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hen I saw you standing there
- I about fell out my chair
- And when you moved your mouth
- to speak
- I felt blood
- go to my feet
-
- Now it took time
- for me to know
- What you tried so not to show
- Now something in my soul
- just cries
- I see the want
- in your blue eyes
-
- **
- Baby, I'd love you to want me
- The way that I want you
- The way that it should be
- Baby, you'd love
- me to want you
- The way that I want to
- If you'd only let it be
-
- You told yourself years ago
- You'd never
- let your feeling show
- The obligation that you made
- For the title that they gave
-
- ** Repeat
-
- ~ ~ ~ ~ ~
-
- Now it took time
- for me to know
- What you tried so not to show
- Now something in my soul
- just cries
- I see the want
- in your blue eyes
-
- ** Repeat 2 times
-
|
-
- 당신이 그 자리에 서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
- 난 하마터면 의자에서 떨어질 뻔 했지요
- 당신이 무슨 말인가를 하려고
- 입술을 움직였을 때
- 난 내 몸의 피가
- 역류하는듯한 느낌이었답니다.
-
- 많은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 당신이 보여주지 않으려 애쓴 것이
- 무엇인지를 알 게 되었답니다
- 지금 내 영혼 속의 뭔가가
- 마냥 울음을 터뜨립니다.
- 당신의 고독한 파란 눈동자 속에서
- 그리움을 향한 갈망을 느꼈기 때문이지요.
-
- **
- 그대, 내가 당신을 원하는 식으로
- 그리고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 하듯이
- 난 당신이 날 사랑해 주길 바랍니다
- 그저 당신의 마음이 가는대로 내 버려 둔다면
- 내가 바라는 방식대로
- 당신도 내가 당신을 사랑해주길
- 원하고 있다는게지요.
-
- 몇 년 전, 당신은 스스로에게 다짐했지요
- 당신은 결코
- 당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겠다고 말이죠
- 아마도 그건 사람들이 붙여 준 말에 대한
- 당신 스스로 만들어 놓은 구속감 때문일거예요.
-
- ** 반복
-
- ~ ~ ~ ~ ~
-
- 많은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 당신이 보여주지 않으려 애쓴 것이
- 무엇인지를 알 게 되었답니다
- 지금 내 영혼 속의 뭔가가
- 마냥 울음을 터뜨립니다.
- 당신의 고독한 파란 눈동자 속에서
- 그리움을 향한 갈망을 느꼈기 때문이지요.
-
- ** 2회 반복
-
|
-
NOTES...
-
-
-
- :::: I'd Love You To Want Me ::::
-
- 서정적인 가사와 함께 감미로운 멜로디를 가지고 있는 이 노래는 1972년 말에 발표된 이래
- 지금까지 꾸준히 애청되오고 있는 로보의 대표적인 노래이다. 로보는 1971년에 발표한 <Me
- And You And A Dog Named Boo>를 시작으로 일련의 히트곡들을 발표하였다
-
-
- :::: Lobo ::::
-
1943년 7월31일 미국 플로리다 출생.
- 데뷔년도:1971년
- 장르:이지리스닝, 팝
- No.1 히트곡:없음
- 앨범:10장 - Of A Simple Man('72 #37), Introducing Lobo('73),
- Calumet('73), Just A Singer('74), A Cowboy Afraid
- Of Horses('75)
- 한국에서 히트한 노래 : Me And You And A Dog Named Boo
- ('71#5), I'd Love You To Want Me('72 #2),
- How Can I Tell('73 #22), Simple Man('72),
- Stoney('73) 등
- 주요기록 : 70년대 이지리스닝 뮤직의 대표적인 스타
싱어 송라이터로 30년간 활동하고 있음 제작자로 자신의 레이블 'Boo'사를 갖고 있음 로보라는 이름은 스페인의 늑대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함
-
로보(Lobo)를 기억하는가. 그는 서정성 짙은 발라드로 70년대 국내 팝송 팬을 사로잡았던 가수로, CCR, 카펜터스, 존 덴버 등과 함께 '팝송의 시대' 한복판에 서있었던 추억의 인물이다.
