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때 충격받은 50~60대 자녀들 경쟁력 키워주려 어느 세대보다 사교육 매달려
과잉 보호 속 자란 아이들 성인이 되어도 부모에 의존
"솔직히 우리 세대가 (자식을) 잘 못 키운 측면이 있죠."
본지 편집국에 모인 부동산 전문가 한 명이 한숨을 쉬며 내뱉은 말이다.
지 금 혼주 세대인 50~60대는 온 나라가 가난하던 1940~50년대에 태어나 압축 성장의 파도를 타고 청춘을 보냈다. 지금처럼 빈부 격차가 심하지 않은 데다 나라 전체가 쑥쑥 성장했기에 있는 사람이나 없는 사람이나 '열심히 일하면 먹고 산다''허튼짓만 안 하면 나이 들면서 점차 형편이 풀리게 되어 있다'는 공감대가 있었다. 대다수가 단칸방에서 고생스럽게 출발했다. 일단 '내 집'을 마련하고 나면 시나브로 집값이 올라 저축과 융자를 합쳐 방 한 칸짜리 집에서 방 두 칸짜리 집으로, 다시 방이 세 칸, 네 칸 있는 집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런 공감대를 깨뜨린 게 IMF 외환 위기다. 지금 혼주들이 막 중년에 접어들던 시기였다. 그들에게 IMF 외환 위기는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충격을 줬다.
본지 편집국에 모인 부동산 전문가 한 명이 한숨을 쉬며 내뱉은 말이다.
지 금 혼주 세대인 50~60대는 온 나라가 가난하던 1940~50년대에 태어나 압축 성장의 파도를 타고 청춘을 보냈다. 지금처럼 빈부 격차가 심하지 않은 데다 나라 전체가 쑥쑥 성장했기에 있는 사람이나 없는 사람이나 '열심히 일하면 먹고 산다''허튼짓만 안 하면 나이 들면서 점차 형편이 풀리게 되어 있다'는 공감대가 있었다. 대다수가 단칸방에서 고생스럽게 출발했다. 일단 '내 집'을 마련하고 나면 시나브로 집값이 올라 저축과 융자를 합쳐 방 한 칸짜리 집에서 방 두 칸짜리 집으로, 다시 방이 세 칸, 네 칸 있는 집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런 공감대를 깨뜨린 게 IMF 외환 위기다. 지금 혼주들이 막 중년에 접어들던 시기였다. 그들에게 IMF 외환 위기는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충격을 줬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209/13/2012091300228_0.jpg)
그 과정을 겪은 혼주 세대는 직장에서 좀 더 오래 살아남기 위해 재테크와 자기계발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 서점가를 휩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로버트 기요사키·황금가지)가 그 시대를 대표하는 베스트셀러였다.
동 시에 '나도 언제 같은 처지가 될지 모른다. 내 자식은 나처럼 불안하게 살지 않도록 남다른 경쟁력을 갖추게 해줘야겠다'고 마음먹는 사람이 많았다. 이들은 과거 어느 세대보다 많은 돈을 자녀 사교육에 투자했다. 부유층뿐 아니라 중산층·서민 가장들까지 '기러기 아빠' 생활을 감수하면서 아이들을 조기 유학 보냈다. 빈부 격차가 커질수록 부모들 마음속에는 당장 빠듯하게 살더라도 자식 키우는 데 올인했다.
전문가들은 "50~60대가 '너는 나처럼 살지 말라'며 금이야 옥이야 자식을 키운 탓에 자식 세대인 20~30대는 무슨 일이 터지면 스스로 해결하기보다 자동적으로 부모 얼굴을 쳐다보게 됐다"고 했다. 수많은 50~60대가 자식을 잘못 키웠다는 얘기다.
'▒ 은퇴와귀농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 들으면 깜짝 놀랄 충격적인 사실 (0) | 2012.10.10 |
---|---|
[부모의 눈물로 울리는 웨딩마치] 외동 아들의 신혼집에 갔다가 깜짝 놀란 어머니 (0) | 2012.09.14 |
[부모의 눈물로 울리는 웨딩마치]소개팅 나간 노총각, 상대女가 "집있느냐" 묻자 (0) | 2012.09.12 |
7억 여의도 아파트 있는 고교 교사, 자녀 결혼 앞두고 결국… (0) | 2012.09.12 |
재산 털어 아들 전셋집 구해준 남성, 매일 먹는 반찬 보니…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