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 ▒ W ▒ X ▒

Wild Mountain Thyme Joan Baez

천하한량 2007. 7. 20. 19:12
Wild Mountain Thyme 
 
야산의 백리향(百里香) 
 
   
- Sung by Joan Baez
 
Oh the summertime is coming
And the leaves are sweetly bloomin`
And the wild mountain thyme
All around the purple heather
Will you go laddie go
 
And we`ll all go together
To pluck wild mountain thyme
All around the purple heather
Will you go laddie go
 
If my true love
He will go
I will surely find another
To pluck mountain thyme
All around the purple heather
Will you go laddie go
 
** Repeat
 
I will build my love a tower
At the full near yonder fountain
Aye and on it I will pile
All the flowers of the mountain
Will you go laddie go
 
** Repeat
 
 
여름날이 오고 있어요
나뭇잎들이 신선하게 피어나고
야산의 백리향(百里香)은
자주빛 관목들 주위에서 자라고 있지요
이봐요 갈래요 ? 가자구요
 
자주빛 관목들 주위에서 자라는
야산의 백리향을 뽑으러
우리 모두 같이 갈거예요
이봐요 갈래요 ? 가자구요
 
내 진정한 사랑에도,
그는 떠나버릴거예요
자주빛 관목들 주위에서 자라는
야산의 백리향을 뽑으러 가기 위해
난 반드시 다른 사람을 찾을거예요
이봐요 갈래요 ? 가자구요
 
** 반복
 
난 내사랑에게 저너머에 있는 샘
바로 가까이에 오두막을 하나 지어줄거예요
그리고 그 위에정자를 빙 둘러서
산에서 따온 꽃들을 쌓아 놓을거예요
이봐요 갈래요 ? 가자구요 
 
** 반복
 
 
 NOTES... 
 
 
 
::::  Joan Baez  ::::
 
   우리에게 <The River In The Pines>, <Wild Mountain Thyme>, <Donna Donna> 등으로 잘 알려진, 은은한 매력을 발산하는 여성 포크가수 존 바에즈는 1960년대 포크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아티스트이다.
  1940년 1월 9일 뉴욕주 스테이턴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그녀는 50년대 후반 캠브리지와 보스턴에서 자신의 기타 반주로 노래하며 음악생활을 시작했다. 그후 포크의 천국인 그리니치 빌리지로 활동무대를 옮기며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60년대 데뷔앨범「Joan Baez」를 내놓은 데 이어「Joan Baez Vol 2」와 「ln Concert」를 발표했다. 63년 그녀의 최초이자 최대의 히트를 기록하는 곡 <We Shall Over-come>이 담긴 앨범「The Best Of Joan Baez」를 1966년에 「Noel」을 공개한 그녀는  보다 폭넓은 음악세계를 팬들에게 선사한다.
   자작곡으로 꾸며진 앨범 「Come From The Shadows」를 72년에 발표한 후, 다시 골드를 기록하는 앨범「Diamonds And Rust」로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75년 후반부터 밥 딜런과 함께 순회공연을 가졌고 77년에 앨범「Blowin Away」를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79년에 발표되는 앨범 「Honest Lullaby」와 더불어 프로테스탄트 송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적극적인 활동은 그녀가 설립한 '국제인권보호회'에서 펼쳤던 그녀의 인권옹호운동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이었다.
   85년 라이브 에이드에 출연한 뒤 87년에 앨범 「Recently」를 공개하였다. 89년 스페인에서의 라이브를 담은 「Diamonds And Rust In The Bullring」 그리고 90년에 「Speaking of Dreams」를 발표하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From SekwangMusic
]
 
 
::::  포크뮤직의 거장 'Joan Baez', 그녀의 음악 그리고 'Bob Dylan'  ::::
 
