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육신이개 ▒

사육신 (死六臣) 이야기

천하한량 2007. 4. 1. 22:24
사육신 (死六臣)

조선시대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죽음을 당한 6명의 신하.

성삼문(成三問:1418~56)· 하위지(河緯地:1387~1456)· 이개(李塏:1417~56)· 유성원(柳誠源:?~1456)· 박팽년(朴彭年:1417~56)· 유응부(柳應孚:?~1456) 등을 일컫는다. 조선시대 제4대 국왕인 세종은 정도전의 재상 중심의 정치운영론과 태종의 왕권강화론을 절충하면서 유교적 이상국가를 수립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세종은 왕권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학문연구기관으로 집현전을 설치·운영하고, 국왕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유교에서 말하는 정치론은 강력한 군주에 의한 정치운영론이 아니고 유학의 소양을 갖춘 사대부가 정치운영의 중심이 되는 정치론이었다. 그러므로 세종이 국왕과 신하의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한 정치운영을 지향했지만 현실은 자연히 신하가 중심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특히 세종 말년에 국왕이 병환으로 정치운영에 참여할 기회가 적어지자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들은 종래 유학연구나 국왕의 정책보좌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가의 정치 정책에 깊이 간여하게 되었다. 그결과 집현전의 성격은 점차 언론·학문 기관에서 정치기관으로 변화해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1450년 세종이 죽자 집현전의 활동은 더욱 강화되었고, 그들은 자신들의 소망관직인 대간으로 대거 진출했다. 집현전의 관계진출은 문종이 2년 3개월 만에 죽고 나이 어린 단종이 즉위하면서 더욱 활발해졌다. 이때 문종은 단종이 나이가 어려 직접정치를 할 수 없으므로 황보인·김종서 등의 신하들에게 어린 왕을 보필하도록 당부했다. 이에 따라 재상의 합의체인 의정부는 국왕을 보필하고, 국왕과 정사를 의론하는 최고정무기관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정치운영의 중심기구로 변모했다. 이는 유교에서 말하는 신하 중심의 정치운영론보다 소수의 재상이 전권을 독단하는 현상으로 나타남으로써 집현전을 중심으로 하는 유학자들에게 불만을 사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태종 이래로 강력해진 왕실은 소수의 재상에 의한 정치운영에 불만을 품었다. 이는 세종이 많은 왕자를 남겨놓았으나 적장자 왕위계승에 따라 문종의 장자인 단종이 어린 나이에 국왕에 오름으로써, 상대적으로 왕실의 힘을 약화시키고 소수의 재상에 의해 정치가 독점되는 제도의 모순을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세종의 왕자 중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과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은 유능한 인물로서 중앙정치에 불만을 품고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결국 이 시기에 중앙정치의 내부는 소수의 재상과 젊은 유학자, 그리고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의 흐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수양대군은 김종서·황보인을 제거하고 자신과 경쟁자인 안평대군을 강화로 유배보냈다가 사사(賜死)시켰다. 그리고 후환을 없애기 위해 김종서와 뜻을 같이하는 이징옥을 파면하고, 이에 불만을 품고 1453년에 일어난 이징옥의 난을 진압함으로써 중앙과 지방의 적대세력을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스스로 영의정부사·이조판서·병조판서·내외병마도통사 등을 겸직하면서 정권(政權)과 병권(兵權)을 독차지하고, 권람·한명회·홍달손과 간접적으로 도운 정인지·한확·최항·신숙주·성삼문 등 43명을 정난공신(靖難功臣)으로 봉했다. 이어서 수양대군은 형식상 선양(禪讓)의 절차로 왕위에 올랐다.

