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당(湖堂)
조선조때 세종-숙종 간에 인재양성제도의 하나로 호당(湖堂)이란 제도가 있었는데 글재주와 덕이 있고 장래가 유망한 젊은 초급관리 중에서 대제학이 엄히 선발하여 장기 휴가를 주어서 공부 즉 독서에 전념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그래서 이를 독서당(讀書堂) 또는 사가독서(賜暇讀書: 휴가를 내려서 독서하게 한다)라고도 불렀다. 요즈음으로 말하면 초급관리 연수 또는 보수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세종 20년(1428)에 임금이 집현전 대제학 변계량을 시켜서 권채 등 3인을 뽑아서 장의사(藏義寺: 지금의 서울 구기동 구기초등학교 자리에 있었다 함)에서 공부하게 한 것을 시작으로 총 38회 269인이었다.
최초는 장의사, 세종24년의 2차는 진관사(현재 북한산 비봉 북쪽 진관내동에 있음) 등 한적한 산사(山寺)를 택하여 공부하게 하다가 중종 10년(1515)에 두모포(豆毛浦: 지금의 옥수동)에 건물을 짓고 [湖堂](호당)이란 현판을 붙였기 때문에 이때부터 호당(湖堂)이라 불렀다.
호당에 선발된 사람은 조선조 관리중의 엘리트로 인정 받는 것이기 때문에 등과에 비할 수 없는 큰 가문의 영광이다. 따라서 호당에 선발된 사실은 당연히 족보에 기록된다. 보통 ‘賜暇讀書’, ‘讀書堂’, ‘選湖堂’등으로 기록된다.
‘湖堂(호당)’이란 글자 그대로 하면 ‘호수가의 집’인데 두모포 즉 지금의 옥수동 한강 가에 독서당을 지어놓고 호당이라 한 것이다. 왜 하필 호당이라 하였을까?
한강이 한양을 지나면서 여러 개의 이름을 얻는다. 용산강(龍山江: 지금의 한강대교 부분), 마포강(麻浦江: 지금의 마포대교 부분), 서강(西江: 지금의 서강대교 부근) 등인데 유독 동강(東江)은 없고 동호(東湖)가 있다. 지금의 동호대교 부근을 말한다. 다른 곳은 모두 ‘강(江)’이라 불렀는데 이 곳 만은 ‘호(湖)’라 한 것이다.
지금은 하류 행주나루 아래 수중보를 막아서 한강의 어디를 보나 강 같지않고 호수같이 잔잔하다. 그러나 옛날에는 강 폭이 좁은 곳은 물살이 빠르고, 강폭이 넓은 곳은 물살이 없이 잔잔하고 조용하였다. 금호대교 위를 전철을 타고 지나며 유심히 보노라면 이 곳 강폭이 다른 어느 곳보다 넓다. 그래서 한강에 수중보가 없던 옛날에도 이 곳은 강처럼 물살이 빠르지 않고 호수처럼 조용하고 잔잔했다. 이 것이 이 부분을 ‘동강(東江)’이라 하지 않고 ‘동호(東湖)’라 하게 된 이유다.
호수 같은 잔잔한 물결이 마치 비단을 펼쳐 놓은 것처럼 아름다우니 ‘금호(錦湖)’라 하였는데, 거기에 다 당시로는 서울의 맨 상류이니 물이 맑기가 마치 옥(玉) 같으니 ‘옥수(玉水)’라 하였다. 이런 강물의 이름들이 지금의 동호대교, 금호동, 옥수동의 이름이 된 것은 말 할 것도 없다. 이 호수(湖水) 같은 물가에 독서당 집(堂)을 지어 ‘호당(湖堂)’이라 부르는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겠는가.
