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권도자료 ▒

태권도 해외 진출 역사 연구 태권도 해외 진출 역사 연구

천하한량 2014. 8. 22. 03:05

태권도 해외 진출 역사 연구
(유럽, 아프리카지역)
요약보고서
2012. 12. 10
태권도진흥재단
주관 기관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사분과학회
책임연구자
나 영 일 소속 및 직위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허 건 식 소속 및 직위 한중대 태권도스포츠대학 교수
공동연구자
송 석 록 (경동대학교 체육학부 교수)
천 호 준 (우석대학교 태권도학과 교수)
박 성 진 (WTM 기자)
박 금 수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강사)
한 혜 진 (무카스미디어 기자)
보조연구자
강 성 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성 제 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태권도 해외 진출 역사 연구
(유럽, 아프리카지역)』
요약보고서
태권도 해외진출 역사연구(유럽, 아프리카지역) 용역과제의 요약보고서를 붙임과
같이 제출합니다.
2012년 12월 10일
태권도진흥재단이사장 귀하
일러두기
■ 본문에 나오는 용어 중 Karate는 국립국어원의 사용원칙에 따라 ‘가라테’로 표기
하였다.
■ 기사나 인터뷰 등의 인용문은 원자료에 제시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
다. 예를들어, 인용문에서 등장하는 Karate는 원문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경
우에 따라 가라데나 카라테로 사용하였으며, 한자어는 제시된 상태를 따랐다.
■ 명칭이나 기사, 인터뷰 등에서 인용된 부분은 원문에 충실하되, 오류임이 분명한
것은 수정하였다.
■ 그림과 표는 번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 각종 참고자료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였다.
▷ 저자, 『서명』, 출판사, 연도, 쪽.
ex) 이경명, 『태권도의 어제와 오늘』, 어문각, 2003, 35쪽.
▷「잡지명」, 발행사, 연도, 쪽.
ex) 「태권도지」3호, 대한태권도협회, 1972, 17쪽.
▷ 신문명, 연월일.
ex) 중앙일보, 1990년 10월 11일.
▷ 인터뷰 대상자, 연월일, 장소.
ex) 서명수, 2012년 8월 13일, 네델란드 헨트 자택.
- i -
목 차
Ⅰ. 서 론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의 개요 ············································································································· 3
3. 연구방법 ··················································································································· 5
4. 진출사 정리 과정 ································································································· 11
Ⅱ. 유럽, 아프리카지역의 태권도 진출 과정 및 형태 ………13
1. 유럽 진출 과정 ····································································································· 13
2. 아프리카 진출 과정 ··························································································· 14
3. 유럽·아프리카 지역의 국제 스포츠기구 ·························································· 16
Ⅲ. 유럽 태권도 진출사 …………………………………………………24
1. 유럽의 지리적 특성 ····························································································· 24
2. 유럽 태권도의 개요 ····························································································· 25
3. 서유럽 ··················································································································· 27
4. 북유럽 ··················································································································· 30
5. 남유럽 ··················································································································· 33
6. 동유럽 ··················································································································· 36
Ⅳ. 아프리카 태권도 진출사 ………………………………………… 38
1. 아프리카의 지리적 특성 ····················································································· 38
- ii -
2. 아프리카의 태권도의 개요 ··············································································· 38
3. 북부아프리카 ········································································································· 40
4. 남부아프리카 ········································································································· 44
Ⅴ. 결론 ……………………………………………………………………… 49
1. 유럽 지역의 태권도 진출 성과와 문제점 ····················································· 49
2. 아프리카 지역의 태권도 진출 성과와 문제점 ··············································· 49
- 3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의 태권도 진출 과정에 대한 학문적 성과가 많지 않아
그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
○ 2010년 미주지역의 태권도 진출 역사에 대한 연구 성과가 있으나,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은 전혀 다른 진출 역사와 형태가 존재
○ 국내외의 태권도 수련생들에게 세계 속에서 태권도의 위상과 역사에 대한 체
계적인 교육을 위해 태권도의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 진출에 대한 학문적 성
찰이 요구됨
○ 해외 진출에 관련한 공식적이고 신뢰성 있는 객관적인 입장에서의 연구와 민
족적 감정이나 국수주의적 입장이 아닌 외국인의 입장에서 인식하는 태권도의
모습까지 살필 수 있다면, 태권도의 다양한 인식을 제대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추후 벌어질 가능성이 높은 태권도 정체성 및 주도권 논쟁에 대한 근거와 그
리고 태권도가 앞으로 나아갈 바를 예측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됨
2. 연구의 개요
1) 과제명: 유럽/아프리카지역 태권도 해외 진출 역사 연구
2) 연구기관: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사분과학회
- 4 -
3) 연구책임자: 나영일 교수(서울대학교)/허건식 교수(한중대학교)
4) 연구의 목적
○ 유럽/아프리카지역의 태권도보급과 진출의 역사를 연구
○ 유럽/아프리카지역의 태권도 해외보급 형태 및 진출 과정을 정리
○ 현지 원로사범 및 지도자들과의 인터뷰와 자문 등을 통하여 권역별, 국가별
태권도단체 결성과 수련현황 등 태권도의 진출과정을 파악
○ 태권도를 통한 민간 외교적 성과 등을 조사하여 태권도 종주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태권도의 위상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밝힘
5) 사업기간 : 2012년 6월 27일~2012년 12월 10일까지
6) 과업의 범위
○ 시간적 범위
기준년도 : 1950년대 ~ 2011년 (경우에 따라 2012년도 포함)
○ 공간적 범위
▶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
○ 내용적 범위
▶ 관련 기관 및 단체 등에 속한 주요 공헌역사(사범)를 직접 조사 및 인터뷰 실시
▶ 태권도 해외 역사연구 및 자료조사 경험이 있는 전문가로 연구진 구성 및 운영
▶ 예산 사정에 의거 2단계(2012년도)로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의 태권도 진
출 역사 연구
▶ 기타 객관적 자료 확보를 위해 필요한 자료연구 및 조사 실시
- 5 -
3. 연구방법
1) 연구진 회의
○ 총 9차에 걸친 연구진 회의를 통해 사전조사 방식, 인터뷰 방식 및 질문지
내용 검토, 해외출장 계획, 원고 정리 방식 등을 결정 및 공유
연구진 회의장면
2) 사전조사 및 보완조사
○ 1차적으로 2010년 실시한 미주지역 태권도 진출역사의 연구 성과를 분석
○ 대한태권도협회의 『태권도誌』를 포함한 태권도 진출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 분석
○ 유럽 및 아프리카 진출 태권도 사범 중 국내에 거주하는 이들을 우선적으로
인터뷰 실시
○ 연구 기간 중 국내에서 열린 세계청소년태권도캠프(2012. 7.19~7.24, 33개
국 210명), 세계태권도지도자포럼, 국제태권도심포지움에 참석하여 해당지역
사범에 대한 인터뷰 실시
3) 질문조사 내용
- 6 -
구 분 세부질문내용
1. 기본사항 - 성함, 생년월일, 고향, 학력 사항, 직업
2. 국내에서의 태권도 수련
-소속관 및 소속관을 찾게 된 이유
-당시 스승에 대해
-당시 소속관의 정확한 명칭과 소재지(현재위치) 및 수련 시

-관의 시설물(수련 도구-샌드백, 권고대)
-관의 위계 체제(사범과 유단자 그리고 유급자의 차이)
-당시 관비
3. 소속관의 수련 체계
-기본기법 : 주먹, 발차기, 품새(태극, 평안, 나이한찌 등등)
-수련체계(유급·유단 구분)
-관만의 독특한 기법 존재 여부(기본 기법 혹은 품새)
-소속관에서 수련하는 과정에서 변화
-소속관에서 받은 최고 단(段)
-소속관의 무술만 수련했는지 여부
4. 유럽/아프리카지역 진출
계기 및 진출 과정
-진출 계기(개인적 혹은 타인에 의한)
-진출할 때 국내의 행정 혹은 서류 처리
-자금 여유 혹은 부족
5. 진출 과정
-가라테 혹은 그 지역 무예와의 갈등
-가라테 유사성 혹은 차별성 강조(EX. 코리안 가라테)
-당시 유럽/아프리카인들의 동양인에 대한 인식과 무술에 대한
인식(특히, 태권도)
-도장 설치시 어려움(재정, 위치, 문화 등등)
-문화적 차이로 인한 오해(무심코 한 행동으로 인한 어려움)
와 극복과정
-도장에서의 수련 기법의 변화(한국과 달라졌는지 혹은 무기술
도입, 자기 도장 특성, 경영기업, 수련비 등등)
-외국인 제자들의 인식 변화(사범 혹은 태권도에 대한)
-언어 장벽으로 인한 어려움
-베트남 전쟁과 해외(특히 미주지역) 보급의 영향
-기타 자기 도장 외 태권도와 관련된 봉사활동
6. 한국 사범들간의 협조
혹은 갈등
-유럽/아프리카지역에 정착하는데, 도움을 받은 한국인 사범
존재
-한국인 사범들간의 갈등 존재 여부
-한국인 사범 간의 갈등으로인한 외국 수련생들의 이탈여부
○ 사전조사와 연구원들의 회의 및 지난 2010년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기본 질문 항목을 확정