성삼문 등의 집현전 학자들이 정난공신에 봉해진 이유는 황보인·김종서 등 소수의 재상이 전권을 장악한 것에 불만을 품은 것에 연유한다. 즉 그당시 집현전 유학자들은 유교에서 말하는 다수의 유학자가 참여하고 공론을 실현하는 신하중심의 정치운영론을 이상으로 여겼으므로 소수 재상중심의 정치운영론에 불만을 느꼈고, 수양대군의 정적제거에 동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세조의 집권은 집현전 출신 유학자들의 생각과 다른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세조는 왕의 전제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의정부서사제도를 폐지하고 육조직계제를 실시했다. 이는 의정부의 권한 약화와 왕권의 강화를 통해 국왕이 중심이 되는 정치운영을 지향한 결과였다. 집현전 출신의 관료들은 즉시 반대했다. 이들은 정치운영을 국왕 1명에게 맡길 수 없다는 것과 대다수 관료가 참여하는 신하중심의 정치운영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은 관철되지 못하고 정국은 세조의 독주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에 세조의 전제권 강화에 불만을 품은 유학자들이 세조를 왕위에서 몰아내고 폐위된 단종을 복위시키려는 계획을 도모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사육신의 단종복위계획으로 나타났다. 단종복위의 명분은 세조의 불의와 찬탈에 대한 것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이와 같이 정치운영론을 둘러싼 신권과 국왕권의 대립·갈등이었다.

집현전 출신의 유학자가 참여한 이 계획은 성삼문·박팽년·이개·하위지·유성원·유응부가 중심이 되어 진행했다. 이들은 집현전을 모의 장소로 정하고 여러 차례 의론한 결과, 1456년(세조 2) 6월 창덕궁에서 명나라의 사신을 맞이하는 자리를 이용하여 세조를 살해하고 단종을 복위시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한명회의 주장으로 연회 절차의 변동이 있게 되자 거사가 미루어지게 되었다. 이때 단종의 복위운동에 참여한 김질(金)이 장인인 정창손에게 알렸고, 정창손은 다시 세조에게 알렸다. 세조는 이들을 잡아들였고 거사는 실패했다. 주모자인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는 모두 처형당했다. 이들을 사육신으로 명명한 것은 남효온이 지은 〈추강집〉(秋江集)에 나오는 육신전(六臣傳)에 의한 것이다. → 계유정난, 세조찬위

한편 〈조선왕조실록〉과 〈추강집〉의 기록이 달라 육신(六臣)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개·성삼문·박팽년·하위지·유성원·박중림·권자신·김문기·성승·유응부·박쟁·송석동·최득지·최치지·윤영손·박기년·박대년 등 17인이 반역을 꾀했으며, 주모자는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김문기 순으로 6인 만이 기록되어 있다. 김문기는 도진무로서 박팽년과 모의할 때 군 동원의 책임을 맡았다고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사료에 따라 김문기를 현창(顯彰)하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사육신묘에 김문기의 가묘(假墓)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사육신 구성은 변경되지 않았다.

 

 

****************

 

 

사육신(死六臣)

 

   사육신(死六臣)이란?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고, 왕이 되자 이에 불복하고 단종 복위에 힘을 쓰다 목숨을 잃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등 6명의 충신을 부르는 말이다.

1453년(조선 단종 1년)부터 1456년(세조 2년)에 걸쳐 수양대군(首陽大君=세조)이 단종을 축출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절개 있는 신하들에게 화를 입힌 사건을 계유사화, 병자사화(癸酉, 丙子士禍)라고 말한다.

문종의 외아들로 태어난 단종은 8세때 왕세손(王世孫)에 책봉되고 문종이 승하하자 1452년 12살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다. 그러자 숙부인 수양대군은 왕위찬탈의 야심을 품고 김종서(金宗瑞), 황보인(皇甫仁) 등의 중신들을 살해하는 한편, 친동생 안평대군(安平大君) 마저 사약을 내려 죽이고 전권을 장악하여 재위 2년 만에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양위하게 되었다.

결국 수양대군은 조선의 일곱 번째 임금 세조가 되었다.