   포크뮤직은 의식과 관계하는 음악이다. 누군가 그것으로 돈을 벌려고 한다면 그것은 포크뮤직이라 말할 수 없다.
   1960년대의 포크 뮤직이 저항과 리얼리즘의 성격을 갖추어 청년들의 절대적 호응을 받게 된 데는 '남과 여' 한 쌍의 힘이 컸다. 두 사람은 포크의 콤비로서 당시 젊은이들의 의식, 시각, 욕구 등에 양심적 가치가 우선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또한 '노래란 선율의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가사 또한 살아 숨쉬어야 한다'는 사실을 새삼 일깨워준 것도 두 사람의 공이었다.
   남자는 밥 딜런이요, 여자는 존 바에즈였다. 존 바에즈는 포크 프로테스트 시대에 딜런의 여성 대응자(對應者)라는 위치 하나만으로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는 이처럼 딜런과 '평등'을 누렸을 뿐 아니라 어떤 측면에서는 딜런보다 더 오래 간직했다. 딜런은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정치성으로부터 멀어져갔지만 바에즈는 끝까지 시대의 변화에 타협하지 않고 현실적 테마의 노래를 불렀다. 그래서 노선조정 이후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던 딜런과 달리 그의 여성 파트너는 레코드 회사로부터 따돌림을 받는 등 제도권의 박해공작에 시달렸다.
   또 하나 바에즈가 '비교 우위'를 점하는 부분은 포크의 대중화와 관련하여 바에즈가 딜런보다 시간상 한 발 앞섰다는 사실이다. 딜런이 1959년 미네소타 대학 주변의 다방에서 통기타를 치고 있을 때 바에즈는 제1회 뉴 포트 포크 페스티벌에 출연, 1만 3천 명의 관객 앞에서 노래했다. 딜런이 첫 앨범을 발표하여 신고식을 마친 1962년에 바에즈는 이미 스타로 떠올라 <타임>지의 커버스토리에까지 등장했다. 따라서 '포크 대중화의 선두주자'는 딜런이 아니라 엄연히 존 바에즈였다. 이를테면 그가 딜런의 선배인 셈이다. 사정이 이러한데 그를 '딜런의 여성 대응자'라 일컫는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딜런 우월주의(?) 혹은 습관적인 성차별이 깔려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존 바에즈는 실로 약자(弱者)를 위한 여교사와 같았다. 그는 늘 힘없는 사람과 상처받는 사람 편에 서서 노래했다.
   세상살이에 뒤쳐지고 외롭고 망가진 사람들을 위해 통기타를 울렸고 미국내의 약자 가운데 한 계층을 이루고 있는 가난한 이주민의 정서를 노래에 자주 실었다. 모든 '어둠의 자식들'이 존 바에즈의 진정한 벗이었다. 국내에도 널리 알려져 있는 존 바에즈의 올타임 리퀘스트들인 '세상의 가련한 길손', '도나도나', '솔밭 사이에 강물은 흐르고' 등이 깊은 애조를 띠는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다. 약자의 편에서 노래를 하니 그 가락이 슬플 수밖에 없지 않은가. 그리고 바에즈는 그들을 달랜 것만이 아니라 잊혀진 자유, 잃어버린 권리를 쟁취하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시장으로 가는 짐차 위의 슬픈 눈망울의 송아지 한 마리, 그 위로 제비 한 마리가 날고 있네... 농부가 말했지. 불평일랑 하지 마. 누가 멍에를 쓰라고 했니. 넌 왜 제비처럼 자랑스레 자유로이 날 수 있는 날개가 없니... 송아지는 쉽게 갇혀 도살되지. 이유도 모른 채. 하지만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은 제비처럼 날아다니는 법을 배우지' '
도나 도나(Donna Donna)'
   존 바에즈는 나아가 이런 소외받는 계층 위에 군림하는 미국 정부, 그러면서도 전쟁만을 밝히는 미국 정부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너무 이상한 꿈(Strangest dream)'과 같은 반전가요를 잇따라 발표했고 심지어 공산주의에 동조하는 듯한 과격한 노래까지 불러 주위를 깜짝 놀라게도 했다.