또 이 곳에는 두모포(豆毛浦)라는 포구(浦口)가 있었다. 지금의 옥수동이다. 세종 때 팔삭동이로 능직이로 출발하여 수양대군의 야심을 부채질하여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임금이 되도록 한 공으로 정난(靖難), 좌익(佐翼), 익대(翊戴), 좌리(佐理) 4공신의 1등공신이 된 세조의 측근 중의 측근 한명회(韓明澮)가 만년에 이 곳 강 건너에 화려한 정자를 짓고 압구정(狎鷗亭)이라 하여 지금의 압구정동 이름을 낳았는데 그 위치도 강 차안에 두모포 포구가 있었기 때문에 이 곳으로 잡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호당에 선발되어 일정기간 독서(공부)하는 동안에 어떠한 교육이 이루어 지는지 자료를 구하지 못하였으나 좋은 환경 특히 개인적으로 구하기 힘든 도서들을 잘 갖추어 놓고 자유스럽게 독서하면서 자습하게 하였던 것 같다.
대동야승(大東野乘)에 1권 용제총화(慵齊叢話)의 기록에 따르면 “세종께서 처음으로 집현전을 설치하여 문학 하는 선비를 모아놓고 조석으로 불러 물으면서도 오히려 문학이 떨치지 못할까 걱정하시고 공궤(供憒) 하기를 심히 풍성하게 하였다. 정통(正統: 중국 명나라 영종 때 연호) 임술(壬戌:세종24년,1442)에 평양(平陽) 박인수(朴仁叟: 朴彭年), 고령(高靈) 신범옹(申泛翁: 申叔舟), 한산(韓山) 이청보(李淸甫: 李塏), 창년(昌寧) 성근보(成謹甫: 成三問), 적촌(赤村) 하중장(河仲章: 河緯地), 연안(延安) 이백옥(李伯玉: 李石亨)이 왕명을 받들어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독서 할 제 학업을 부지런히 하면서도 시문(詩文)을 지어 증답(贈答)하기를 쉬지 않았다”고 전하고 ‘고산방석(高山放石)’, ‘지등(紙燈)’, ‘문적(聞笛)’등 연구시(聯句詩; 한 개의 시제를 놓고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한 구절씩 지은 시) 14수나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배석했던 일암(一庵)이라는 스님이 적어서 전한 것이라 한다. ‘고산방석’ 한 수만 기록해 본다.
이처럼 호당은 자유스럽고 여유있는 가운데 자습을 통해 공부하기 때문에 함께 든 동료 간에는 돈독한 우정을 갖게 되고 선의의 경쟁을 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호당에서 공부한 사람들 중에서 삼공(三公: 政丞), 육경(六卿: 六曺判書), 문형(文衡: 大提學) 등 높은 관직에 오른 사람이 많다.
전고대방(典故大方) 호당록(湖堂錄)
연도 |
대제학 |
인원 |
호 당 |
세종20년 (1438) |
변계량 (卞季良) |
3 |
권채(權採):우승지 안동인, 남수문(南秀文):직학 고성인, 신석조(辛碩祖):이참 영산인 |
세종24년 (1442) |
권제 (權踶) |
6 |
신숙주(申叔舟):영상 고령인, 박팽년(朴彭年):형참 순천인, 성삼문(成三問):승지 창녕인, 하위지(河緯地):예참 진주인, 이개(李塏):직학 한산인, 이석형(李石亨):판중 연안인 |
