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역(易)》을 읽고서 건(乾) 구삼(九三)의 의(義)에 깊이 느낌이 있어 나의 거실의 편액을 ‘척암(惕庵)’이라 했다. 김진항(金鎭恒)이라는 자가 있어 지나다가 보고 물으며 말하기를 "거룩하옵니다. 척(惕)의 의야말로. 선생은 대인이시니 장차 대인의 덕(德)에 나아가서 업을 닦으시려니와 진항은 소인이오라 겸(謙)에서 취한 바 있사오니 그 산은 높고 땅은 낮은데 마침내 굽히어 아래에 그쳤음을 위해서이옵니다. 그래서 제 실(室)을 ‘겸겸(謙謙)’이라 이름하였으니 원컨대 선생은 가르침을 내려주소서." 하였다. 나는 말하기를 "그럴상해도 이는 겸이 아니다. 네가 먼저 하나의 높은 의상(意想)을 일으켜 놓고 다시 하나의 낮은 형체를 마련하고서 또 그것을 억지로 끌어내린다면 어찌 겸이라 할 수 있겠는가. 내가 옛날에 《역》을 공부하면서 겸의 상(象)을 터득했는데 그 상에 이르기를 ‘지중(地中)’이라 했고 ‘지하(地下)’라고는 아니했다. 보이는 것을 상이라 이르는데 땅 밑에 산이 있으면 사람이 누가 보겠는가. 이에 있어 《주역》을 배운 자는 이르기를 ‘《역》이란 허상(虛像)이 있는 것이다.’라고 하지만, 육십사 괘가 다 실상(實象)인데 어찌 허가 있을 수 있겠는가. 무릇 하늘 안에 땅이 있고 땅 안에 산이 있으니 땅이 하늘 안에 있으면 겨우 하나의 점(點)일 따름이요 산이 땅 안에 있으면 역시 한 주먹의 돌, 한 줌의 흙일 따름이다. 방금 적게 보이고 있는 존재에 어찌 스스로 많다 하리오. 이것이 겸의 정(情)이요 겸의 의(義)요 겸의 상(象)인 것이다. 이 때문에 항평보(項平甫)는 말하기를 "‘땅 안에 산이 있다.’는 것은 실상이다."고 하였는데 세상이 실을 힘쓰지 않은 지가 오래이다. 너의 말 같은 것은 바로 노자(老子)의 학으로서 그 사이에 의지하고 아부하여 빛에 어울리고 진(塵)에 뒤섞이어 몸을 온전히 하고 해를 멀리 하려는 계책이며 《역》의 실상은 아니다. 지금 너는 세상에 있어 바로 한 주먹의 돌 한 줌 흙의 미미한 존재로서 애초에 그 높음이 없는데 나중이라 해서 어찌 낮음에 굽히어 아래에 그칠 것이 있겠느냐. 내가 이 실상을 벌여 놓은 것도 세상의 실을 힘쓰지 아니하고 속으로는 교만하면서 겉으로는 겸하는 척하는 자를 위하여 경계하자는 것이니 이 또한 나의 척의 의이다."라 했다. 진항은 말하기를 "대단히 좋으니 청컨대 이로써 겸겸실의 기를 삼게 하여 주소서." 하였다. [주D-001]항평보(項平甫) : 송 괄창인(括蒼人)으로 이름은 안세(安世), 자는 평보임. 순희(淳熙) 진사로 비서정사(祕書正字)에 제수되었으며 저술로는 《역완사(易玩辭)》·《항씨가설(項氏家說)》이 있음. | ||
'▒ 완당김정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모암 편액 후면의 제지에 대한 발[永慕庵扁背題識跋] (0) | 2007.03.09 |
---|---|
연산뢰기(硏山瀨記) (0) | 2007.03.09 |
귤중옥서(橘中屋序) (0) | 2007.03.09 |
전당시서의 서[全唐詩序序] (0) | 2007.03.09 |
사람에게 주다[與人] (0) | 2007.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