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도는 보통화가들은 형사(形似,겉만 닮는것)에 능하다고 하였고
진실로 예술에 있어서의 '닮지않은 닮음'에 이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그렇기때문에 '닮지않은 닮음'에 이른 그림이라야
비로소 훌륭한 그림이라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 석도의 말은 후세의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이런 정신은 석도를 흠모하고 따랐던 청대 중기의 옹방강같은 사람에 의해
제자인 추사 김정희에게 전해지기도 합니다
이 사상은 제백석(1863~1957)에 의해 계승되었고 발전됩니다
제백석은 '닮음과 닮지 않음의 사이(似與不似之間)에 있는 것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제백석은 이어서
"닮지 않은 것은 '세상을 속이는 것(欺世)'이고
지나치게 닮은 것은 '세상에 아부하는 것(媚世)'이다"라고
정확한 구분을 해놓았습니다
이는 감상자가 그림을 보고 무엇을 그렸는지조차 분명히 알 수 없다면
그것은 사람을 속이는 예술이고
이와반대로 만약 그림이 지나치게 금방 드러날정도로 실물과 닮았다면
그것은 고의로 감상자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며
'닮지과 닮지 않음의 사이'에 있어야만
비로서 귀한 그림이라 할 수 있다는 의미일 듯 싶습니다
'▒ 서화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도작품(4) (0) | 2007.08.03 |
---|---|
석도작품(3) (0) | 2007.08.03 |
석도작품(1) (0) | 2007.08.03 |
서위(徐渭)의 파초도 (0) | 2007.08.03 |
양주팔괴(揚州八怪), 금농(金農, 1687-1764)(2) (0) | 2007.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