이에 분개를 느끼고 '하나의 태양 아래서 두명의 왕을 섬길 수 없다'는 절의파인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단종 복위운동이 일어났다. 세조는 이를 사전에 알고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등 사육신을 참형하고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시켜 강원도 영월로 귀양을 보낸 후 뒤에 17살의 조카에게 사약을 내려 죽게 하였다.

육신의 절의
 
수양대군(세조)이 단종을 축출하고 왕(王)위에 오르면서 절개있는 신하에게 화(禍)를 입힌 사건이다.

이에 분개(憤慨)를 느끼고 『하나의 태양(太陽) 아래서 두명의 왕을 섬길 수 없다』는 절의파(節義派)인 집현전(集賢殿) 학사(學士)들에 의에 단종 복위운동(復位運動)이 일어났다.

박팽년(朴彭年), 성삼문(成三問), 이개(李塏), 하위지(河緯地), 유성원(柳誠源), 유응부(兪應孚)가 중심이 되어 성삼문 아버지 적곡(赤谷) 성승(成勝) 박팽년(朴彭年) 아버지 한석당(閑碩堂) 박중림(朴仲林) 단종(端宗)의 외숙 권자신(權自愼), 윤영손(尹鈴孫), 김질등 많은 동지를 규합(糾合)하여 상왕으로서 수강궁(壽康宮)에 있던 단종(端宗)의 복위(復位)와 그 기회(機會)를 기다렸다.

세조 2년 병자(丙子) 1456년 6월 1일 명나라 사신 윤봉(尹鳳)이 우리나라에 와 있었는데 창덕궁 광연전(廣延殿)에서 상왕(上王)이 되신 단종(端宗)을 모시고 명나라 사신(使臣)의 초대연을 열기로 했다.

이때 박팽년 등은 이 기회(機會)를 노려 세조의 무리들을 모두 제거해 버리고 상왕(上王)이 되신 단종(端宗)을 복위(復位)케 하려 했다.

이 연회에 도총관(都摠管)인 성승과 유응부(兪應孚) 박쟁(朴諍)등이 별운검(別雲劍)으로 연석에 들어가 거사(擧事)하기로 되었으나 결행 직전 한명회(韓明澮)는 갑자기 단종(端宗)을 참가하지 못하게 하고 운검(雲劒)도 들어가지 못하게 하니 일은 실패로 돌아갔다.

일이 이같이 되자 김질(金瓆)은 동지(同志)를 배반(背反)하고 그의 장인인 정창손(鄭昌孫)과 결탁(結託)하고 6월 2일 사정전(思政殿)으로 달려가 세조(世祖)에게 밀고(密告)하니 피비린내 나는 참극의 막이 오르게 되었다.

 

단종의 숙부(叔父)인 수양대군(세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면서 이를 반대하며 단종의 복위를 추진하다 수양대군에게 발각되어 죽임을 당한 조선 전기의 6명의 충신