○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 진출사범 기본 질문 항목
- 7 -
7. 국내 태권도 단체와의
관계
-유럽/아프리카 지역 정착에 국내 태권도 단체의 도움 여부
-유럽/아프리카 지역 도장 수련생의 국기원 단증 획득 여부
-국기원 수련 체계와의 동일 여부
8. 해외 태권도 보급과
경기 단체
-국제 경기 단체의 가입과 태권도 보급의 관련성
-태권도 경기화로 인한 폐해와 보급
-올림픽 등으로 인한 태권도 인식 변화와 보급
-한국 정부의 도움 여부
-태권도의 보급으로 인한 대한민국에 대한 인식 변화
9. 유럽/아프리카지역 태권
도 단체 설립
-초창기 진출 사범들의 친목모임
-단체 설립의 계기
-태권도인의 노력
-한국 사범들의 독점과 현지인들의 단체 참여
-외국인 사범들의 단체 설립 노력과 한국 사범 중심의 단체
와 갈등 여부
-개인 단체의 설립(ex : ATA)으로 인한 국내 단체와의 갈등
10. 태권도 보급과 교본
-교본의 사용 혹은 제작 여부
-동영상 제작을 통한 보급 노력
11. 태권도 사범들의 한국
인 현지 사회에서의
융합 노력
-교민사회에서의 역할
-현지사회에서의 역할
12. WTF와 ITF의 관계
설정
13. 향후 태권도 발전을
위한 방안
1. Could you tell me your name, birthday, and birthplace?
2. Do you have a academic degree?
3. Where are you living now? What do you do for your life?
4. Do you remember the first time you met or knew Taekwondo? Could you tell
me about that?
5. How was Taekwondo introduced you, Taekwondo or Karate?
6. How did you recognize Taekwondo when you met Taekwondo?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aekwondo and other martial arts?
7. Do you remember how your grand-master taught you? or How had you been
taught Taekwondo?
8. Did you face any cultural difference when you were taught Taekwondo? If
any, could you tell me that?
9. After your becoming a master, how did you make your Taekwondo gym or
school?
10.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WTF and ITF? or Which federation are you
involved in, WTF or ITF?
○ 외국인대상 질문지
- 8 -
11. Could you tell me the characteristics of your Taekwondo gym or school? ,or
Do you emphasize the values and virtues of Taekwondo when you teach
your students?
12. Is there a Korean national flag, Taekukgi, on the wall of your Taekwondo
gym or school? How does that work for you and your students?
13. What does practicing Taekwondo mean to you or in your life?
14. Could you give comments on a Taekwondo community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Taekwondo?
4) 대상자 선정과 구분
○ 가능한 많은 사범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조사 대상자를
선정
○ 국내신문자료를 통해서 소개된 유럽/아프리카지역의 사범들의 활동상황과 무
카스를 비롯한 기존 언론자료 및 각국의 대사관, 영사관, 한인회 등에 나온
태권도 사범
○ 태권도진흥재단과 국기원 등에서 확보한 태권도 세계화 기반 구축에 해외한
인사범 명단과 해외한인사범수기 공모자
○ 무술전문 채널인 무카스가 확보하고 있는 태권도 사범 명단
○ 자료를 기초로 연구진들이 수차례 회의와 자료를 검토한 후에, 연락가능하고
면담의사가 있는 사범
5) 방문조사
- 9 -
조사지역 국가(현지조사) 조사일정 조사대상자 비고


서유럽
프랑스, 벨기에
네델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8월 13일-8월
24일) 나영일(24명) 국내조사 2명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국내조사 박금수 허건식 (각
1명) 국내조사대상자임
북유럽 영국,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박성진
한혜진(8월
6일-8월 13일)
천호준(8월
18일-8월 28일)
박성진 (10명)
천호준 (9명)
박성진,한혜진
기자 런던올림픽
참가
남유럽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터키
박성진(7월
18일-8월 14일)
박금수(9월
21일~10월 9일)
박성진 (10명)
박금수 (4명)
아프리카
북,
서아프리카
이집트,
모로코, 알제리
허건식
(11월
17일~24일)
한혜진
(15명, 코이카)
허건식(8명)
귀국사범
(60%)의 경우
국내방문조사
총46명
(문헌포함)
중앙아프리카 국내조사 8명
남아프리카 남아공
박금수
(9월 25일-10월
3일)
2명
국내 성제훈 국내 및 자료조사
국제기구 송석록 해외단체관계자
5명 등
계 100명
6) 연구자 공유 카페 개설
○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연구자들 간의 긴밀한 협조와 해외방문조사 등으로
인한 연구팀 공유의 공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 공유카페를 개설
○ 이를 통해 연구원이 개별 과제를 수시로 점검하고, 각종 자료를 공유하기 위
한 자료실을 운영
- 10 -
연구진 공유 카페
7) 과업 진행상의 문제점
○ 필드조사는 유럽의 경우 독일을 시작으로 7월초부터 8월 중순까지 약 한달
반 동안 현지조사가 이루어졌음
○ 아프리카의 경우, 최초에 이집트에서 열리는 7월 4일부터 8일까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열리는 제5회 Alexsandria International Taekwondo대회를
참관하기로 하였으나 이집트정세 불안으로 대회가 열리지 못하여 준비단계에
서 포기하고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범들을 접촉하여 조사한 후, 10월과 11
월에 각각 별도로 조사하였음
○ 유럽의 경우(7월 22일-8월 4일)에는 워낙 지역이 넓어서, 동서남북으로 지
역을 나누어서 집중조사 하였음
○ 아프리카에 진출했던 사범들은 미주지역이나 유럽과는 달리 현지에 계속해서
거주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음. 이는 대체로 경제가 낙후되어 있어 태권도장의
- 11 -
운영이 쉽지 않고 생활환경도 좋지 않은 등의 애로점이 있기 때문이라 파악
됨. 게다가 연락처 또한 파악이 쉽지 않아 예상보다 적은 수의 대상자만을 조
사할 수 있었음
○ 또한 아프리카의 경우 육로로 국경선을 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항공편
또한 다양하지 않아 출장경비에 비해 많은 수의 대상자를 조사하지는 못하였

4. 진출사 정리 과정
○ 각 지역을 조사하고 난 후 연구자들은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정리하는 작업
을 진행
○ 해외파견 사범들과 시범단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기원, 태권도진흥재
단, 외교통상부, 국제협력단(KOICA) 등의 기관 자료를 중심으로 진출사를 정

○ 지난 연구보고 종료 후 제기된 용어 문제인 ‘보급’은 ‘진출사’로 바뀌었음
○ 2012년 9월 25일 중간보고회 이후 보고서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안에 관하여
많은 논의를 거친 결과 지난번 미주지역과는 달리 사진 자료와 도표의 활용으
로 시각화에 노력했음
○ 부록에서 현지조사 과정에서의 시사점이나 흥미 있었던 일화들을 다루어 현
지 조사의 현장감을 담으려고 노력했음
○ 2012년 9월 25일 중간보고회, 2012년 11월 27일에 최종보고회를 실시했음
○ 다음과 같은 태권도 전문가들에게 최종보고서의 감수를 의뢰하였음
- 12 -
최종보고회, 11월 27일, 태권도진흥재단
‣ 이 경 명 (태 권 도 문 화 연 구 소 소 장 )
‣ 이 규 형 (계 명 대 학 교 태 권 도 학 과 교 수 )
‣ 곽 기 옥 (국 기 원 해 외 심 사 심 의 위 원 )
‣ 김 무 천 (대 한 태 권 도 협 회 운 영 부 장 )
중간보고회, 9월 25일, 태권도진흥재단
- 13 -
Ⅱ. 유럽, 아프리카지역의 태권도 진출 과정 및
형태
1. 유럽 진출 과정
1) 외국인에 의한 진출
○ 조선일보 1964년 10월 27일자에 의하면, 6.25전쟁 때 참전했던 상사 출신
인 ‘조지 크라인’이 운천리에 있던 ‘조칠관’이라는 곳에서 이준 사범1)으로부터
태권도(당시 공수도)를 배워,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보급하였다고 함
○ 독일 바이에른 주 태권도협회의 25주년 기념책자(『25 Jahre BTU,
Bayerische Taekwondo- Union e.V.』)에서는 미국에서 이준구 사범으로부
터 태권도를 배운 알렌 스텐(Allen Steen)과 군인경찰이었던 마이크 앤더슨
(Mike H. Anderson)이 1963년에 독일인들에게 소개한 것으로 나와 있음
○ 1950년대 말에서부터 1964년 이전까지 우리의 태권도가 독일에서 외국인들
에 의해 보급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함
2) 파독광부로 진출
○ 1963년 말부터 1977년까지 약 8,000명의 젊은이들이 파독광부로 독일에 갔
는데 이들 중에서 태권도 사범자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약간의 태권도실력
이 있는 사람들이 3년간의 계약기간 중에 독일인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쳤음
○ 이들 중에서 일부는 3년이 만료한 이후에도 고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간호사
1) 아마도 이준구 사범을 지칭하는 것 같다. 이준구 사범은 영문이름을 준리(Jhoon Rhee)라고 하였고, 6.25전쟁중
에 금화에 있던 미 보병 25사단 헌병대에서 통역 일을 하였으며, 철원의 101포병부대에서 근무하였다고 한다.