   정치색이 짙은 노래를 지향한 맹렬 여성의 이미지는 이미 출생 순간부터 고리가 맺어진 운명이었다. 존 바에즈는 1941년 멕시코가 모국인 아버지, 스코틀랜드와 아이랜드 피가 섞인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했다. 그의 피부는 검었다. 백인 지배의 세상이었으니 어렸을 적부터 인종차별에 직면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치. 인구 8백 명인 뉴욕의 조그만 클레어렌스센터 마을에서 본낸 소녀시절에 대한 짧은 술회는 모든 것을 말해준다.
“마을 사람들이 알고 있는 한 우리는 니그로였다.”
그의 부친은 핵물리학자였다. 그래서 방위산업체로부터 스카웃 제의를 받곤 했지만 원폭의 가공할 위력을 알고 있는지라 번번히 거절했다고 하다. 존 바에즈의 아버지는 뼈대있는 집안의 가장으로서 '돈보다는 인류애'를 선택하는 이러한 줏대는 고스란히 딸에게 대물림한다.
   딸은 민중적, 반(反)상업적 성격을 특질로 하는 포크 음악을 하리라 마음먹었다. 집에서 들은 음악은 바하, 비발디, 모차르트였고, 여고시절에는 교내합창단(캘리포니아 팔로 알토 소재의 학교)에서 노래를 불러 다분히 '클래식적인' 분위기였지만 마음은 통기타에 끌렸다. 졸업 직전 주머니를 털어 시어즈 로벅 기타를 구입한 그는 모친의 영향으로 보스톤 대학의 연극과에 입학하긴 했지만, 학업에는 뜻이 없었고 포크의 전당인 하바드 스퀘어 주변의 다방을 드나들곤 했다. 그는 한때 1년 공연 개런티로 10만 달러 이상을 주겠다는 프로모터의 제의를 일언지하에 거절한 바 있다. 그는 “포크 뮤직은 의식과 관계하는 음악이다. 누군가 그것으로 돈을 벌려고 한다면 나는 그것을 포크 뮤직으로 말할 수 없다”며 거부 이유를 밝혔다. 과연 그 아버지에 그 딸이다.
   존 바에즈는 이 세상이 부자와 빈자로 뚜렷이 이분되어 있음을 일찍이 간파했다. 초기 노랫말을 보면 약자의 교사답게 '가난'이라는 어휘가 무수하게 등장한다.
'난 가난한 소녀야. 운명이 변변치 못하지. 날 항상 쫓아다니는 짐마차꾼의 아이가 있지. 그 앤 밤낮으로 날 유혹하지... 우리 부모는 그를 좋아하지 않아. 가난하기 때문이래. 따를 가치가 없다는 거야. 그는 생계를 위해 일하고 그 돈은 자기 것인데.'
'짐마차꾼 아이(Wagoner`s Lad)'
'삶이 돈으로 살 수 있는 거라면 아마 부자는 살고 가난한 자는 죽어야 할거야. 신이여, 나의 시련을 끝내주소서.' '나의 시련(All My Trials)'
   미리 지적했듯 존 바에즈는 1950년대 말 보스톤으로 이사와 하바드 스퀘어 일대에서 활약하면서 수면위 급부상의 기틀을 다진다. 이윽고 1959년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포크가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했는데 얼마전 이를 담은 음반이 국내에 소개되었다)에 출연, 1만3천 명 청중의 뇌리에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게 된다. 당시 <뉴욕 타임즈> 기자 로버트 셀톤이 그 관객들 가운데 끼어 있었고 그는 바에즈의 노래를 듣고 난 뒤 '스타가 탄생했다'는 기사를 썼다. 셀튼 기자는 그녀를 '전율을 자아내는 풍부한 비브라토와 열정적이고 잘 통제된 전달능력을 소지한 젊은 소프라노'라고 극찬했다. 1962년 <타임>지는 그를 커버스토리로 다루면서 '존 바에즈는 현 포크진영의 신인 가운데 가장 재능있는 가수'라고 언급했다. 그 해 그녀는 3장의 음반을 발표하면서 선풍적 인기를 누리기 시작했고, 이듬해에는 포크 무대에서 자신의 '남성 대응자'인 밥 딜런과 조우하여 함께 뉴 포트 포크페스티벌 무대에 서는 등 콤비플레이를 전개, 주목을 끌기도 했다.
   존 바에즈는 관념적 지성을 배격하고 실천적 가치를 최고로 삼고 사고를 행동에 직결시키려는 자세로 살아갔다. 단호하고 대담하기만 했던 그의 행적을 약식으로 정리해 본다.