문종1년 (1451) |
정인지 (鄭麟趾) |
15 |
홍응(洪應):좌상 남양인, 최항(崔恒):영상 삭녕인 , 박원향(朴元享):영상 죽산인, 이영서(李永瑞):교리 평창인. 김수온(金守溫):영중추 영동인 , 서거정(徐居正):문형 달성인, 유성원(柳誠源):대사성 문화인, 이극감(李克堪):형판 광주인, 이승소(李承召):예판 양성인, 강희맹(姜希孟):찬성 진주인, 허조(許造):수찬 양천인, 박기년(朴耆年):수찬 순천인 박팽년 제. 이파(李坡):찬성 한산인 이개제, 성간(成侃):수찬 창년인, 김수녕(金壽寧): 호판 ? |
단종1년 (1453) |
신숙주 (申叔舟) |
5 |
노사신(盧思愼):영상 교하인, 이숙함(李淑함):이참 연안인, 임원준(任元濬):참찬 풍주인, 어세겸(魚世謙):좌상 함종인, 정난종(鄭蘭宗):참찬 ? |
세조1년 (1455) |
최항 (崔恒) |
6 |
홍귀달(洪貴達):대제학 부계인, 최숙정(崔叔精):부학 양천인, 노경동(盧瓊仝):대헌 ?, 성현(成俔):판서 ?, 안침(安琛):판서 순흥인, 표연수(表沿洙):제학 신창인 |
성종1년 (1470) |
서거정 (徐居正) |
16 |
채수(蔡壽):대헌 평강인, 김흔(金訢):공의 연안인, 조지서(趙之瑞):증도승지 임천인, 양희정(楊熙正):대헌 ?, 유호인(兪好仁):교리 고령인, 조위(曹偉):호참 창녕인, 허침(許琛):우상 양천인, 이의무(李宜茂) 사간 덕수인, 권건(權健):승지 ?, 신종호(申從頀):예참 소령인, 최부(崔溥):사간 나주인, 박증영(朴增榮):교리 밀양인, 권경유(權景裕):교리 안동인, 이달선(李達善):악정 ?, 이주(李胄):정언 고성인, 이승건(李承健):감사 우봉인 |
성종23년 (1492) |
어세겸 (魚世謙) |
9 |
이종준(李宗準):사인 ?, 신용개(申用漑):좌상 고려인, 김일손(金馹孫):기사관 김해인, 강혼(姜渾):판중 진주인, 최숙생(崔淑生):찬성 경주인, 권오복(權五福):교리 예천인, 김감(金勘):찬성 연안인, 이희순(李希舜):이좌 안악인, 이과(李顆):대간 ?, |
성종23년 (1492) |
어세겸 (魚世謙) |
6 |
홍언충(洪彦忠):교리 ?, 정희량(鄭希良):? 해주인, 김천령(金千齡):직학 경주인, 박은(朴誾):수찬 고려인, 임희재(任熙載):정자 풍천인, 허즙(許즙):지중 양천인 |
연산1년 (1495) |
홍귀달 (洪貴達) |
6 |
김전(金詮):영상 연안인, 권달수(權達手):교리 안동인, 이원(李黿):예정 경주인, 남곤(南袞):영상 의령인, 성중엄(成重淹):홍박 ?, 이목(李穆):평사 평안인 |
중종1년 (1506) |
김감 (金勘) |
8 |
이행(李荇):좌상 덕수인, 김세필(金世弼):이참 경주인, 이항(李沆):찬성 ?, 박상(朴祥):목사 ?, 이희보(李希輔):대성 평양인, 이장곤(李長坤):찬성 벽진인, 김안국(金安國):찬성 의성인, 이희증(李希曾):수찬 합천인, |
중종9년 (1514) |
신용개 (申用漑) |
18 |