Jhoon Rhee 자서전, 매일경제신문, 2003: 76-77.
- 14 -
나 현지인과 결혼하여 그곳에 정착하여 태권도장을 설립한 경우도 있었음
3) 초청에 의한 진출
○ 1960년대에 해외 출국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 속에서 태권도 사범들은 국제
태권도연맹(ITF)과 세계태권도연맹(WTF) 산하 대한태권도협회 등의 유관기
관의 추천으로 여권 및 취업비자를 취득하거나, 현지에 정착한 사범의 초청으
로 해외로 많이 진출하였음
4) 유학과 이민에 의한 진출
○ 1980년대 들어 해외 출국이 자유롭게 되자 개인적으로 해외로 진출하여 태
권도장을 개관하고 태권도를 지도하는 사범들이 증가하게 되었음
○ 1990년대에는 국내 대학의 태권도학과를 졸업한 태권도 전공자들에 의한 해
외 진출이 시작되었음
2. 아프리카 진출 과정
1) 유학 및 사업목적 이주에 의한 진출
○ 1968년 김영태 사범은 코트디부아르에 사업차 진출하여 아프리카대륙에서
최초로 태권도를 보급하기 시작하였음
○ 1971년 윤창영, 이용근 사범은 모로코에 유학을 가 태권도를 전파하기 시작
하였음
- 15 -
2)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파견 지원
○ 태권도가 아프리카에 급속히 보급된 데에는 2차 대전 이후 시작된 냉전
(Cold War)과 남북의 분단과 대치, 세계태권도연맹(WTF)와 국제태권도연맹
(ITF) 간의 경쟁이라는 배경이 존재
○ 1960년대 후반부터 대한태권도협회와 국제태권도연맹이 일부분이긴 하지만
경쟁적으로 해외 사범 파견 사업을 벌여 해외에서 따가운 눈총을 받기도 하였

○ 1970년대에 들어 정부는 태권도의 해외 진출을 문화․외교적 차원으로 인식하
고 태권도관련 단체의 활동을 위한 예산과 장비들을 지원하였음
○ 1973년 세계태권도연맹(WTF)이 창설되면서 국제태권도연맹(ITF)과 세계태
권도연맹의 경쟁 구도는 본격화되었고, 1980년대 이후부터 국제태권도연맹이
친북 성향을 띠면서 정부는 세계태권도연맹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였음
3) 현지 정부 요청에 의한 사범 파견
○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서유럽의 여러 국가들에 의해 지배를 받다가 2
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에 독립하였음
○ 아프리카 각국의 군대와 경찰과 같은 기간조직은 대부분 식민통치시대의 그
것을 그대로 답습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풍을 불어넣을 그 무엇인
가를 애타게 찾고 있었던 그들에게 한국의 태권도는 안성맞춤이었음
4) 미개발시장 개척을 위한 첨병의 역할
○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 중동지역친선사절단의 귀국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아
랍권의 진출을 상당히 유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음
- 16 -
○ 태권도 사범의 파견의 목적은 순수한 태권도보급만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력과 각 대사관 직원들과 기업체 직원들의 안
전을 도모하고, 해당국가의 경찰과 군을 지도함으로써 해당국가의 핵심들과의
연계에 비중을 둔 것으로 보여짐
5) 봉사 및 선교활동
○ 1969년 우간다에 의료봉사요원으로 나간 김남석 사범은 태권도 사범을 겸해
현지에서 태권도를 비교적 이른 시기에 보급하였음
○ 아프리카지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선교사들이 태권도를 선교의 매개체로 활
용하면서 선교활동은 태권도 진출에 있어서 하나의 동력이 되고 있음
○ 1991년부터는 해외파견 사범들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 지원을 받으
며 지속적으로 아프리카에 태권도를 보급할 수 있었음
3. 유럽·아프리카 지역의 국제 스포츠기구
1) 국제태권도연맹(ITF)
○ 국제태권도연맹(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은 1966년 3월
22일 대한태권도협회가 주축이 되어 태권도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한 세계
태권도선수권대회 개최, 국제사범연정, 국제승단심사 등을 사업내용으로 발족
하였음
○ 1969년 3월 홍콩에서 제 1회 아시아태권도대회가 개최되면서 체계적으로 경
기화·국제화의 길을 걷게 되었음
○ 1972년 ITF 총재 최홍희가 캐나다로 망명하면서 ITF 본부는 캐나다 토론토
- 17 -
로 이전
○ IOC의 세계태권도연맹(WTF) 승인 및 WTF의 국제적 위상으로 그 기능 및
영향력이 축소되고 있음
성 명 국 적 임 기 비 고
제 1대 최홍희 대한민국 1966 - 2002
- ITF 창시자
- 2002.6.15 사망
제 2대 장 웅 북 한 2002 - 현재
- IOC 위원
- 대학 교수
<표 1> 역대 ITF 총재
구 분 성 명 국 적 비 고
아프리카태권도연맹 Annali Basson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세아니아태권도연맹 Low Ming Tuck 호 주
아메리카태권도연맹 Adolfo Villanueva 아르헨티나
아시아태권도연맹 Kim Kyong Ho 북 한
유럽태권도연맹 Michael Prewett 영 국
<표 2> ITF 대륙별 연맹 회장
2) 세계태권도연맹(WTF)
○ 태권도의 국기화 및 국제화를 위해 세 1973년 5월 28일 창설되었음
○ 국제태권도연맹의 이전, 태권도 환경 변화 및 1973년 3월 국기원의 개장과
더불어 태권도가 국제적으로 대한민국이 종주국임을 천명할 사업을 이끌어갈
국제조직의 필요성
○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 게임의 성공적인 개최는 세계태권도연
맹의 위상 강화와 태권도의 지속성을 공고히 하였음
- 18 -
○ 급변하는 국제 스포츠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2012년 WTF 로잔사무소를 국제
본부로 격상하면서 국제스포츠계의 현안에 즉각 대응하며 IOC, 국제스포츠단
체 등과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홍보, 마케팅 기능을 활성화 할 계획임
성 명 임 기 재 임 국 적 비 고
제 1대 김운용 1973 ~ 2004 21년 대한민국
- 세계태권도연맹 설립
-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창설
- IOC 올림픽 종목 채택 기여
- IOC 부위원장 역임
제 2대 조정원 2004 ~ 현재 8년 대한민국
- 2004.2.15 방콕에서 특별위원회 개최
- 박선재 부총재 임시총재 추대
- 2004년 6월11일 임시총회(인천)에서 조정원 총재를
선출하고 김운용 총재의 잔여임기 수행
- 2005년 4월12일 정기총회에서 조정원 총재가 당선
- 2012 세계연맹 본부 성남 이전
<표 3> 역대 WTF 총재
대륙연맹 회 장 국 가 회원국 창 립
유럽태권도연맹(ETU) Athanasios PRAGALOS 그리스 49 1976.5
아프리카태권도연맹(AFTU) Ahmed El-Fouly 이집트 49 1979.4
아시아태권도연맹(ATU) 이 대 순 대한민국 43 1976.10
오세아니아태권도연맹(OTU) Phillip Walter Coles 호주 19 2005.7
팬아메리카태권도연맹(PATU) 최 지 호 미국 44 1978.9
합 계 - - 204개국 -
<표 4> 대륙연맹 회원국 현황
(1) 유럽태권도연맹(ETU)
○ 유럽태권도연맹(European Taekwondo Union: ETU)은 1973년 세계태권도연
맹 설립 이후 최초로 창립된 대륙연맹으로 태권도의 국제적 상징성과 태권도
의 국제화를 위한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19 -
회원국 가입연도 회원국 가입연도 회원국 가입연도
Albania 1995 Andorra 1987 Armenia 1996
Austria 1973 Azerbaijan 1995 Belarus 1992
Belgium 1975
Bosnia &
Herzegovina
1993 Bulgaria 1990
Croatia 1992 Cyprus 1982 Czech Republic 1995
Denmark 1975 Estonia 1998 Finland 1979
France 1975 Georgia 1995 Germany 1973
Great Britain 1977 Greece 1985 Hungary 1989
Iceland 1991 Ireland 1983 Isle of Man 2006
Israel 1981 Italy 1977 Latvia 1992
Lithuania 1992 Luxembourg 1993
Macedonia(Former
Yugoslav Repu...