성삼문(태종(太宗)18년 1418 - 세조(世祖)2년 1456년)
자(字)는 근보(槿甫) 눌옹(訥翁) 호(號)는 매죽헌(梅竹軒)이며 본관(本貫)은 창녕(昌寧) 부(父)는 도총관(都摠管) 승(勝)이고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이다.
세종(世宗) 20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하위지(河緯地)와 함께 세종(世宗) 29년 문과중시(文科中試)에 장원(壯元)했다.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에서 집현전(集賢殿) 수찬(修撰)을 거쳐 왕명(王命)으로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을 편찬(編纂) 하였다.
경정관(逕庭官)이 되어 항상 세종(世宗)을 가까이에서 모셔 총애(寵愛)를 받았다.
세종 24년 박팽년(朴彭年), 신숙주(申叔舟), 하위지(河緯地), 이석정(李石亭) 등과 더불어 삼각산(三角山) 진관사(津管寺)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 했고 정음청(正音廳)에서 정인지(鄭麟趾), 최항(崔恒), 박팽년(朴彭年), 신숙주(申叔舟), 강희안(姜希顔) 이개(李塏)등과 함께 한글의 창제(創製)를 앞두고 당시(當時) 요동(遼東)에 유배(流配) 되어 있던 명나라의 한림학사(翰林學士) 황찬(黃瓚)에게 13번(十三番)이나 래주(來注)하면서 음운(音韻)을 질의하고 다시 명(明)나라에 여러번 건너가서 음운(音韻)과 교장(敎場)의 제도(制度)를 연구(硏究) 그 정확(正確)을 기(期)한 끝에 세종(世宗) 28년(1446년) 9월 29일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반포(頒布)케 했다.
세종(世宗)이 만년(晩年)에 숙환으로 온천(溫泉)에 갈때도 박팽년(朴彭年), 신숙주(申叔舟), 최항(崔恒), 이개(李塏) 등과 함께 항상(恒常) 배종 했다.
단종(端宗) 1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김종서(金宗瑞)를 죽이고 집현전(集賢殿)신하들에게 정난공신(靖難功臣)의 호(號)를 내리자 모두들 순번(順番)으로 축하연(祝賀宴)을 베풀었으나 이를 수치(羞恥)로 여겨 혼자 열지 않았다.
단종(端宗) 3년 예방승지(禮房承旨)로서 세조(世祖)가 단종(斷種)을 내쫓고 왕위(王位)에 오르자 국새(國璽)를 않고 통곡 했으며 다음해 좌부승지(左副承旨)로서 아버지 승(勝) 박팽년(朴彭年)등과 같이 단종(斷種)의 복위(復位)를 협의(協議) 4월 명나라 사신(使臣) 송별연회석상(送別宴會席上)에서 운검(雲劒)을 쥐게 된 아버지와 유응부(兪應孚)가 세조(世祖)를 죽이고 이어서 한명회(韓明澮) 권람(權擥) 정인지(鄭麟趾)등 일파(一派)를 없애기로 했으나 당일(當日) 운검(雲劒)을 들어오지 못하게 되어 후일(後日)을 기다리기로 했다. 이에 같은 모의(謀議)에 가담했던 김질(金瓆)이 성사(成事)가 안될 것을 우려하여 밀고(密告) 이개(李塏), 하위지(河緯地), 유응부(兪應孚) 등과 함께 체포 되어 친국(親鞫)을 받고 군기감(軍器監) 앞에서 거열(居烈)의 극형(極刑)을 받았다.
이에 부(父)인 승(勝)도 주모자(主謀者)로 극형(極刑)을 받았고 삼빙(三聘), 삼고(三顧), 삼성(三省)의 세 동생(同生)과 맹담(孟澹), 맹년(孟年), 맹종(孟終)과 갓난아기등 네 아들도 모두 살해(殺害) 되었다. 숙종 2년 홍주(洪州) 노은동(魯恩洞)에 있는 그의 옛집 옆에 세워진 녹운서원(綠雲書院) 숙종 7년 육신(六臣) 묘(墓)가 있는 노량진(露梁津)에 세워진 민절서원(愍節書院)의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의성(義城)의 학산(鶴山) 충열사(忠烈祠) 창영(昌寧)의 물계(勿溪) 세덕사(世德祠) 연산의 충곡서원(忠谷書院), 동학사(東鶴寺), 숙모전(肅慕殿) 등에 육신(六臣)이 함께 제향(祭享)한다. 영조(英祖) 34년에는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追贈) 시호(諡號)는 충문(忠文)이다. 능서(能書 글씨를 잘 썼다)
선생(先生)의 시(時)는 많이 전(傳)하나 병자(丙子)년 6월 8일 수레에 실려 형장(刑場)으로 끌려 갈 때 대여섯 살 밖에 안된 그의 딸이 따라오며 울부짖으니
그는 뒤돌아 보며
『사내아이는 다 죽어도 너만은 죽지 않으리라』
하고는 목에 매어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수레가 잠시 머물렀을 때 그의 종이 울면서 술을 올리니 몸을 숙여 받아 마시고 그의 충절(忠節)을 다음과 같이 시(詩)로 나타냈다.

