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 아시아 양극화 부추겨” | |
빈국은 식량부족…선진국은 수확량 늘어 중앙아시아 강수량 줄고 사막화 가능성 저소득·인구밀집지역 저기압 폭풍 급증 | |
![]() |
![]() ![]() |
타이 치앙마이대학의 환경학자 루이스 레벨 교수는 <글로벌아시아> 겨울호에 기고한 글에서 지구 온난화에 대한 경각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온난화가 약자들에게 더욱 큰 피해를 입히는 ‘양극화’를 유발한다는 점은 간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금 상태가 지속되면, 빈국들의 식량난 악화는 불보듯 분명하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지구 온난화로 우기가 더욱 줄어들고 있다. 2050년 우기가 평균보다 한 달 이상 줄어들 확률이 30~40%나 된다. 건조한 중앙아시아와 인도 대륙은 강수량이 10~30% 줄어들며, 작물을 키울 수 없는 사막으로 바뀔 전망이다. 반면, 온대 기후에 자리잡은 한국과 일본 등에선 기온 상승으로 작황이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 기후 변화가 아시아 선·후진국의 격차를 한층 더 벌려놓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세계의 수도탑’으로 불리는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의 빙하가 녹으면, 산 아래 강들이 수십년간 엄청나게 불어났다가 말라버릴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 밀집 지역인 방글라데시와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는 열대성 저기압이 이미 급증했다. 온난화가 해수 온도와 증발률을 높였기 때문이다. 바닷가 대도시에 몰려사는 상당수 아시아인은 수몰 위기에 놓여 있다. 방글라데시의 다카와 중국 상하이, 인도 뭄바이는 세계적으로도 해수면 상승에 가장 취약한 대도시로 꼽힌다. 향후 100년간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률은 0.1~0.9m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 등 부국에서는 홍수 예방 인프라를 추가로 짓고 설비·보수하는 데 애쓰고 있지만, 가난한 남아시아 국가들은 재원의 대부분을 근본적인 예방책이 아닌 재난 구호에 쏟아붓고 있다. 개별 국가 안에서도 농·어촌은 보호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다. 레벨 교수는 “상황이 이런데도 아시아 국가 대부분은 지구 온난화를 자연재해 또는 안보상 위협으로만 이해하지, 사회 내부의 취약 계층에 대한 위협으로는 인식하지는 않고 있다”며 “도시와 해안 지역의 빈민을 위한 새로운 농업기술 개발, 재난 대처, 보험 등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수민 기자 wikka@hani.co.kr |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스베이거스에 ‘30층 고층빌딩 농장’ 건설 (0) | 2008.01.07 |
---|---|
국민이 왜 퇴직공무원 연금을 대줘야 하나 (0) | 2008.01.07 |
불륜, 할 말 있다 (0) | 2008.01.05 |
탐사로봇 스피릿 화성 과거 밝혀내다 (0) | 2008.01.05 |
중국, 우슈는 파리 날리고 태권도는 '문전성시' (0) | 200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