이자(李耔):참찬 한산인, 유운(柳雲):대헌 문화인, 최세절(崔世節):호참 강릉인, 김안로(金安老):영상 연안인, 김정(金淨):형판 ?, 어영준(魚泳濬):사인 함종인, 심의(沈義):? ?, 민수천(閔壽千):대성 여흥인, 김정국(金正國):예참 ?, 홍언필(洪彦弼):영상 남양인, 성세창(成世昌):좌상 창녕인, 소세양(蘇世讓):대학 진수인, 정사룡(鄭士龍):대학 ?, 황여헌(黃汝獻):부사 장수인, 이언호(李彦浩):대헌 ?, 이여(李여):수찬 고성인, 채침(蔡忱):대헌 평강인, 신광한(申光 ):찬성 고령인 |
중종 년 () |
남곤 (南袞) |
22 |
한충(韓忠):수사 청주인, 김구(金絿):부학 ?, 윤자임(尹自任):승지 파평인, 최두(崔두):사인 광양인, 심언광(沈彦光):이판 삼척인, 박세희(朴世熹):승지 상주인, 정응(鄭應):전적 동래인, 유성춘(柳成春):이좌 선산인, 이약수(李若水):? ?, 기준(奇遵):응교 행주인, 장옥(張玉):판교 덕수인, 조광조(趙光祖):대헌 한양인, 남주(南趎):전적 고성인, 황효헌(黃孝獻):이판 장수인, 이충건(李忠楗):이좌 성주인, 양팽손(梁彭孫):교리 제주인, 구수복(具壽福):이정 능성인, 권운(權雲):교리 안동인, 윤형(尹衡):사성 해남인, 심사순(沈思順):승지 ?, 임백령(林百齡): ? 선산인, 송순(宋純):판중 신평인 |
중종18년 (1539) |
이행 (李荇) |
12 |
윤풍형(尹豊亨):감사 칠원인, 허백기(許伯琦):참판 김해인, 민제인(閔齊鱗):찬성 여흥인, 송인수(宋麟壽):대헌 은진인, 홍서주(洪敍疇):충감 남양인, 허항(許沆):이참 양천인, 주세붕(周世鵬):참판 상주인, 허자(許磁):찬성 양천인, 박홍린(朴洪鱗):대헌 함양인, 최연(崔演):판윤 江陵인, 엄흔(嚴昕):한림 영월인, 홍춘경(洪春卿):감사 남양인 |
중종 년 () |
김안로 (金安老) |
5 |
조사수(趙士秀):이판 양주인, 박충원(朴忠元):이판 밀양인, 홍섬(洪暹):영상 남양인, 송기수(宋麒壽):이판 은진인, 송구수(宋具壽):이판 은진인 송기수 제 |
중종33년(1538) |
소세양 (蘇世讓) |
9 |
임세(任說):판윤 풍천인, 김기(金祺):수찬 연안인, 정응두(鄭應斗):찬성 나주인, 오상(吳祥):이판 해주인, 이승효(李承孝):수찬 전의인, 임형수(林亨秀):목사 전의인, 남응룡(南應龍):공의 의령인, 윤인노(尹仁怒):호참 파평인, 윤현(尹鉉):호참 ? |
중종39년 (1544) |
성세창 (成世昌) |
16 |
나세찬(羅世纘):대헌 나주인, 이황(李滉):대학 진보인, 정유길(鄭惟吉):좌상 동 래인, 이홍남(李洪男):공의 ?, 유희춘(柳希春):부학 선산인, 민기(閔箕):우상 여흥인, 김주(金澍):예참 안동인, 민기문(閔起文):부학 여흥인, 박승임(朴承任):대간 반남인, 김인후(金麟厚):교리 울산인, 이담(李湛):감사 용인인, 윤희성(尹希聖):이정 파평인, 이원록(李元祿):공의 ?, 노수신(盧守愼):영상 광주인, 윤춘년(尹春年):이판 파평인, 윤결(尹潔):수찬 남원인 |
명종8년 (1553) |
신광한 (申光漢) |
11 |
한지원(韓智元):이좌 청주인, 박민헌(朴民獻):참판 반남인, 심수경(沈守慶): 우상 풍산인, 허화(許嘩):부학 ?, 유순선(柳順善):감사 진주인, 김귀영(金貴榮):좌상 상주인, 김홍도(金弘度):전한 안동인, 김질충(金質忠):교리 광산인, 윤의중(尹毅中):참찬 해남인, 김계휘(金繼輝):대헌 광산인, 안수(安璲):홍박 순흥인 |
명종10년 (1555) |