식인지식의인의 食人之食衣人衣
소지평생막유위 素志平生莫有違
일사고지충의재 一死固知忠義在
현릉송백몽의의 顯陵松栢夢依依

譯)
임의 밥 임의 옷을 먹고 입으며
일평생 먹은 마음 변할 줄이 있으랴
이 죽음이 충과 의를 위함이기에
현릉(문종의 능)푸른 송백 꿈속에서도 못잊으리.


유응부(? - 세조 2년 1456)
자(字)는 신지(信之), 선장(善長) 호(號)는 벽량(碧梁) 본관(本貫)은 기계(杞溪)이며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의 한사람이다.
키가 크고 용모(容貌)가 엄정(嚴正)하며 무과(武科)에 급제 세종(世宗) 문종(文宗)의 총애(寵愛)를 받았음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평안도 절제사(平安道 節制使)를 거쳐 세조(世祖) 원년(元年)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이르렀다.
이해 박팽년(朴彭年), 성삼문(成三問)등과 단종(端宗) 복위(復位)를 꾀하여 명(明)나라 대신(使臣) 초대연(招待宴)에서 별운검(別雲劍)이 되어 세조(世祖)의 살해(殺害)를 책임(責任) 졌었으나 당일(當日) 운검(雲劒)을 폐(廢)하게 되어 후일(後日)로 미루다가 김질의 배신(背信)으로 탄로(綻露)되어 잡혀서 백면선생(白面先生)들과 동모(同謀) 실패(失敗)한 것을 분(憤)히 여기면서 고문(拷問) 끝에 죽었다.
유학(儒學)에 깊었으며 궁술(弓術)에도 뛰어 났다.
숙종때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追贈), 과천(果川)의 민절서원(愍節書院), 홍천(洪川)의 노운서원(魯雲書院), 연산(連山)의 충곡서원(忠谷書院), 대구 낙빈서원, 영월(寧越)의 창절사(彰節祠), 강령(康翎)의 충열사우(忠烈祠宇), 동학사(東鶴寺), 숭모전 등에 제향(祭享)
시호(諡號)는 충목(忠穆)이다.
시조(時調) 삼수(三首)가 전(傳)한다. 공(公)을 대표(代表)하는 일수(一首)는

함길도 절제사(咸吉道 節制使)

장군지절 진벌변 將軍持節 鎭伐邊
사색진청 사졸면 沙塞塵晴 士卒眠
준마오천 시유하 駿馬五千 嘶柳下
호응삼백 좌루전 豪鷹三百 佐樓前

역(譯)
장군의 지휘로 변방의 오랑캐를 무찌르고
세상이 조용하니 병졸들도 잠이 들었네.
준마 오천필이 버들 아래서 울고
사냥매 삼백은 루 앞에 앉아있네.


유성원(? - 세조 2년 1456)
자(字)는 태초(太初) 호(號)는 낭간(琅) 본관(本貫)은 문화(文化)이며 부(父)는 사인(舍人) 사근(士根)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 세종(世宗) 16년 식년무과(式年武科)에 급제 다음해 저작낭(著作郞)으로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 세종(世宗) 29년 무과중시(武科重試)에 급제했다.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로 세종(世宗)의 총애(寵愛)를 받았으며 세종(世宗) 32년 문종(文宗)이 즉위(卽位)하자 사경(司經) 수찬(修撰) 시교(詩敎)를 역임 문종원년(文宗元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다. 단종(端宗) 9년 김종서(金宗瑞)등을 살해(殺害)하고 정권(正權)을 잡은 수양대군(首陽大君)의 협박(脅迫)에 못이겨 청난공신(淸難功臣)을 록훈(錄勳)하는 교서(敎書)를 썼으나 그 후(後) 박팽년(朴彭年), 성삼문(成三問)등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세조 2년 일이 탄로(綻露)가 되자 자결(自決) 했는데 곧 책형( 刑)을 당(堂)하고 아들 귀연(貴連) 송연(松連)도 연좌(連坐) 됐다.
숙종 신미(辛未)에 복관(復官) 영조때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追贈) 홍천(洪川)의 노운서원(魯雲書院), 대구 낙빈서원, 연산(連山)의 충곡서원(忠谷書院), 영월(寧越)의 창절사(彰節祠), 동학사(東鶴寺) 숭모전에 제향(祭享)
시호(諡號)는 절의(節義)였으나 후(後)에 충경(忠景)으로 개시(改諡)하다.
「가곡원유」(歌曲源流)에 전(傳)하는 시조일수(時調一首)가 있으니

