 그 막을 내린다। 언더우드 자신도 정동 사택에서 1905년 남대문밖 도동, 지금의 도큐호텔 부근에 신축한 사저로 이사를 하였다. 황궁의 부지 확장을 위해 정동기지를 대한제국 궁내부에 전매토록 조치한 결과였다. 그래서 지금 예원학교 일대에서 당시의 자취를 찾을 수는 없지만, 이 일대는 길건너편의 이화학당․정동감리교회․배재학당으로 이어지는 미 북감리회 선교본부와 더불어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의 양대 거점을 이루었던 유서깊은 곳이었다. 손탁호텔 터- 독립협회의 산실 심손기념관(Simpson Memorial Hall) 맞은편으로 현재 이화 100주년기념관 건축공사가 한창인 예전 주차장 자리는 개항후 서울에 세워진 최초의 서양식 호텔 손탁호텔이 있었던 곳이다। 정동 일대가 북촌에 이어 개화 개혁운동의 새로운 거점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은 정동구락부(貞洞俱樂部)가 결성되면서부터였다। 당초 정동구락부는 미국공사 실, 프랑스영사 플랑시, 조선정부의 미국인 고문 다이와 리젠드르, 그리고 언더우드 아펜젤러 등 선교사들과 민영환 이완용 윤치호 이상재 등 조선인 관료들이 사교를 목적으로 조직한 친목모임이었다. 그러나 모임을 거듭하면서 조선의 중립국화를 꾀하는 등 점차 정치적 색채를 띠기 시작하여, 이른바 춘생문사건이나 아관파천 등에 깊숙히 개입하고, 특히 독립협회(獨立協會)의 모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동구락부가 결성된 시기는 『토쿄아사히신문(東京朝日新聞)』 1895년 6월 29일자에, 러·영·미 제국 공사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이완용 윤치호 등이 그들 나라 공사관원과 함께 정동구락부라는 것을 조직하려고 계획중이라는 기사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대략 1895년 6월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 그들의 주요 활동무대가 되었던 곳이 정동 소재 손탁의 사저였다. 정동구락부의 ‘마돈나’ 앙뜨와네트 손탁(Antoinette Sontag: 孫澤)은 독일에게 점령당한 알자스 로렌 출신의 프랑스계 독일인으로, 1885년 10월 서른 두살의 나이에 초대 러시아공사 베베르 가족을 따라 서울에 첫 발을 내딛은 이래 1909년 9월 고국인 프랑스 칸느로 돌아갈 때까지 25년간이나 한국에 머무르며 사교계의 꽃으로 활약한 인물이다। 『윤치호일기』에 따르면 ‘미스 손탁’은 베베르 처남의 처형이었다고 한다. 아무튼 그녀는 베베르의 추천으로 궁중의 외국인 접대 업무를 맡아 각종 연회를 주관하면서 사교계에 데뷔하였다. 그리고 타고난 사교성에 능숙하게 익힌 한국어로 민비는 물론 고종과도 거리낌 없이 마주 대하는 사이가 되었다. 이후 그녀는 러시아공사관과 궁중을 수시로 오가며 양측의 연락을 담당하였다. 청일전쟁후 민비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려 할 때 그 다리를 놓았던 것도 그녀였다. 그 공로로 손탁은 1895년 고종으로부터 정동에 있는 왕실소유의 한옥 한 채를 하사받았는데, 손탁호텔의 전사(前史)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원채 넉넉하고 사람 사귀기를 좋아하는 성품이어서 그랬는지 몰라도, 손탁은 이내 정동 자신의 집을 서구풍의 인테리어로 단장하고 서울에 사는 외국인들의 사교장으로 개방하였다। 그 뒤 그녀의 집은 살롱으로 변하여, 정동구락부를 비롯한 각종 사교모임의 무대가 되었다. 그리고 삼국간섭 이후 을미사변·춘생문사건·아관파천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격랑의 진원지로 급부상한다. 한편 정동 손탁의 집은 정동구락부를 모체로 1896년 7월 2일 외부(外部) 건물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공식 발족한 독립협회의 비공식적인 활동무대이기도 하였다। 독립협회는 당초 독립문과 독립공원의 건설을 목적으로 서재필과 정동구락부 인사들이 발기한 단체였다. 그런데 1897년 5월 23일 모화관을 개수하여 ‘독립관’ 현판식을 거행하고 입주하기까지, 독립협회는 근 1년 가까이 변변한 사무실 한 칸 없었다. 