2001
Malta 1995
Moldova(Republi
c of Moldova)
1995 Monaco 1996
Montenegro Netherlands 1976 Norway 1977
Poland 1979 Portugal 1976 Romania 1991
Russia 1991 San Marino 1994 Serbia 1975
Slovakia 1994 Slovenia 1993 Spain 1975
Sweden 1977 Switzerland 1977 Turkey 1975
Ukraine 1993
<표 5> 유럽태권도연맹(ETU) 회원국
○ ETU는 1976년 5월 21일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창립되었으며 유럽연맹의
탄생 이후 같은 해 같은 장소에서 5월 22일~23일 양일간 12개국 123명의
선수 및 임원이 참가하여 제1회 유럽태권도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음
(2) 아프리카태권도연맹(AFTU)
○ 아프리카태권도연맹(African Taekwondo Union: AFTU)은 1979년 4월 12
일~13일 코트디브아르(아이스보리코스트: Ivory Coast) 아비장(Abidjan)에서
11개국 120명의 선수 및 임원이 참석한 제 1회 아프리카태권도선수권대회가
개최되면서 동시에 연맹의 창립이 이루어졌고 회장은 Wasanan Kone이 선출
되었으며 이는 세계태권도연맹 산하 4번째임
- 20 -
회원국 가입연도 회원국 가입연도 회원국 가입연도
Algeria 2004 Angola 2001 Benin 1978
Botswana 2012 Burkina Faso 1981 Burundi 2010
Cameroon 2002 Cape Verde 2000 Central Africa 1999
Chad 2000 Comoros 2003 Congo 1993
Cote d'Ivoire 1975 DR Congo 2005 Egypt 1979
Equatorial Guinea 1997 Ethiopia 2003 Gabon 1978
Gambia 2007 Ghana 1981 Guinea 2001
Kenya 1990 Lesotho 1990 Liberia 2001
Libya 1979 Madagascar 1993 Malawi 2007
Mali 2000 Mauritius 1978 Morocco 1981
Mozambique 2005 Niger 1999 Nigeria 1988
Rwanda 2011
Sao Tome &
Principe
2004 Senegal 1995
Seychelles 2012 Sierra Leone 2012 Somalia 1997
South Africa 1991 South Sudan 2012 Sudan 2003
Swaziland 1985 Tanzania 2003 Togo 1996
Tunisia 1978 Uganda 2007 Zambia 2006
Zimbabwe 1997
<표 6> 아프리카태권도연맹 회원국(49개국)
○ AFTU 사무국은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집트태권도연맹과 공동
으로 사용하고 있음
3) 국제군인스포츠회(CISM)
○ 국제군인스포츠회(International Military Sports Council : CISM)는 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주도로 1948년 2월 28일 프랑스 니스
에서 창립하였음
- 21 -
○ 현재 133개국이 회원국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현역 군인들의 축제로 단일 종
목이 아닌 여러 종목을 주관하는 스포츠 단체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다
음으로 큰 조직이이며 대한민국은 1957년에 가입하였음
○ 설립목적은 세계군인들의 우의증진, 유대강화 및 세계평화에 기여하는데 있
으며 비영리단체인 CISM이 주관하는 세계군인체육대회(Military World
Games)는 4년마다 한번 개최되고 25개 종목에 1만여 명이 참여하는 국제행
사임
○ CISM 제 1차 집행위원회가 1976년 4월 7일~10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되어
4월 10일 태권도가 정식 경기종목으로 채택되고(23번째) 제 1회 대회를 서울
서 열기로 발표하였음
4) 국제올림픽위원회(IOC)
○ 국제올림픽위원회(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 IOC)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스포츠 축제인 올림픽 게임을 주관하는 단체임
○ 본부는 국제 스포츠 단체의 요람인 스위스 로잔에 위치하고 있으며, 1915년
에 제 1차 세계대전 중 국제올림픽위원회 창설을 주도한 쿠베르탱에 의하여
스위스 로잔으로 선정되었음
○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의사결정을 하는 총회와 집행위원회, 실질적인 실
무를 담당하는 행정(사무국), IOC에서 관할하는 올림픽프로그램위원회, 국제
관계위원회, 법사위원회 등 20여개 위원회를 두고 있음
○ 일반적으로 IOC의 조직은 총회(Session), 집행위원회(Executive Board),
IOC위원(Members), 위원장(President), 행정부(사무국)로 구분함
- 22 -
IOC 조직 운영체계도
○ 국제올림픽위원회가 태권도의 가치를 인정하고 태권도를 정식종목으로 채택
한 것은 태권도 가치가 올림픽 이상과 가치에 부합하여 올림픽 운동에 동참
함으로서 인류공영에 이바지한다는 기본 철학을 바탕으로 함
○ 태권도를 매개로 교육과 가치를 발굴하기 위하여 국제올림픽위원회와 긴밀
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야 하며 태권도 보급을 활성화하고 시스템을 구축하
기 위해 IOC 내의 교육, 국제 등 분야에 지속적인 협력이 중요함
5) 하계올림픽국제경기연맹연합(ASOIF)
○ ASOIF는 비영리 기구로 하계올림픽에 참여하는 종목별 국제경기연맹의 연합
체임
○ ASOIF는 하계올림픽종목의 국제경기연맹을 지원·장려하고 결속시키는 임무
를 수행하며 그 연맹의 자치권을 보존하고 공동의 목표와 관심사를 개발함
○ 1997년 세계태권도연맹이 ASOIF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가맹되었음
- 23 -
○ IOC의 올림픽 게임 참가 종목의 축소 결정으로 인한 태권도의 올림픽 잔류
가 국내외적으로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ASOIF와의 긴밀한 국제협력관계
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임
○ 이는 IOC 결정 이전에 ASOIF 총회의 결정이 중요한 시금석이 되기 때문임
6) 유럽‧아프리카 국제스포츠기구에 대한 태권도의 ‘길’
○ 국제스포츠기구가 전 세계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
면서도 지속가능하고 새로운 가치창출을 목표로 급변하는 시대적 환경에 대응
하여야 함
○ 태권도를 전 세계에 보급하는 경기단체 ‘세계태권도연맹(WTF)’ 또한 시대적
환경에 적응하여야 하며 가치 창출 및 전달에 노력을 경주하여야 함
○ 국제 스포츠종목 ‘태권도’가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세계태권도연맹이 국제스포
츠계에서 인정받으며 위상을 제고하고 그 활동영역을 강화하기 위해 25개 올
림픽 핵심종목에 연연하지 말고 보다 근본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기 위
해 노력해야 할 것임
- 24 -
Ⅲ. 유럽 태권도 진출사
1. 유럽의 지리적 특성
○ 국제연합은 유럽에 속해 있는 국가를 53개로 구분하고 다시 동서남북의 4개
유럽으로 구분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서유럽 국가는 Austria, Belgium, France, Germany, Liechtenstein,
Luxembourg, Monaco, Netherlands, Switzerland의 9개국으로,
○ 동유럽 국가는 Belarus, Bulgaria, Czech Republic, Hungary, Poland,