백산공해 마천령 白山拱海 摩天嶺
흑수횡곤 두만강 黑水橫坤 豆滿江
차지이후 비기처 此地李侯 飛騎處
잉간호로 자래강 剩看胡盧 自來降

(역(驛))
바다를 끌어들인 마천령산맥에
땅을 가로지른 두만강 물줄기어라
이곳에서 이후는 힘찬 말 달려 놓고
오랑케 항복받던 그 모습 눈에 선하네

이개(태종(太宗) 17년 1417 - 세조(世祖) 2년 1456)
자(字)는 청보(淸甫) 백고(佰高) 호(號)는 백옥헌(白鈺軒)이며 본관(本貫)은 한산(韓山) 이며 이색(李穡)의 증손(曾孫)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이다.
세종(世宗) 18년 문과(文科)에 급제 세종 23년 저작랑(著作郞)으로 『명황계감(明皇戒鑑)』의 편찬에 차여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創制)에도 참여했다.
세종 29년에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한 뒤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세조 2년 직제학(直提學)에 이르렀다. 이해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등과 함께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발각(發覺)되어 혹독(酷毒)한 고문(拷問) 끝에 죽었다.
본래(本來)에는 세조(世祖)와도 친교(親交)가 있어 진상(眞相)을 밝히도록 강요 당했으나 굽히지 않고 처형(處刑) 당했다. 시문(詩文)이 청색하고 하고 글씨를 잘 썼다. 대구의 낙빈서원(洛濱書院), 과천(果川)의 민절서원(愍節書院), 의성(義城)의 충렬사(忠烈祠) 영월(寧越)의 창절사(彰節祠) 연산의 둔암서원(遯巖書院), 홍천(洪川)의 노운서원(魯雲書院), 한산(韓山)의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동학사(東鶴寺) 숙모전 영조(英祖) 34년 이조판서(吏曹判署)에 추증(追增) 시호(諡號)는 의열(義烈) 이었으나 뒤에 충각(忠簡)으로 개시(改諡)하다.

선생(先生)의 시(詩)가 전(傳)한다.

제야(除夜)
세율영수진 歲律令垂盡
단좌부학사 端坐赴壑蛇
호아수갱루 呼兒數更漏
환부낙등화 喚婦落燈花
영야운음적 永夜雲陰積
엄풍설세사 嚴風雪勢斜
청담잉촉주 淸談仍促酒
불필아융가 不必阿戎家

역(譯)
이 해도 이제는 마지막인가
세월에 쫓기면서 오늘에 이르렀네
아이를 불러 시간을 불러볼까
아내를 불러 등불을 마지막 껐네
기나긴 이밤은 왜 구름에 쌓였는가
바람결에 눈발이 날리고 있네
술잔으로 정담을 나눠 볼까
아우의 집에 갈 일이 또 없어졌네


하위지(고려 우왕 13년 1387 - 세조 2년 1456)