정사룡 (鄭士龍) |
10 |
이량(李樑):이판 전주인, 박계현(朴啓賢):예판 밀양인, 양응정(梁應鼎):대성 ?, 홍천민(洪天民):도승지 ?, 강극성(姜克誠):사인 ?, 박응남(朴應南):대헌 반남인, 유전(柳琠):영상 문화인, 강사필(姜士弼):감사 ?, 박순(朴淳):영상 청주인, 최옹(崔顒):예판 반남인 |
명종18년 (1563) |
홍섬 (洪暹) |
5 |
이후백(李後白):이판 연안인, 기대승(奇大升):대헌 행주인, 이산해(李山海):영상 한산인, 신응시(辛應時):부학 영월인, 심의겸(沈義謙):대헌 ? |
명종22년 (1557) |
박충원 (朴忠元) |
6 |
윤근수(尹根壽):문형 해평인, 구봉령(具鳳齡):이참 능성인, 정철(鄭澈):좌상 연일인, 이해수(李海壽):부학 전의인, 이이(李珥):병판 덕수인, 홍성민(洪聖民):대학 ? |
선조3년 (1570) |
박순 (朴淳) |
2 |
정유일(鄭惟一):대간 동래인, 유성룡(柳成龍):영상 풍산인 |
선조6년 (1573) |
김귀영 (金貴榮) |
4 |
김효원(金孝元):부사 선산인, 김우옹(金宇顒):이참 의성인, 허부(許符):전한 ?, 홍적(洪迪):집의 남양인 |
선조7년 (1574) |
김귀영 |
4 |
이성중(李誠中):호판 광산인, 김성일(金誠一);감사 의성인, 이발(李潑):대간 광주인, 유근(柳根):찬성 진주인 |
선조8년 (1575) |
김귀영 |
4 |
김응남(金應南):좌상 나주인, 김첨(金瞻):교리 안동인, 이길(李길):응교 ?, 최운부(崔雲溥):한림 강릉인 |
선조16년 (1583) |
이이 (李珥) |
7 |
심희수(沈喜壽):좌상 청송인, 홍이상(洪履祥):대헌 풍산인, 정창연(鄭昌衍):좌상 동래인, 이항복(李恒福):영상 경주인, 이덕형(李德馨):영상 광주인, 이정립(李廷立):참판 ?, 오억령(吳億齡):판서 동복인 |
선조18년 (1585) |
이산해 (李山海) |
1 |
이호민(李好閔):예판 연안인 |
선조22년 (1589) |
유성룡 (柳成龍) |
2 |
한준겸(韓浚謙):우상 청주인 , 정경세(鄭經世):대학 진주인 |
선조24년 (1591) |
유성룡 |
6 |
이경전(李慶全):참찬 한산인 이산해 자, 이유징(李幼澄):지사 전주인, 이상홍(李尙弘):교리 여흥인, 임몽정(任蒙正):이의 풍천인, 김선여(金善餘):한림 강릉인, 기자헌(奇自獻):영상 행주인 |
선조41년 (1608) |
유근 (柳根) |
12 |
이이첨(李爾瞻):대학 광주인, 홍서봉(洪瑞鳳):영상 남양인, 김상헌(金尙憲):좌상 안동인, 조희일(趙希逸):참판 임천인, 김치(金緻):감사 안동인, 유소(柳瀟):부학 고성인, 정광성(鄭廣成):형판 동래인 정창연 자, 목대흠(睦大欽): 승지 사천인, 이지완(李志完):형판 여흥인, 이민성(李民宬):승지 영천인, 이후(李厚):이정 한산인 이산해 손, 이구(李久):한림 한산인 이산해 손, |
광해 8년 (1616) |
이이첨 (李爾瞻) |
12 |
박정길(朴鼎吉):예참 ?, 손강(孫綱):집의 밀양인, 유활(柳活): 검상 고흥인 유숙 제, 유희발(柳希發):이참 ?, 유희량(柳希亮):예참 ? 유희발 제, 고용후(高用厚):? ?, 홍도(朴弘道):승지 죽산인, 정준(鄭遵):부윤 ?, 임성지(任性之):부학 ?, 이위경(李偉卿):부학 전의인, 김 기국(金耆國):예판 청풍인, 유약(柳약):공좌 ? |