Republic of Moldova, Romania, Russian Federation, Slovakia, Ukraine의 10
개국으로,
○ 남유럽 국가는 Albania, Andorra, Bosnia and Herzegovina, Croatia,
Gibraltar, Greece, Holy See, Italy, Malta, Montenegro, Portugal, San
Marino, Serbia, Slovenia, Spain,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의 16개국으로,
○ 북유럽 국가는 Åland Islands, Channel Islands, Denmark, Estonia, Faeroe
Islands, Finland, Guernsey, Iceland, Ireland, Isle of Man, Jersey, Latvia,
Lithuania, Norway, Sark, Svalbard and Jan Mayen Islands, Sweden,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의 18개국으로 분류하고 있

○ 본 연구에서는 국제연합(UN)의 기준을 준용하여 서유럽과 동유럽국가 이외
에 남유럽과 북유럽을 구분하여 지역과 관례를 따라서 연구진들이 임의적으로
분류하였음
- 25 -
2. 유럽 태권도의 개요
○ 유럽의 53개 국가 중 49개의 국가가 유럽 태권도 연맹에 가입한 것은 유럽
에 진출한 다수의 태권도 사범의 노력에 의해서였음
○유럽의 각지에서 태권도 보급을 힘쓴 사범들의 면면을 서유럽, 북유럽, 남유럽
그리고 동유럽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서유럽 한인사범 진출 분류
국가 지역 성명 진출시기 -72 73-87 88- 출신관 기타
독일
뮌헨 서윤남 ‘67 청도관 초청
뮌헨 권재화 ‘66 오도관 초청
에센 백진건 ‘71 창무관 파독광부
쾰른 김홍영 ‘85 송무관 파독초청
에센 신인식 ‘77 - 초청
함부르크 신부영 〇- 파독광부
보덴세 정흠일 ‘70 송무관 파독광부
하노버 송천수 〇- 파독광부
보쿰 이유환 ‘77 청도관 파독광부
쾰른 강황용 〇- 유학
하노버 이근태 ‘77 - 파독광부
슈투트가르트 박수남 ‘75 강덕원 초청
뮌헨 고의민 ‘78 무덕관 초청
프랑스
파리 최윤수 〇무덕관 유학
파리 김용호 ‘78 청도관 초청
파리 이관영 ‘69 청도관 초청
파리 방서홍 ‘73 청도관 초청
리옹 이용선 ‘76 청도관 초청
베지에 이원식 ‘77 청도관 초청
오스트리

비엔나 신봉희 ‘89 연무관 초청
인스부르크 이경명 ‘70 초청
비엔나 김광철 ‘77 한무관 초청
비엔나 양진모 〇무덕관 유학
잘츠부르크 김양웅 ‘73 지도관 초청
네델란드
헬렌 서명수 ‘69 무덕관 파독광부
헬렌 아니타 - - -
- 허흥택 ‘73 창무관 초청
벨기에 헨트 진윤섭 ‘88 - 초청
- 26 -
국가 지역 성명
진출시기
출신관 기타(진출형태)
-72 73-87
스페인
바르셀로나
전영태 ‘67 지도관 진출
이영래 ‘72 오도관 초청/전영태
이영우 ‘73 무덕관 초청/전영태
마드리드
김제원 〇진출
조용훈 〇유학
라꼬누냐 어수일 〇무덕관 초청/김제원
포르투갈 리스본 정선용 ‘74 오도관 진출
이탈리아 로마
박선재 ‘66 오도관 진출
박영길 ‘67 한무관 초청/박선재
터키
조수세 ‘73 국가대표감독
앙카라
이기하,
권재화
‘64 시범
아다나 김정관 ‘76 WTF
우삭 김두만 ‘85 WTF
이즈밀 김용덕 ‘05 WTF/선교
그리스 아테네 안헌기 ‘77 청도관 진출
○ 북유럽 한인사범 진출 분류
국가 지역 성명
진출시기
출신관 기타(진출형태)
-72 73-87
핀란드 헬싱키
황대진 ‘79 지도관 진출
황수연 ‘87 - 초청/황대진
스웨덴 스톡홀름
이주선 ‘71 - 파견/ITF
임원섭 ‘75 지도관 파견/ITF
임지표 ‘86 - 현지
조영오 ‘79 무덕관 이민
노르웨이
오슬로
이기하 ‘74 - 파견/IFT
임원섭 ‘76 지도관 파견/ITF
트론하임 김재화 ‘80 - 이민
오슬로 조운섭 ‘87 청도관 이주/덴마크
덴마크 코펜하겐
신부영 ‘71 - 독일/광부
고태정 ‘80 무덕관 초빙
최경안 ‘77 무덕관 초빙
○ 남유럽 한인사범 진출 분류
- 27 -
○ 동유럽 한인사범 진출 분류
국가 지역 성명
진출시기
출신관 기타(진출형태)
-72
73-8
7
88-
폴란드
루블린 이경명 ‘75 초청
바르샤바
강철인 ‘90 소개
이수광 ‘90 소개
러시아
모스크바 이준구 ‘89 시범
쌍트페테르
부르크
이상진 ‘94 KOICA
불가리아 김호 ‘00 KOICA
몰도바 최용섭 ‘11 현지초청
3. 서유럽
○ 서유럽 각국의 태권도의 시스템은 국가별로, 지역별로 너무도 판이한 제도와
시스템을 갖고 있음
○ 서유럽에 제일먼저 태권도를 보급된 것은 6.25전쟁 중에 이준구 사범으로부
터 태권도를 배웠던 조지 크라인과 미국에서 태권도를 배웠던 마이크 앤더슨
이 독일에서 태권도 도장을 시작한 1950년대 말에서 1963년도 경이라고 할
수 있음
○ 프랑스에는 1969년에 이관영 사범이 정부초청으로 파견되었음
○ 1972년 뮌헨올림픽을 계기로 독일 뮌헨의 서윤남 사범과 오스트리아 인스부
르크에 있던 이경명 사범이 태권도시범을 대대적으로 기획하여, 태권도를 알
리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었음
○ 1963년 말부터 1977년까지 파독광부로 갔던 약 8,000명의 젊은이들 중에
태권도사범 자격을 가지고 있었던 많은 사범들이 자연스럽게 독일인들에게 태
권도를 가르쳤음
- 28 -
○ 1965년 최홍희 장군이 단장을 맡은 구․아태권도시범단의 단원으로 참여한 권
재화, 박종수 등의 사범이 1966년에 초청 사범의 자격으로 독일에 갔음
○ 1967년에 서윤남, 이경명 사범 등을 초청하였으며, 이경명 사범은 1970년에
오스트리아로 진출하였음
○ 3년간의 계약이 끝난 파독광부들 중 독일에서 태권도사범으로 정착한 사람도
있고, 서명수 사범의 경우 1970년부터 네덜란드에 정착하기도 하였음. 서명수
사범은 벨기에에도 태권도를 보급하였음
○ 서유럽 각국 진출의 개요는 다음과 같음
□ 독일
‣ 최초 진출 연도 : 1963년
‣ 최초 진출 사범 : 권재화, 박종수
‣ 협회 결성 : 1978년
‣ 수련인구 : NRW지역 약 1만 4천명
‣ 세부내용 :
1957년 조지 크라인 프랑크푸르트 도장개설
1964년 이준구 사범 시범팀 공연
1965년 최홍희 시범단 공연
1966년 권재화, 박종수 사범 독일 진출
1970년 정흠일 사범 파독광부 출신으로 독일 진출
1971년 신부영 사범 독일태권도협회 수석사범 취임
‣ 주요사범 : 권재화, 박종수, 서윤남, 이경명, 정흠일, 신부영, 박수남, 고의민
□ 프랑스
‣ 최초 진출 연도 : 1969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관영 사범
- 29 -
‣ 세부내용 :
1969년 이관영 사범 파리 진출
1973년 방서홍 사범, 이관영 사범의 초청으로 프랑스 진출
1974년 프랑스 대사관 후원으로 유럽태권도축제 개최
1976년 이용선 사범 리옹 진출
1978년 김용호 사범 파리 진출
1980년 이문호 사범 대표팀 감독
2008년 제1회 주프랑스대사배 태권도대회 개최
‣ 주요사범 : 이관영, 이용선, 김용호, 이문호
□ 오스트리아
‣ 최초 진출 연도 : 1969년
‣ 최초 진출 사범 : 권재화, 이경명 사범
‣ 협회 결성 : 1969년
‣ 세부내용 :
1969년 구트만, 오스트리아 태권도 협회 창설
1970년 이경명 사범 인스부르크 진출
1970년 이광배 사범 비엔나 진출
1970년 김광철, 신장환 사범 비엔나 진출
1970년 오승흥 사범 린쯔 진출
1973년 김양웅 사범 짤츠부르크 진출
1983년 박수남 사범 국가대표팀 감독
1989년 신봉희 사범 비엔나 진출
‣ 주요사범 : 이경명, 이광배, 김광철, 김양웅
□ 네덜란드
‣ 최초 진출 연도 : 1966년
‣ 최초 진출 사범 : 박종수, 김광일 사범
‣ 세부내용 :
1966년 권재화, 박종수 사범 최초의 태권도 시범
- 30 -
1967년 박종수 사범 네덜란드 입국
1969년 서명수 사범 네덜란드 태권도협회 국가사범으로 초청
1973년 허흥택 사범 진출
1975년 최경안 사범 진출
1982년 서명수 사범 네덜란드 태권도 협회 기술위원장 임명
‣ 주요사범 : 박종수, 김광일, 서명수, 허흥택, 최경안
□ 벨기에
‣ 최초 진출 연도 : 1969년
‣ 최초 진출 사범 : 서명수, 이범주 사범
‣ 세부내용 :
1988년 진윤섭 사범, 친구 소개로 벨기에 진출
2002년 국기원, 벨기에 황태자에게 명예단증 수여