자(字)는 천장(天章) 호(號)는 단계(丹溪) 연풍(延風) 본관(本貫)은 진주(晉州)이며 부(父)는 담(澹)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이다.
세종(世宗) 17년 생원(生員)이 되고 세종(世宗) 30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壯元) 이해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세종(世宗) 36년 집현전 교리(集賢殿 校里)가 되어 「오예의주」(五禮儀註) 상정(詳定)에 참여했다.
세종(世宗)38년 동복현감(同福縣監)인 형(兄) 강지(綱地)의 탐간죄(貪姦罪)로 사직(辭職)했고 문종원년(文宗元年) 직(直) 집현전(集賢殿)이 되어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보좌(補座)에 앞서 신정(新定)한 「진설」(陳設)의 교정(校正)과 「역대병요」(歷代兵要) 편찬에 참여했다.
단종(端宗) 2년 부제학(副制學) 예조참의(禮曹參議)등을 역임(歷任)하고 세조원년(世祖元年) 예조참판(禮曹參判)에 이르렀다.
침착(沈着) 과묵(寡默)한 성격(性格)으로 집현전(集賢殿)에 있으면서 왕의 측근(側近)에서 시정(施政)을 보필(輔弼) 했으며 세조(世祖)의 간청(懇請)으로 부득이(不得已) 벼슬 하는 동안 받은 녹(祿)을 먹지 않고 別室(別室)에 저장(貯藏)해 두었다.
다음 해 박팽년(朴彭年)등과 단종 복위(端宗 復位)를 꾀하다가 거사(擧事)가 실패(失敗)하자 체포(逮捕) 되어 거열형(車裂刑)에 처(處)해지고 형제제자(兄弟諸子)도 함께 죽었다.
숙종 신미(辛未)에 복관(復官)되고 영조(英祖) 무인(戊寅)에 증(贈) 이조판서(吏曹判書) 사시(賜諡) 정유(丁酉)에 명(命) 정여(旌閭) 선산(善山)에 월암서원, 대구 낙빈서원, 과천(果川)의 민절서원(愍節書院), 홍천(洪川)의 노운서원(魯雲書院), 연산(連山)의 충곡서원(忠谷書院), 영월(寧越)의 창절사(彰節祠), 동학사(東鶴寺) 숙모전(肅慕殿) 등에 제향(祭享) 능문(能文 글씨를 잘썼다)
시호(諡號)는 충열(忠烈)이다.
전(傳)하는 선생(先生)의 시(詩)가 있다.

사인증사의(謝人贈蓑衣)

남아득실고유금 男兒得失古猶今
두상분명백일임 頭上分明白日臨
지증사의응유의 持贈蓑衣鷹有意
강호연우호상심 江湖烟雨好相尋

역(譯)
도통 이를 보내준것에 감사함
사나이의 득실을 고금이 다룰게 없고
머리위엔 분명히 해가 비치고 있는데
도통이를 보내준 뜻 어찌 모르겠는가.
강호에 묻혀 조용히 살라는 그 참뜻을

박팽년1417(태종17)∼1456(세조2)조선 초기의 학자·충신

자는 인수(仁 ), 호는 취금헌(醉琴軒). 시호 충정(忠正). 본관 순천(順天)·한석당(閑碩堂) 중림(中林)의 아들. 1434년(세종 16)문과에 급제, 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집현전(集賢殿) 학사가 되어 여러 가지 편찬 사업에 참가하였다. 세종의 유명을 받아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문종을 보필, 문종이 재위 2년만에 돌아갈 때 역시 고명(顧命)을 받아 어린 단종을 돕다가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외직에 있을 때 수양대군(世祖)이 황보인·김종서와 안평대군(세종의 3남)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 박팽년은 형조참판으로 임명되었으나 성삼문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가, 김질의 밀고로 탄로되어 잡혀 죽었다. 이때 함께 화를 입은 성삼문·하위지(河 地)·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와 더불어 사육신(死六臣)이라 한다. 숙종 때 누명을 벗기고, 관작(官爵)을 복구, 시호를 내리고 절개를 표창하였다.

 

저서: 취금헌천자문(醉琴軒千字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