인조1년 (1623) |
김류 (金류) |
14 |
조익(趙翼):좌상 풍양인, 이식(李植):대학 덕수인, 이민구(李敏求):참판 ?, 이명한(李明漢):대학 연안인, 장유(張維):우상 덕수인, 정백창(鄭百昌):감사 진주인, 임숙영(任叔英):지평 풍천인, 정홍명(鄭弘溟):대학 ?, 김세렴(金世濂):호판 선산인, 오?(吳 ?)감사 해주인, 이경여(李敬輿):영상 전주인, 이경의(李景義):이판 연안인, 이경석(李景奭):영상 완산인, 이소한(李昭漢):형참 연안인 명한 제, 윤지(尹墀):? 해평인 |
인조 년 ( ) |
장유 (張維) |
3 |
조경(趙絅):대학 한양인, 조석(趙錫):대헌 백천인, 박의(朴漪):교리 ? |
인조 년 ( ) |
최명길 (崔鳴吉) |
3 |
채유후(蔡裕後):대학 평강인, 구봉서(具鳳瑞): 감사 능성인, 이상질(李尙質):? 전주인 |
효종6년 (1655) |
채유후 (蔡裕後) |
6 |
김수항(金壽恒): 영상 안동인, 남용익(南龍翼):대학 의령인, 이은상(李殷相):형판 연안인, 홍위(洪葳):감사 남양인, 이단상(李端相): 부학 연안인, 안후세(安後說):승지 광주인 |
숙종8년 (1682) |
이민서 (李敏敍) |
6 |
조지겸(趙持謙):부학 ?, 임영(林泳):대학 나주인, 오도일(吳道一):대학 해주인, 이여(李여 ):영상 덕수인, 박태보(朴泰輔): ? 반남인, 서종태(徐宗泰):영상 대구인 |
숙종15년 (1689) |
민암 (閔黯) |
7 |
이현조(李玄祚):대학, ?, 민창도(閔昌道):이의 ?, 유세명(柳世鳴):교리 풍산인 유성룡 현손, 김문하(金文夏):이좌 청풍인, 권중경(權重經):감사 ?, 홍숙(洪塾):응교 남양인, 채팽윤(蔡彭胤):참판 ? |
숙종35년 (1709) |
강경 (姜鏡) |
6 |
이해조(李海朝):감사 연안인, 이조(李肇):이판 전주인, 이재(李縡):대학 ?, 임상덕(林象德):교리 나주인, 임수간(任守幹):승지 풍천인, 홍만우(洪萬遇):교리 풍산인 홍복상 증손 |
숙종39년 (1713) |
이복원 (李福源) |
6 |
박종갑(朴宗甲):형판 반남인, 정범조(鄭範祖):형판 나주인, 민종현(閔鐘顯):판서 여흥인, 서유신(徐有臣): ? ?, 유언호(兪彦鎬):우상 기계인, 홍상간(洪相簡):승지 |
계 38회 |
|
269 |
|
'▒ 사육신이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옥헌(白玉軒) 이개(李塏)선생의 필적 [李塏, 1417~1456] (0) | 2007.04.01 |
---|---|
백옥헌(白玉軒) 이개(李塏)선생의 필적 [李塏, 1417~1456] (0) | 2007.04.01 |
이개(李塏)의 아내 가지(加知)는 우참찬(右參贊) 강맹경(姜孟卿)에게 주고,,,단종복위사건관련 조선왕조실록의 주요기록중 일부 (0) | 2007.04.01 |
사육신 (死六臣) 이야기 (0) | 2007.04.01 |
단계(丹溪) 하위지(河緯地), 주려 죽을 지은정 불의한 것 먹지 않는다. (0) | 2007.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