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자료실 ▒

어느 시골 선비의 사모곡

천하한량 2016. 2. 6. 21:12
어느 시골 선비의 사모곡

꿈에 저는 호랑나비가 되어
날아서 무하국에 들어갔습니다
이리저리 어울리다가 좌우를 둘러보니
어머니께서 상 곁에 앉아계셨습니다
아아, 저는 실성한 사람처럼
어머니 생전의 일상적인 일로 여겨
달려가 인사도 드리지 못하고
슬프고 기쁜 내색마저 보이지 못했습니다
이윽고 화들짝 정신을 차리고 보니
마음속에서 한 가지 의문이 싹텄습니다
내 어머니는 벌써 오래전에 돌아가셨는데
어떻게 다시 이 세상에 계실 수 있단 말인가
마침내 달려가 목을 감싸 안고는
크게 소리 내어 한참을 통곡했는데
어머니 어머니 하고 부르기만 하다가
홀연히 놀라 꿈에서 깨고 말았습니다

一夢化蝴蝶
飛入無何國
周旋瞻左右
母氏坐床側
嗟余如喪性
尋常視平昔
不行拜揖禮
不作悲喜色
已而心忽醒
一念萌衷臆
吾母沒已久
胡復此世作
遂往抱持項
大聲長痛哭
母兮母兮聲
此夢忽驚覺

- 윤석희(尹錫熙, 1888~1962)
『성암문집(誠菴文集)』 권1
「꿈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뵙고 느낌이 있어서[夢見先妣有感]」
          


  경남 합천군에 살았던 성암(誠菴) 윤석희(尹錫熙)가 지은 장편시 가운데 일부이다. 이 시는 동짓달 보름날 친척 간에 모이는 작은 술자리에 갔다가 거나하게 취한 뒤 집으로 돌아와 꿈을 꾸고 나서 새벽에 지은 것으로, 1938년에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3년째 되는 해에 있었던 일이다.

  성암은 통덕랑(通德郞) 윤탁규(尹卓逵)와 동래 정씨(東萊鄭氏)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생후 한 달 만에 부친을 여의고 홀어머니의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모친은 가난한 살림을 꾸리는 중에도 자녀들의 가정교육에 남달리 정성을 기울였는데, 한번은 슬하의 형제들을 불러놓고 “너희는 아버지가 계시지 않으므로 행동을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만일 옳지 못한 행동을 하게 되면 과부의 자식이라서 그렇다고 남들이 손가락질할 터이니, 이점을 특히 유념하여 가문을 욕되게 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라.”라고 가르쳤다고 한다.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사모의 정이 늘 뇌리에 남아 있다가, 꿈속에서 그 그리움이 발현된 것이다. 그러나 그토록 그리던 어머니를 만나고도 기쁘고 애틋한 그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인식도 하지 못한 채 그저 멍한 상태로 바라만 보고 있었다. 그러다가 문득 정신을 차렸을 때는 주체하지 못할 격정에 사로잡혀 통곡만 하다가 꿈에서 깨어나고 말았다. 그간의 회포를 풀지도 못하고 영결의 인사도 고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꿈에서 깬 뒤에는 그저 방문을 열고 하늘에 걸린 달만 하염없이 바라보았다고 하였다. 억겁의 세월이 흘러도 다하지 못할 통한을 품은 채로 말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어머니’는 하해(河海)와 같은 존재이다. 자식의 허물은 아무리 큰 것이라도 넉넉히 포용하고, 자식의 일에 관해서는 온갖 시련을 감내하면서라도 묵묵히 기다릴 수 있는 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나 지금이나 이런 어머니의 사랑을 아는 자식의 정은 지극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고금을 막론하고 이런 어머니의 살뜰한 마음을 ‘사모곡’이란 제목으로 노래하였을 것이다.

 

글쓴이 : 전백찬(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 한시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피첩(霞帔帖)과 매조도(梅鳥圖)   (0) 2016.02.24
등불 하나  (0) 2016.02.19
묵은해를 보내며   (0) 2016.01.22
겨드랑이 냄새를 좋아하는 사람   (0) 2015.12.16
겉과 속   (0) 2015.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