‣ 주요사범 : 진윤섭 사범이 유일
4. 북유럽
○ 북유럽의 태권도 진출 시기는 1960년대 후반 영국을 제외하고 인근 유럽지
역보다 다소 늦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유럽의 중앙 부분과 지역적
으로 떨어져 있었던 지리적 특성 때문이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 북유럽의 태권도 진출은 영국을 제외하고는 1970년 이후부터 이루어졌으며
스웨덴과 노르웨이, 덴마크는 1970년대 초반에, 핀란드로의 진출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음
○ 국제태권도연맹은 북유럽의 태권도 보급을 위해 1971년 스웨덴에 이주선 사
범을 파견했고 이를 계기로 북유럽에 태권도 보급이 시작되었음
○ 1960년대 후반부터 영국에 태권도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던 이기하 사범
이 노르웨이에 국제태권도연맹의 태권도를 보급했음
- 31 -
○ 덴마크에서는 1971년 독일에 진출한 신부영 사범이 1975년부터 태권도 보
급을 시작했음
○ 1979년 개인자격으로 태권도 보급을 시작했던 황대진 사범이 핀란드 태권도
보급에 힘썼음
○ 북유럽 태권도 진출은 인근 지역과는 다음과 같은 다른 특성을 지님
‣ 첫째, 태권도 보급 초기 북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태권도가 다른 외
국인 사범이나 자국 출신의 사범들에 의해서 소개되어 있었고 이들 지역에
태권도 보급을 위해 진출했던 사범들은 이들과 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
였던 것으로 보임
‣ 둘째, 태권도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 북유럽 국가 진출 사범들은 진출 국가
교육 시스템을 이해하고 이 시스템과의 적절한 통합에도 성공한 것으로 보

‣ 셋째, 북유럽 국가의 태권도 진출에 성공한 대부분의 한인 사범들은 자신들
이 은퇴를 하면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과의 연결이 미약해 질 것이라는 점
을 우려하고 있었음
○ 북유럽 각국의 태권도 진출 개요는 다음과 같음
□ 스웨덴
‣ 최초 진출 연도 : 1971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주선 사범
‣ 협회 결성 : 1977년
‣ 수련인구 : 약 7천 5백명
‣ 세부내용 :
- 32 -
1975년 임원섭 사범 ‘NICKS체육’관 개관
1975년 임원섭 사범 ‘스톡홀름 태권도 아카데미’ 설립
2005년 임지표 사범 ‘스톡홀름태권도 아카데미’를 ‘무도아카데미’로 명칭 변경
현재 3개 학교에서 태권도를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으로 운영(조영오 사범)
‣ 주요사범 : 임원섭, 임지표, 조영오
□ 노르웨이
‣ 최초 진출 연도 : 1974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기하 사범
‣ 협회 결성 : 1977년
‣ 수련인구 : 약 2만명
‣ 세부내용 :
1974년 베트남 사범 ‘팅톡탁’ 태권도 소개
1974년 ITF의 이기하 사범 태권도 보급
1987년 덴마크의 조운섭 사범 노르웨이 오슬로 이주 후 태권도 전파
조운섭 사범 ‘전통태권도회(TTU) 결성
‣ 주요사범 : 이기하, 권재화, 신부영, 임원섭, 이범주, 조운섭, 김재화
□ 덴마크
‣ 최초 진출 연도 : 1971년
‣ 최초 진출 사범 : 신부영 사범
‣ 협회 결성 : 1975년
‣ 수련인구 : 약 1만명
‣ 세부내용 :
1976년 덴마크 썬더보로그에서 태권도 연무시범 실시(신부외 외 5명 사범)
1976년 최경안 사범 국가대표 감독 및 국가 심사위원 위촉
1980년 태권도협회 덴마크 체육회 가입
2000년 고태정 사범 국가대표 감독 및 국가 심사위원 위촉
‣ 주요사범 : 신부영, 최경안, 조운섭, 고태정
- 33 -
□ 핀란드
‣ 최초 진출 연도 : 1979년
‣ 최초 진출 사범 : 황대진 사범
‣ 협회 결성 : 1979년
‣ 수련인구 : 약 1만명
‣ 세부내용 :
1987년 황대진 사범 러시아 최초 진출
1979년 키올라 초등학교에서 태권도 교육
2005년 국회의사당내 스포츠 센터에서 국회의원 태권도 교육
2008년 ‘장애인태권도협회’ 설립, 장애인 태권도 교육(황대진 사범)
‣ 주요사범 : 황대진, 황수연, 전동근, 박종만
□ 영국
‣ 최초 진출 연도 : 1967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기하 사범
‣ 협회 결성 : 1967년(영국태권도협회), 1972년(아일랜드태권도협회)
‣ 세부내용 :
1972년 신동완 사범 영국진출
박수남 사범 명예회장
‣ 주요사범 : 이기하, 신동완
5. 남유럽
○ 남유럽에 진출한 최초의 사범은 1964년 이기하사범과 권재화사범이 당시 영
국에서 활동하며 터키 앙카라에서 시범을 한 것이 시초가 됨
○ 이탈리아의 박선재 사범(1966)과 박영길 사범(1967)이 진출
○ 스페인으로 바르셀로나에 전영태 사범(1967)을 시작으로 이영래 사범
(1972) 등이 진출
- 34 -
○ 스페인 마드리드의 김제원 사범과 조용훈 사범이 1972년 이전에 진출
○ 그 후 스페인의 1973년 바르셀로나에 진출한 이영우 사범, 이후 라꼬누냐에
어수일 사범, 터키의 조수세 사범이 있고, 포르투갈에는 1974년 리스본에 정
선용 사범, 1976년과 1977년에 터키의 김정관 사범과 그리스의 안헌기 사범
이 각각 진출했음
○ 남유럽 각국의 태권도 진출 개요는 다음과 같음
□ 스페인
‣ 최초 진출 연도 : 1967년
‣ 최초 진출 사범 : 전영태 사범
‣ 협회 결성 : 1975년
‣ 수련인구 : 1600여개 도장
‣ 세부내용 :
유럽에서 가장 많은 한인태권도 사범 거주
태권도에 대한 높은 열기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최고의 성적
‣ 주요사범 : 김제원, 조용훈, 이영우, 어수일
□ 포르투갈
‣ 최초 진출 연도 : 1974년
‣ 최초 진출 사범 : 정선용 사범
‣ 협회 결성 : 1975년
‣ 세부내용 :
인접국 스페인에 비해 태권도 열기 저조
태권도보다 타 무술에 관심 높음
스포츠보다 무술(무도)에 대한 관심
‣ 주요사범 : 정선용 사범이 유일
- 35 -
□ 이탈리아
‣ 최초 진출 연도 : 1966년
‣ 최초 진출 사범 : 박선재 사범
‣ 협회 결성 : 1966년
‣ 세부내용 :
유럽에서 드물게 한국인이 협회 주도
독일, 프랑스, 스페인과 함께 유럽태권도의 중심국
‣ 주요사범 : 박선재, 박영길
□ 그리스
‣ 최초 진출 연도 : 1977년
‣ 최초 진출 사범 : 안헌기 사범
‣ 협회 결성 : 1987년
‣ 세부내용 : 경제위기에 따른 태권도 전망 불확실
‣ 주요사범 : 안헌기 사범이 유일
□ 터키
‣ 최초 진출 연도 : 1965년
‣ 최초 진출 사범 : 조수세 사범
‣ 협회 결성 : 1981년
‣ 세부내용 :
축구 다음으로 태권도가 인기
구립 스포츠센터 태권도 프로그램 다수운영
개인 도장 경영이 어렵다
‣ 주요사범 : 조수세, 김두만, 이효주, 김용덕
- 36 -
6. 동유럽
○ 동유럽의 태권도 진출은 우선 ITF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이는 소비에트연방
체제가 붕괴되기 이전 공산권에 속했던 때문임
○ 1980년대 후반부터 소비에트연방 체제가 균열되기 시작하고 한국정부의 북
방정책이 시작됨에 따라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에도 WTF 태권도가 진출하
기 시작했음
○ 그러나 폴란드의 경우에는 인근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한 이경명 사범에 의해
일찌감치 1975년부터 WTF 태권도가 보급되었음
○ 러시아의 경우 개혁정책을 펼치며 서방세계의 문화를 받아들이던 중, 미국에
서 태권도로 성공한 이준구 사범이 먼저 태권도 시범과 태권무 공연을 선보이
며 태권도를 소개했음
○ 그 후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이 들어가 태권도 시범과 함께 태권도 연수회를
개최하여 기존 태권도 수련자들을 WTF 안으로 흡수하기 시작하였음
