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문가 “2006년 1차 핵실험때 슈퍼EMP폭탄 특징 보여”
북한이 단 한 차례 공격만으로 미국이나 한반도 전체의 전력망과 통신망을 파괴할 수 있는 위력의 신종 핵무기를 이미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의 핵무기 전문가가 주장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미 중앙정보국(CIA)에서 핵무기 전문가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피터 프라이 박사가 “북한이 슈퍼 EMP(전자기파) 폭탄을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고 24일 보도했다.
‘EMP(Electro Magnetic Pulse)’란 높은 상공에서 핵무기를 폭발시킬 경우 생기는 강한 에너지의 전자파를 뜻한다. ‘슈퍼 EMP 폭탄’이란 폭발할 때 이런 초강력 EMP가 생겨나도록 특별히 고안된 무기로, 공격 목표 지역의 모든 전기·전자 장비를 태워버려 결국 전력망이나 통신·전산망을 무력화시킨다.
프라이 박사는 VOA와 인터뷰에서 “EMP 폭탄을 개발한 러시아의 과학자가 EMP위원회에 ‘EMP 디자인 정보가 북한에 유출되는 사고가 있었다’고 밝혔다”면서 “러시아 과학자들은 2004년 이미 ‘몇 년 안에 북한이 슈퍼 EMP 폭탄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고 2년 뒤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했다”고 말했다.
프 라이 박사는 “1차 핵실험 때 북한 핵무기가 1∼3kt의 위력밖에 내지 못하자 북한 핵실험이 실패했다는 진단이 나왔다”며 “낮은 폭발력이 바로 슈퍼 EMP 폭탄의 특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수퍼 EMP 폭탄은 감마선을 발산하도록 고안됐으며, 감마선이 방출될 때는 ‘피시식’ 하고 꺼지는 소리가 나는데, 이를 보고 핵실험이 실패했다는 잘못된 판단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프 라이 박사는 슈퍼 EMP 폭탄의 위력에 대해 “대륙 중심 상공 400km에서 폭발되면 미국 전역의 전력망이 파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북한이 슈퍼 EMP 폭탄 개발에 실제로 성공했다면, 한 차례 공격만으로 한반도 전역의 전력망이나 통신망 역시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에서도 이미 북한의 슈퍼 EMP 폭탄 개발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2009년 6월 한국국방연구원(KIDA) 관계자는 국회에서 “북한이 소형 핵탄두를 EMP탄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며 “동해 상공 40∼60km 지점에서 20kt의 무기가 터질 경우 인명 살상은 없으면서도 한반도 전역의 전자장비를 탑재한 무기들이 무력화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