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매탄(龕梅歎) |
정원이라 잡목 속엔 복사 오얏 하 많으니 / 園中雜樹多桃李
동녘 사람 꽃 심는 법 퍽이나 촌스럽네 / 東人栽花且鄙俚
천 그루 만 그루의 매화를 못 들었나 / 未聞千樹萬樹梅
광복산(光福山) 나부산(羅浮山)과 비등하단 그 소문을 / 曾與光福羅浮比
등걸 깎고 가지 휘니 천진이 상코말고 / 斲査揉枝足傷眞
금주라 수합 따윈 너를 위해 부질없네 / 錦廚繡閤徒爲爾
물가나 수풀 아래 사는 사람 흡사하여 / 恰似水邊林下人
고거 사마 부끄럼은 전생에 타고난 것 / 已有高車駟馬恥
집이 따스워 봄소식이 일찌감치 뚫고 드니 / 屋煖早見春信通
인교로써 천리 침해보다 더 미울 수가 / 絶憎人巧干天理
금지로 달 오리니 참으로 가련해라 / 金紙剪月眞可憐
바다유자 향기 빌려 무엇이 아름답노 / 海柚借馥其何美
비스듬히 등 비추니 그림자 가로 나고 / 取燈斜照影始橫
가지 곁에 코를 대니 향기 처음 풍기누나 / 狎條細嗅香初起
어찌타 삼백 궁의 작은 동산 얻는다면 / 安得小園三百弓
가로 세로 매화만을 옮겨 심고 말겠노라 / 徧種梅花而已矣
맑은 꿈은 이따금 서냉교로 돌아들고 / 淸夢時廻西冷橋
그윽한 넋은 저 무당리로 부르고자 / 幽魂欲招武當里
갈가마귀 깃에 들고 물은 흘러 황혼이라 / 棲雅流水欲黃昏
아득히 홀로 섰는 이내 정을 어이하리 / 獨立蒼茫情不已
[주D-001]광복산(光福山) 나부산(羅浮山) : 광복산은 일명 등위산(鄧尉山)이라 하는데 강소(江蘇) 오현(吳縣)의 서남 칠십 리 지점에 있다. 앞으로는 태호(太湖)가 보여 풍경이 극히 아름다우며 산에는 매화가 많아 꽃이 피면 온통 눈세계가 됨. 나부산은 광동(廣東) 증성현(增城縣)에 있는데 매화가 많음. 소식의 시에 "羅浮山下梅花村 玉雪爲骨氷爲魂"이라 하였음.
[주D-002]서냉교 :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현(杭縣) 서쪽 호반(湖畔)의 고산(孤山)과 소제(蘇隄) 사이에 있는 다리인데, 고산처사(孤山處士) 임포(林逋)가 고산에 은거하면서 집안에 매화를 많이 심고 음영자적(吟詠自適)하였음. 임포의 유명한 매화시가 있음.
[주D-003]무당리 : 중국 양양부(襄陽府)에 있는 산 이름인데 풍경이 아름다움. 또 무당현(武當縣)이 있음.
[주D-002]서냉교 :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현(杭縣) 서쪽 호반(湖畔)의 고산(孤山)과 소제(蘇隄) 사이에 있는 다리인데, 고산처사(孤山處士) 임포(林逋)가 고산에 은거하면서 집안에 매화를 많이 심고 음영자적(吟詠自適)하였음. 임포의 유명한 매화시가 있음.
[주D-003]무당리 : 중국 양양부(襄陽府)에 있는 산 이름인데 풍경이 아름다움. 또 무당현(武當縣)이 있음.
'▒ 완당김정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계서를 북쪽 방에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
공 소보를 보내는 운을 사용하여 설공에게 증별하다[送孔巢父韻 贈別雪公] -완당 김정희- | (0) | 2007.03.12 |
이월 팔일 작불신에 답하다. 초납을 대신하다[答二月八日作佛辰 代艸衲]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이이엄 장혼에게 부치다[寄而已广張混] 병서(竝序)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
감매. 동파운을 차하다[龕梅次東坡韻] -완당 김정희- (0) | 2007.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