*1963년 8월 : 흑백 차별 폐지와 인종평등을 기치로 내건 워싱턴 대행진에 참여
*1964년 4월 : 자신에게 부과된 1963년 소득세의 60%에 대해서는 납세를 거부한다고
  국세청에 통보(그 60%가 국방비로 지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1964년 11월 : 국세청은 1963년 소득세의 납부 거부에 대해 5만1백82달러의 벌금을
  부과(1965년 12월에는 1964년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은 데 대해 3만7천달러의 벌금을
  부과했고 1966년 12월에도 전년도 소득세를 내지 않아 세액이 75%증가했다고 통보. 2년
  연속 그의 납세거부 이유는 '월남전 분위기 고조'였다)
*1965년 4월 : 백악관 정문에서 반전 시위
*1966년 12월 : 1964년 데스로 죄수들에게 내려진 사형선고 감형을 촉구하는 크리스마스
  기도회에 참석
*1967년 9월 : 징병거부자를 대상으로 입대영장 반송 운동을 조직화하는데 가담
  (5백명이 실행)
*1967년 10월 :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육군 검사대에서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연좌 농성.
  해산하지 않고 도로를 점령, 통행을 방해했다는 죄목으로 3명 모두 10일간 수감
  (집안 전체가 운동권이다!)
*1968년 3월 : 징병거부 운동의 지도자인 데이비드 해리스와 연대, 여학생들에게
  'No라고 말하는 남학생들한테 Yes'할 것을 촉구