○ 또한 아프리카 세네갈에서 정파사범 임기를 마친 이상진 사범이 1994년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진출하여 태권도를 보급하였음
○ 동유럽의 태권도 보급의 특징은 옛 공산권 시절 ITF태권도가 진출한 상태에
서 공산권이 해체 되면서 WTF 태권도가 진출하여 흡수하는 경향이 있음
○ 동유럽 각국 태권도 진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러시아
‣ 최초 진출 연도 : 1989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준구 사범
- 37 -
‣ 협회 결성 : 1990년
‣ 세부내용 :
1989년 이준구 사범 태권무 공연
1990년 국기원시범단 순회시범 및 세미나
1991년 용인대학교 태권도시범단 공연
1994년 이상진 사범 상트페테르부르크 파견
‣ 주요사범 : 이준구, 이상진
□ 폴란드
‣ 최초 진출 연도 : 1975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경명
‣ 세부내용 :
1975년 3월 코나르스키 저지가 오스트리아 이경명 사범에게 연락
1975년 5월 이경명 사범 폴란드 진출
1979년 세계태권도연맹에 가입
1990년 이수광, 강철인 사범 폴란드 이주
1999년 세계태권도시범단 순회시범
2012년 19회 폴란드태권도선수권대회 개최(26개국 800여명 참가)
‣ 주요사범 : 이경명, 이수광, 강철인
- 38 -
Ⅳ. 아프리카 태권도 진출사
1. 아프리카의 지리적 특성
○ 아프리카는 지구 육지면적의 1/5을 차지하는 광활한 대륙으로, 2010년 약
10억의 인구를 갖고 있으며, 53개 독립국으로 구성되어 있음
○ 아프리카의 지역을 구분 짓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편
의상 크게 북부 아프리카와 남부 아프리카로 구분하였음
○ 북부 아프리카에는 이집트, 튀니지, 시에라리온, 세네갈, 수단, 모로코, 리비
아, 나이지리아, 브르키나 파소, 에티오피아 등이 포함되며
○ 남부 아프리카에는 코트티부아르, 가나, 케냐, 우간다, 가봉, 중앙아프리카공
화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스와질랜드 등이 포함됨
○ 이와 같은 구분은 지리적 위치와 이슬람의 영향 정도를 함께 고려한 것임
2. 아프리카의 태권도의 개요
○ 아프리카의 태권도를 일군 초기사범들은 김영태, 김남석, 윤목, 정기영, 김용
광, 곽기옥, 최기철, 나화련, 이중기, 박정래, 김철오 사범 등으로 지금은 60세
가 넘은 사범들임
○ 1980년대 중반에 파견된 한유근, 나화련, 이웅희, 김범수, 김무천, 이상진, 최
태암, 조현구 등의 사범들이 파견됨
○ 1980년대 후반 이집트의 임한수사범과 튀니지 등에서 활약한 이병호 사범은
1990년대 이후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 의해 파견된 젊은 사범들 사이에
- 39 -
국가 지역 성명 진출시기 -72 73-87 88- 출신관 기타(진출형태)
이집트 카이로
노승옥 ‘74 송무관 유학
조경행 ‘74 송무관 유학
김승주 ‘79 정부파견
정성홍 ‘81 정부파견
정기영 ‘84 무덕관 정부파견KOICA
임한수 ‘86 송무관 정부파견KOICA
튀니지 튀니스 이병호 ‘94 지도관 정부파견
시에라리온 프리타운 최태암 ‘83 정부파견
세네갈 다카르
이상진 ‘83 지도관 정부파견
박익수 ‘93 KOICA
이관영 70중반 청도관 세네갈초청
수단 하르툼
김철오 ‘80 정부파견
김종기 ‘86 정부파견
심종진 ‘84 정부파견
박종걸 ‘87이후 정부파견
정웅환 ‘87이후 정부파견
모로코
훼스 윤창영 ‘71 송무관 유학
라바트
이용근 ‘71 유학
이용기 ‘74 왕실초청
김명옥 ‘74 왕실초청
리비아 트리폴리
김용광 ‘79 무덕관 정부파견
조승호 ‘75이전추정 개인
강문현 ‘75 정부파견
나이지리아 아부자
박정래 ‘83 정부파견
김무천 ‘83 정부파견
이병호 ‘91 지도관 정부파견
김영석 ‘84 정부파견
브르키나
파소 와가두구 김선공 ‘86 정부파견
이웅희 ‘86이전 정부파견
에티오피아 아디스아
바바
나화련 ‘83 지도관 정부파견
박수철 ‘99 군인
박노원 ‘92 개인
박노칠 ‘03 KOICA
서 중간역할을 했음
○ 북부아프리카 한인사범 진출 분류
- 40 -
국가 지역 성명
진출시기
출신관 기타(진출형태)
-72 73-87 88-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김영태 ‘68 지도관 개인->정파
가나 아크라
곽기옥 ‘78 송무관 정부파견
나화련 ‘88 지도관 가나초청
케냐 나이로비
이기진 ‘75 지도관 `개인(사업)
윤목
‘70
‘79
지도관 정부파견
나화련 ‘80 지도관 정부파견
이중기 ‘81 지도관 개인초청
한유근 ‘81 정부파견
강철 ‘96 KOICA
우간다 캄팔라 김남석 ‘69 의료요원
가봉 리브르빌
박영식 ‘86 정부초청
박남현 ‘81 정부파견
신경호 ‘76 정부파견
중앙아프리
카공화국 방기 김범수 ‘81 정부파견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민경태 ‘89 개인
이은우 ‘91 개인
프리토리아 조정현
‘01
‘03
계약
KOICA
레소토 마세루
윤 목 ‘71 지도관 정부파견
이중기 ‘87 지도관 개인
스와질랜드 음바바네 이은우 ‘82 정부파견
○ 남부아프리카 한인사범 진출 분류
3. 북부아프리카
○ 북부 아프리카의 태권도진출은 크게 1972년 이전, 1973년에서 88올림픽이
전, 그리고 88올림픽이후로 구분해 살펴 볼 수 있음
○ 먼저 1972년 이전에 진출한 사범으로는 모로코에 유학생신분으로 진출한 윤
창영 사범과 이용근 사범이 있으며, 세계태권도연맹이 창립된 이후 1974년에
는 유학생신분으로 이집트에 진출한 노승옥 사범과 조경행 사범, 모코로 왕실
초청으로 진출한 이용기 사범과 김명옥 사범이 있음
○ 이 지역에 정부에서 태권도사범이 파견된 것은 1975년 리비아의 강문현 사
- 41 -
범이 처음임
○ 초기 유학생들의 북아프리카 태권도진출은 유학이후 사업을 목적이었으나,
태권도를 보급하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인 태권도사범으로 남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사업 등으로 다른 국가로 이동한 경우가 많음
○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중반까지는 정파사범이 파견돼 기존 유학 등으
로 파견된 사범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지며 그 이유는
초기정파사범들이 태권도의 전문적인 사범이 아닌 경우와 더불어 해당국가의
정보수집요원으로 진출한 경우도 있었기 때문임
○ 대부분의 경우 해당 국가의 경찰과 학교를 중심으로 보급되었음
○ 1988올림픽의 시범종목채택과 1991년 올아프리칸스게임에 태권도가 정식종
목으로 채택되면서 태권도의 보급은 국가별로 중요한 종목으로 인식이 전환되
었음
○ 하지만 아직도 아프리카의 경제적인 어려움과 정치적인 문제 등이 다른 대륙
에 비해 태권도보급에 있어 장애로 남아 있음
○ 북부 아프리카 각국의 태권도 진출 개요는 다음과 같다
□ 모로코
‣ 최초 진출 연도 : 1971년
‣ 최초 진출 사범 : 윤창영, 이용근
‣ 협회 결성 : 1975년
‣ 세부내용 :
1971년 이용근, 윤창영 최초 진출
1974년 이용기, 김명옥 왕실초청
1975년 협회가맹
- 42 -
1981년 체육회 가맹
2012년 한국-모로코수교 50주년
‣ 주요사범 : 윤창영, 이용근, 이용기, 김명옥
□ 이집트
‣ 최초 진출 연도 : 1974년
‣ 최초 진출 사범 : 노승옥, 조경행
‣ 협회 결성 : 1978년
‣ 세부내용 :
1974년 노승옥, 조경행 유학생 진출
1974년 AUC교과목채택
1995년 국립경찰대학 정규과목채택
2001년 한인 최초도장 코리안태권도짐
2010년 아스완 최초도장 고려도장 오픈
‣ 주요사범 : 노승옥, 조경행, 김승주, 정성홍, 정기영, 임한수, 한혜진
□ 에티오피아
‣ 최초 진출 연도 : 1983년
‣ 최초 진출 사범 : 나화련 사범
‣ 협회 결성 : 2003년
‣ 수련인구 : 약 1만명
‣ 세부내용 :
1983년 나화련 진출
1992년 박노원 진출
1999년 박수철 진출
2003년 박노칠 진출
북한 격술과의 갈등
‣ 주요사범 : 나화련, 박노원, 박수철, 박노칠
- 43 -
□ 리비아
‣ 최초 진출 연도 : 1975년