그래서 정동구락부 시절과 마찬가지로 손탁의 ‘살롱’이 여전히 일상적인 모임 장소로 애용되었던 것같다. 『대조선독립협회회보』 등을 보면, 회장 안경수의 정동 조선은행 사무소가 초기 연락처로 나온다. 『경성부사(京城府史)』(1934)에 따르면, 1902년 10월 손탁은 정동 ‘살롱정치’의 본 무대였던 구 가옥을 헐고 그 자리에 2층 양옥의 손탁호텔을 건축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손탁호텔은 본래 황실 궁내부에서 거액의 자금을 들여 지은, 궁내부 소속의 특정호텔이었다. 대외관계가 복잡해지고 외국 귀빈들의 방문이 빈번해지면서 그들을 접대하고 머물게 할 영빈관(迎賓館)이 절대적으로 필요해진 때문이었다. 그래서 1902년 10월 건물을 준공하고, 손탁에게 경영을 맡겼다. 『구한국 외교문서』에서는 그 이름을 ‘한성빈관(漢城賓館: 孫澤夫人家)’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보통 ‘손탁호텔’로 불렸다. 정동 29번지, 지금의 이화여고 동문안 주차장 자리이다. 손탁호텔은 러시아 건축기사 사바틴이 설계했다고 하는데, 러시아풍 2층 양옥에 25개의 욕실이 딸린 객실을 갖추고 있었다। 2층은 귀빈용 객실로 이용했고, 아래층에는 일반 객실과 주방·연회장·식당·커피숍이 있었다. 정동 공사관거리에 위치한 관계로,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이 곳 식당에 모여 손탁의 프랑스 요리와 커피를 즐기며 친교를 나누곤 하였다. 손탁호텔의 위치와 관련해서는, 한때 정동 16번지 구 하남(何南)호텔 자리가 그 곳으로 알려진 적이 있었다। 1898년 3월 궁내부에서 러시아공사관 대문 왼편에 방 5개가 딸린 황실 소유 벽돌건물 한 채를 그동안의 노고를 치하하는 뜻으로 손탁에게 하사한 기록이 있는데, 아마도 그 건물을 손탁호텔로 오인한 것이 아닌가 싶다. 러시아공사관 대문 왼편이라면, 바로 구 하남호텔, 현 캐나다대사관 신축부지이기 때문이다. 『경성부관내지적목록(京城府管內地籍目錄)』(1917)에 의하면, 손탁은 정동에 3필지 총 1,675평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 첫번째가 정동 29번지 손탁호텔 자리의 1,184평이고, 두번째가 정동 16번지 구 하남호텔 자리의 418평이었다. 그리고 중명전 부근 정동 1번지 1호에 73평의 땅이 있었는데, 만약 손탁호텔 터가 손탁의 원 사저 자리가 아니라면 이 곳이 정동구락부의 활동무대였던 손탁의 첫 사저 자리였을 가능성도 있다. 1905년 11월 이토오 히로부미가 손탁호텔에 여장을 풀고 대한제국 대신들을 불러 ‘을사보호조약’의 체결을 강요한 데서도 드러나듯이, 대한제국 중립외교의 거점으로 이름을 날리던 손탁호텔은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한 이후 화려한 시절의 막을 내린다। 자신의 뒷배경이 되어주었던 러시아 세력이 퇴조하면서 손탁은 덕수궁 대한문 건너편에서 팰리스호텔을 경영하던 보에르에게 호텔을 양도하고, 1909년 9월 고국인 프랑스로 돌아갔다. 그 뒤 손탁호텔은 일반 호텔로 탈바꿈하여 ‘손탁호텔’이란 이름으로 계속 영업을 하다가, 1917년 이화학당에 팔려 한동안 대학과의 기숙사 겸 교실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1922년 그 자리에 3층짜리 프라이 홀(Frey Hall)을 지을 때 헐려 자취를 감추고 만다. 설상가상이라고 할까. 1923년 9월 완공한 프라이 홀마저 1975년 5월에 화재로 소실되어, 지금은 빈터만 덩그라니 남아있으니 말이다.
'▒ 월남이상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제에서 만난 월남 이상재 선생 (0) | 2007.11.15 |
---|---|
월남 이상재 선생 영정 (0) | 2007.08.15 |
월남 이상재선생의 생애 (0) | 2007.08.08 |
이상재선생과 안윤섭 (0) | 2007.08.08 |
1888년부터 초대 주미공사관원으로 이완용과 함께 근무했던 이상재,,, (0) | 2007.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