   반전과 인종평등을 위한 것이라면 뭐든지 다했다. 연좌 농성, 프리덤 라이드, 데모, 시가행진 등 모든 형식의 '저항'에 적극 참여했으며, 그런 것들이 순회공연을 대신했고 또 그런 것들이 순회공연 내용이기도 했다. 심지어 1965년에는 캘리포니아의 카멜 밸리에 있던 교사(校舍)를 개조해 '비폭력 연구사무소'(그 모토는 비폭력은 반드시 폭력을 이긴다)를 개설하기까지 했다. 이곳에서 수강생들은 『간디와 핵시대』와 같은 평화 관련 서적을 탐독했고 평화에 대한 세미나와 강의를 들었다. 강사는 물론 존 바에즈!
   그런데 카벨 밸리의 일부 주민들은 연구소 회원과 수강생들이 '아름다운' 자기네 영토에 침투,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즉각 연구소 활동을 중지하라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순진한 마을 사람들 눈에는 이들이 히피, 그리고 자유연애를 부르짖는 '위험 인물'로 비쳐졌던 모양이다. 하지만 그들의 클레임은 실효를 거두지 못했고 연구소는 상당 기간활동을 지속했다.
   마을주민뿐 아니라 미국 정부도 존 바에즈를 '통기타치는 파괴분자'쯤으로 간주했고 '페스트'같은 존재로 치부했다. 그가 대학생들에게는 '명성'일지 몰라도 정부에게는 '악명'이었다. 여러 차례 정부 관계자들이 직, 간접적으로 '유감'을 표해왔지만, 그는 이에 전혀 아랑곳하지 않았다. 그와 함께 현장을 뛴 동지이자 운동권의 지휘자인 데이비드 해리스와 1968년 결혼했다. 개혁과 투쟁을 결혼생활에 까지 이어간 이런 여성이 어찌 제도권의 협박에 흔들렸으랴.
   우리에게 존 바에즈는 밥 딜런과의 로맨스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사실 그녀는 딜런을 진정으로 사랑했고 딜런도 그를 모델로 한 '조안나의 비전(Vision of Johanna)' 등의 곡을 써 간접적으로 애정을 표시하기도 했지만 이 부분은 입장의 동일함(기간이 짧았지만)에 의한 동지애로 평가해야 할 줄로 여긴다.
   한 가지 꼭 짚고 넘어갈 사항이 있다면 밥 딜런은 포크록이라는 장르를 개척하는 등 록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거인으로 추대되는 반면 막상 존 바에즈는 음악적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록 평론가들 중에 그의 작품을 걸작으로 꼽는 사람은 없다. 아마도 그가 직접 곡을 쓰지 못했다는 실력 폄하와 포크는 했지만 너무나 고운 목소리를 지녔다는 거부감이 작용했다고 생각된다. 딜런도 언젠가 “존 바에즈의 목소리는 포크하기에 너무 아름다워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미성의 소유자였기 때문에 실상 음반 판매면에서는 딜런을 앞서나갔고, 특히 포크의 프로테스트적 성격을 오래 견지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비평계가 조금은 잔인했다는 느낌이 없지 않다.
   1970년대 이후 존 바에즈에게 정치색은 즐어들고 대신 사회사업가적 면모가 나타난다. 음악에도 변화가 일어나 전속 레코드사가 뱅가드에서 A&M으로 바뀌면서 통기타의 자연음으로부터 일렉트릭 기타 사운드로 탈바꿈, 딜런의 전철을 밟는다. 이렇듯 변화가 깃들고 존 바에즈라는 이름 자체가 갖는 신비력이 떨어지고 있던 1971년에 이르러서야 '올드 딕스를 내몰았던 밤(The Night They Drove Old Dixie Down)'이라는 곡이 처음으로 빌보드 싱글차트 10위권에 진입했으니 이런 아이러니가 없다.
   1980년대에 그는 팝 음악의 공식 무대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메이저 레코드사들의 기피 때문이다) 간간이 군비축소, 인종 차별 폐지, 자연보호 등 현실문제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비록 반전가요나 이념송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입장선회로 빠지지 않았으며 50대인 지금도 여전히 인기를 지향하는 상업가요를 배격하고 있다.
   현재의 모습이 어떠하든 실로 '1960년대의 존 바에즈'는 기념비적이다. 대중음악의 역사를 아무리 자세히 들여다보아도 현실 반영과 저항의 올곧은 태도로 무대 또는 장외활동에 임했던 여가수는 그 외에 찾기 어려운 까닭이다. 1963년 존 바에즈는 잡지 <룩>에 이렇게 밝힌 바 있다.
“나는 낙태로 아이를 죽이는 행위, 인종차별로 정신을 말살시키는 행위 등과 같은 실제사건에 강한 관심을 갖고 있다. 난 노래하길 좋아하고 신소리를 하자면 사람들은 내 노래 듣기를 좋아한다. 난 이 두 가지 측면을 결코 분리시킬 수가 없다. 그것들이 나의 모든 부분들이기 때문이다.”
   그의 현실에 대한 관심은 계속되고 있다. 노래에 대한 애정도 계속되고 있다. 두 부분 아니 그의 모든 부분은 그가 체력의 한계를 느끼는 그 순간까지 변함없을 것이다. 1992년 말 존 바에즈는 버진 레코드사에서 앨범 <나를 되돌려주오(Play Me Backwards)>를 발표했다. 그의 28번째 음반이었다.                                                       [ From Izm.co.kr (임진모) ]
 
 
*bloom : 꽃이 피다, 개화하다. 번영하다, 한창 드날리다, 전성기를 뽐내다(flourish).
                생기(건강미)가 넘치다. 화려한 색깔로 빛나다.
   - These flowers bloom all the year round.   이 꽃들은 일년 내내 핀다.
*thyme : 백리향(百里香)[광대수염과(科) 에 속하는 관목. 약용·향미료용].
*heather : 히스(heath)속의 작은 관목.
*heath : 英》 [히스 따위가 무성한] 황야, 황무지.
                히스[황무지에 무성하는 석남과(科)의 상록 관목]. one's
   - native heath 고향.
*laddie : 주로 스코, 젊은이, 소년(young lad, boy).
                부르는 말로 아가야, 도련님; 속어 여보게, 자네.
            cf. lassie(소녀, 아가씨, [여자] 애인 (sweetheart).
*pluck : …을 잡아뜯다(...off), 따다(pick); …을 쥐어뜯다, 뽑다(... up, out)
   - 
pluck off fruit   과일을 따다
  
- pluck up (or out) the weeds   잡초를 뽑다
*yonder : [주로 방언·고어] 저곳의, 저쪽의, 저쪽에, 저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