- 당시 김세환은 그의 노래 '스토니(Stoney)'를 개사해 불렀고 윤항기도 그의 '윌 비 원 바이 투 투게더(We`ll be one by two together)'를 '우리 함께 간다네'라는 제목으로 번안해 노래했다. 이밖에도 국내에서 사랑받는 그의 곡들은 엄청나게 많다. '날 원해주었으면(I`d love you to want me)', '평범한 남자(A simple man)', '길이 없어(There ain`t no way)'등이 70년대 말까지 줄기차게 애청되었다. 뒤에 나온 곡들인 '어찌 그녀에게 말하리(How can I tell her)'와 '내게 좋은 밤이라 말하지 마오(Don`t tell me good night)'도 다운타운가를 강타했다.
이처럼 국내에서 우대 받았던 로보는, 정작 본고장 미국에서는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가 부른 노래 가운데 빌보드 싱글 차트 10위권에 올랐던 노래는 3곡에 불과했다. '스토니'같은 곡은 싱글로도 발표되지 않아서 미국인들에게는 제목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노래이다. 90년대 들어서 앨범 홍보차 내한한 로보 자신도 “내 노래가 한국에서 그렇게 인기를 끌었는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그의 '숨겨진' 노래를 발굴해 국내 애청 팝송으로 만든 주역은 당시의 라디오와 다운타운가 음악 다방의 디스크 자키들이었다. 그들은 알려진 곡이든 묻혀 있는 곡이든 '우리정서'에 맞는 노래들을 뒤져내 전파하는 일에 적극적이었다. 디제이들의 노력으로 우리의 '듣는 귀' 이른바 음악 청취의 패턴이 확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팬들은 언제나 감미로운 선율 중심의 노래를 좋아했다. 로보의 국내 애창곡은 바로 이에 대한 산 증거이다. 지금은 리퀘스트의 대열에서 좀 물러 났다고는 하지만 70년대 정서의 실체를 밝혀주었다는 점에서 그의 노래가 갖는 의미가 퇴색했다고 할 수는 없다.
로보는 1943년 미국 플로리다주 탈라하시에서 태어난 미국인이다. 그의 본명은 켄트 라보에다. 로보는 스페인어로 늑대라는 뜻이다. 미국 사람 같지 않은 얼굴과 긴 생머리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듯이, 인디언 혈통을 지닌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1961년 짐 스태포드와 그램 파슨스가 포함된 그룹 레전즈(Legends)에서 연주 실력을 쌓았고 1970년 공식 데뷔해 컨트리 풍의 노래로 인기를 모으기 시작했다. 1974년에는 음악 출판회사인 부 퍼블리싱을 설립했다. 1980년대에는 내슈빌에서 컨트리 가수의 앨범을 프로듀싱하며 자신은 일선에서 물러나 조용한 생활을 즐겼다. 다시 돌아온 그는 지난 1994년에 동양적인 정서를 담은 앨범 '아시아의 달(Asian Moon)'을 내놓았고 그 후로도 신보를 출반하였다. 프로모션 투어에 이어 그는 90년대 후반 여름에 서울에서 내한 공연을 갖기도 하였다. 로보는 '흘러간 가수'인 것은 사실이지만 '잊을 수 없는 가수'인 것도 분명하다. [ From Izm.co.kr ]
- ~~~~~~~~~~~~~~~~~~~~~~~~~~~~~~~~~~~~~~~~~~~~~~~~~~~~
-
- *want : (때로 a ~) 결핍, 부족(of…); 결핍감, 부족감. LACK 類語
- suffer from (or for) want of water(business) 물 부족(사업 부진)에 시달리다 - want of common sense 상식의 결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