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음(曉吟)-강백년(姜栢年)
새벽에 시를 읊다-강백년(姜栢年)
小雨絲絲濕一庭(소우사사습일정) : 가는 비가 보슬보슬 온 뜰을 적시는데
寒鷄獨傍短墻鳴(한계독방단장명) : 추위에 떠는 닭만 낮은 담장 가에서 운다.
幽人睡起身無事(유인수기신무사) : 묻혀 사는 사람, 잠 깨어 일어나 아무 일 없어
徒倚南窓望翠屛(도의남창망취병) : 다만 남창에 기대어 푸른 산병풍을 바라본다.
--------------------------------------------------------------------------------
山行(산행)-姜柏年(강백년)
산행-姜柏年(강백년)
十里無人響(십리무인향) : 산 길 십리 인기척 전혀 없고
山空春鳥啼(산공춘조제) : 산은 고요한데 새소리만 들리네
逢僧問前路(봉승문전로) : 스님 만나 갈 길 물었지만
僧去路還迷(승거노환미) : 스님 떠나자 도리어 길 모르겠네
--------------------------------------------------------------------------------
除夜借高蜀州韻(제야차고촉주운)-姜栢年(강백년)
섣달 그믐날-姜栢年(강백년)
酒盡燈殘也不眠(주진등잔야불면) : 술이 다하고 등블이 다해도 잠은 오지 않고
曉鐘鳴後轉依然(효종명후전의연) : 새벽 종소리 울린 후에 여전하구나
非關來年無今夜(비관내년무금야) : 내년을 생각마라 오늘 같은 밤 다시 오지 않으니
自是人情惜去年(자시인정석거년) : 이제부터 사람들 마음 가는 해를 아쉬워하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