‣ 최초 진출 사범 : 강문현
‣ 협회 결성 : 1979년
‣ 수련인구 : 100여개의 클럽 활성화
‣ 세부내용 :
카다피 투기종목 금지, 태권도예외
북한과의 갈등-김용광 부인 납치미수
김용광 사범 카다피 아들 지도
한-리 수교가 WTF 가입보다 늦음 (1980)
현, 정치적 관계로 출국
‣ 주요사범 : 강문현, 김용광
□ 세네갈
‣ 최초 진출 연도 : 1983년
‣ 최초 진출 사범 : 이상진 사범
‣ 협회 결성 : 1985결성, 1995 WTF가입
‣ 수련인구 : 약 2만명
‣ 세부내용 :
전두환 대통령 아프리카 순방 후 세네갈에 태권도 사범 파견 지시
‘부산’, ‘해동’, ‘지리산’ 태권도 클럽
경찰학교, 공수특전단, 소방관 교육
말리에도 태권도 보급
‣ 주요사범 : 이상진, 박익수
□ 나이지리아
‣ 최초 진출 연도 : 1975년
‣ 최초 진출 사범 : 박정래 사범
‣ 협회 결성 : 1985년 결성, 1995년 WTF 가입
‣ 수련인구 : 약 2만명
- 44 -
‣ 세부내용 :
지도관, 무덕관, 청도관이 경합
지도관이 국기원 가맹으로 도약
아프리카 태권도 강국
최근 LG후원 대사배 태권도대회
영산대 금시환 국가대표감독
‣ 주요사범 : 박정래, 김무천, 이병호, 금시환
4. 남부아프리카
○ 남부아프리카 태권도 진출의 역사에서 초기에 위치한 인물들은 김영태 사범
(코트디부아르 ‘68)과 김남석 사범(우간다 ’69) 윤목 사범(케냐 ‘70)임
○ 김영태 사범의 제자들은 아프리카의 다른 나라로 진출해 태권도를 보급하는
첨병의 역할을 하였음
○ 남부아프리카의 경우 유학과 사업의 목적을 위해 진출한 김영태 사범의 경우
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한국정부의 파견 또는 현지 정부의 초청에 의해 진
출하였음
○ 이는 아프리카라는 미지의 지역에 대한 두려움과 매우 낮은 수준의 경제적
환경으로 인해 민간 태권도장의 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임
○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파견은 주로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외교력을 제
고하고 현지정보에 자연스럽게 접근하려는 등의 국가적인 목적이 개입되어 있

○ 현지정부의 적극적인 파견 요청은 경찰과 군대의 무도 교육을 위한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졌음
- 45 -
○ 다른 무도 종목에 비해 더 역동적이고 집체교육에 유리한 태권도는 그들의
필요에 부합할 수 있었음
○ 특히 1973년 이후 세계태권도연맹체제가 들어서고, 선수생활과 시범단생활
을 거친 우수한 사범들이 파견됨으로써 현지에서 태권도의 경쟁력은 월등히
높아졌음
○ 1980년대 초 전두환 대통령이 아프리카 5개국을 순방하면서 한국에서 아프
리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는데, 이로 인해 많은 태권도 사범들이 남부 아
프리카에 파견되었음
○ 1980년대 후반이후 개인적인 태권도 진출이 시도되었음
○ 남부 아프리카 지역의 태권도 진출 개요는 다음과 같다
□ 케냐
‣ 최초 진출 연도 : 1975년
‣ 최초 진출 사범 : 윤목, 이기진
‣ 협회 결성 : 1990년
‣ 수련인구 : 400여개 도장
‣ 세부내용 :
사범들 사업전환
윤목과 한유근 갈등
1980년 제1회 군인태권도대회 2체급 은메달
선교태권도(동부교회)
‣ 주요사범 : 윤목, 이기진, 나화련, 한유근, 이진기, 강철
□ 우간다
‣ 최초 진출 연도 : 1969년
- 46 -
‣ 최초 진출 사범 : 김남석
‣ 협회 결성 : 1970년
‣ 수련인구 : 유단자 2500명
‣ 세부내용 :
국제대회 1975서울 첫금메달(아프리카)
첫 여성 유단자 - 에데케
80년 제1회 군인태권도대회 2체급 은메달
‣ 주요사범 : 김남석
□ 코트디부아르
‣ 최초 진출 연도 : 1968년
‣ 최초 진출 사범 : 김영태
‣ 협회 결성 : 1973년
‣ 수련인구 : 1만 5천여명
‣ 세부내용 :
아프리카 최초 보급국가
김영태 사범 제자들이 각국보급
1999년 쿠테타로 교민감소
‣ 주요사범 : 김영태
□ 가나
‣ 최초 진출 연도 : 1978년
‣ 최초 진출 사범 : 곽기옥
‣ 협회 결성 : 1981년 WTF가입
‣ 수련인구 : 약 1500개 도장, 약 15만명
‣ 세부내용 :
정세불안으로 연이은 쿠데타
군에서 적극적으로 태권도 보급
곽기옥 쿠데타 정보 파악, 교민보호
사관학교 필수과목
- 47 -
학력평가 정식과목
‣ 주요사범 : 곽기옥
□ 가봉
‣ 최초 진출 연도 : 1976년
‣ 최초 진출 사범 : 신경호 사범
‣ 협회 결성 : 1978년
‣ 수련인구 : 약 30만명
‣ 세부내용 :
아프리카연맹(1978) 창립멤버
전두환 대통령 방문 시 북한공작으로 북한국가 연주
청와대 경호원 파견
‘박상철 챌린지’ 대회
‣ 주요사범 : 신경호, 박상철, 박영식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최초 진출 연도 : 1981년
‣ 최초 진출 사범 : 김영태(순회지도), 김범수
‣ 협회 결성 : 1999년 WTF 가입
‣ 수련인구 : 2500여명
‣ 세부내용 :
태권도가 최대 규모의 스포츠
골링바 대통령 자녀11명 태권도 교육
2012 런던올림픽 자력진출
강슬기 복수 국적, 런던올림픽 출전
‣ 주요사범 : 김영태, 김범수
□ 남아프리카공화국
‣ 최초 진출 연도 : 1989년 이전
‣ 최초 진출 사범 : 정용택, 민경태
- 48 -
‣ 협회 결성 : 1991년 WTF 가입
‣ 수련인구 : 약 2000명
‣ 세부내용 :
ITF와의 갈등 최근 정리
군 중심의 태권도 보급
조정현 사범의 적극적 보급 활동
최초 흑인 국기원 정식사범 던칸 마슬랑구
‣ 주요사범 : 정용택, 민경태, 이은우, 조정현
- 49 -
Ⅴ. 결론
1. 유럽 지역의 태권도 진출 성과와 문제점
○ 유럽 지역 태권도 진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유럽 지역의 태권도의 보급과 확산을 통한 국위선양
‣ 무도로서의 태권도를 성장시켰다는 점
‣ 유럽 태권도 진출 사범들은 대한한국 산업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하였음
‣ 유럽 지역 한국 문화의 확산에도 역할을 하였음
○ 유럽 지역 태권도 진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 태권도 보급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체계 부족
‣ 네트워크 부재로 인한 해외 진출 사범들 간의 소통부족
‣ 후계자 부재로 인한 종주국 태권도와의 괴리감 발생
2. 아프리카 지역의 태권도 진출 성과와 문제점
○ 아프리카 지역 태권도 진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 태권도는 아프리카 각국의 체육이면서 무도로서 생활과 밀접하게 접근
‣ 태권도 사범들은 아프리카 사회의 주요인사와 사회적 상류계층에게 인정
- 50 -
받음으로써 한인사회에서 리더역할을 하고 있음
‣ 아프리카에 파견된 태권도 사범들은 대한민국을 위해 현지 정보수집, 봉사
활동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음
○ 아프리카 지역 태권도 진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일부 사범들은 태권도 실력과 인격적인 면에서 부족한 결과 현지인들에게
외면당하는 경우가 있었음
‣ 아프리카 진출 사범들이 현지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정부가 구조조정을 통해 해외파견사범을 감축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

‣ 아프리카 진출 사범들에 대한 사후 관리운영체제가 미흡한 실정
‣ 태권도가 스포츠로서만이 아니라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외
교적 수단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태권도 역할을 강화할 의지가 필요
‣ 해외파견 사범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인 관리시스템 구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