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족보 용어
. 시조(始祖) : 제일 처음 선조로서 첫번째 조상 cf 관조
. 비조(鼻祖) :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중 가장 높은 사람
. 중시조(中始祖) : 시조 이하에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을 모든 종중의 공론에 따라 추존한 사람 cf 중흥조
. 선계(先系) : 시조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말
. 세(世) : 시조를 1세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
. 대(代) :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로 하여 올라갈 경우
. 아명(兒名) : 어렸을때 부르는 이름
. 자(字) : 20세가 되면 요즘 성년식과 같은 관례를 행하며 지어준 것
. 항명(行名) : 가문의 항렬자에 따라 족보에 오르는 이름
. 함자(銜字), 휘자(諱字) : 웃어른의 이름자를 말할때 살아 계신분은 함자, 돌아가신 분은 휘자라 함
(예) 圭泰 :윗사람일 경우 ~ "규자 태자입니다" 또는 "홀규자에 클태자입니다" 라고 하며 본인 자신을 말할 경우 ~ "규태입니다" 라고 함
. 사손(嗣孫) : 봉사손의 준말로 한집안의 종사를 있는 자손, 즉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자손
. 후사(後嗣) :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후사가 없으면 "무후(无后)", 양자로 출계하면 "출후(出后)", 서얼로 입적하면 "승적(承嫡)", 후사가 확실치 않아 확인할 수 없으면 "후부전(后不傳)이라 하고 양자로 들어 온사람을 계자(繼子또는 系子)라 함
. 시호(諡號) : 왕, 종친, 정2품이상 문무관, 나라에 특별한 공이 많은 신하들, 학문이 뛰어나 존경을 받는 유학자들에게 그들이 죽은뒤 생전의 행적을 칭송하여 나라에서 추증하는 이름을 말함. 문관은 "문(文)"자가 최고의 영예였으며 이외도 "정(貞)" "공(恭)" "양(讓)" 정(靖)"자가 있었고, 무관에게는 "충(忠)"자가 가장 영예로왔고 "무(武)" "의(義)"자 등이 있었음
(예) 지증왕(지철노), 태조(이성계), 문순공(이황), 문충공(익제공/백사공), 충무공(이순신/이수일/남이/김시민 등) cf 연산군, 광해군
. 부원군(府院君) : 왕의 장인이나 일등 공신에게 주던 칭호 cf 대원군
(예) 익제공(계림부원군), 국당공(월성부원군) 등
. 증직(贈職) : 종친이나 종2품이상 관원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또는 효자 충싱 학덕이 현저한 사람에게 공덕을 기리어 나라에서 사후에 관직과 품계를 추증하는 벼슬로 관직앞에 "증(贈)"자를 붙인다
실직 2품이상에겐 3대를 추증(부와 처는 본인 품계에 준하며, 조부와 증조부는 1품계씩 강등)하고, 대군의 장인은 우의정(정1품), 군의 장인은 좌찬성(종1품), 정공신이면 벼슬이 낮아도 정3품, 공신의 父는 보조공신으로 추증하고 군으로 봉하며, 왕비의 父는 영의정, 세자빈의 父는 좌의정으로 추증함
. 묘비(墓碑),비명(碑銘) : 묘비는 무덤앞에 세우는 비석의 총칭이며, 비에 새긴 글을 비명이라함
. 신도비(神道碑) : 임금이나 고관의 무덤앞 또는 길목에 세워 죽은이의 사적을 기리는 비석으로 고려시대에는 3품이상 관직자, 조선시대는 2품이상 관리들에게 세움
※ 신도(神道)라는 말은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이라는 뜻임
. 묘갈(墓碣) : 신도비와 비슷하나 3품이하 관리들 무덤앞에 세우는 머리부분이 둥그스름한작은 돌비석
. 사당(祠堂) :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곳으로 가묘(家廟)라고도 함
. 사신(使臣) : 외교정책의 근간으로 나라를 대표해서 파견되는 사람을 말하며, 사신단의 총책임자인 정사(正使)는 3공 또는 6공이 담당하고 정사를 보조하는 부사(副使)와 기록관인 서장관(書壯官)외 40여명이 수행 하였음
. 수단(收單) : 족보 편찬을 위하여 수록 할 명단을 받는 것을 말함
※ 족보상에 20세 이전에 사망하면 요절이란 뜻의 조요(早夭), 70세가 되기전에 사망하면 향년(享年), 70세가 넘어 사망하면 수(壽)라 기록함.
. 시조(始祖) : 제일 처음 선조로서 첫번째 조상 cf 관조
. 비조(鼻祖) :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중 가장 높은 사람
. 중시조(中始祖) : 시조 이하에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을 모든 종중의 공론에 따라 추존한 사람 cf 중흥조
. 선계(先系) : 시조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말
. 세(世) : 시조를 1세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
. 대(代) :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로 하여 올라갈 경우
. 아명(兒名) : 어렸을때 부르는 이름
. 자(字) : 20세가 되면 요즘 성년식과 같은 관례를 행하며 지어준 것
. 항명(行名) : 가문의 항렬자에 따라 족보에 오르는 이름
. 함자(銜字), 휘자(諱字) : 웃어른의 이름자를 말할때 살아 계신분은 함자, 돌아가신 분은 휘자라 함
(예) 圭泰 :윗사람일 경우 ~ "규자 태자입니다" 또는 "홀규자에 클태자입니다" 라고 하며 본인 자신을 말할 경우 ~ "규태입니다" 라고 함
. 사손(嗣孫) : 봉사손의 준말로 한집안의 종사를 있는 자손, 즉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자손
. 후사(後嗣) :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후사가 없으면 "무후(无后)", 양자로 출계하면 "출후(出后)", 서얼로 입적하면 "승적(承嫡)", 후사가 확실치 않아 확인할 수 없으면 "후부전(后不傳)이라 하고 양자로 들어 온사람을 계자(繼子또는 系子)라 함
. 시호(諡號) : 왕, 종친, 정2품이상 문무관, 나라에 특별한 공이 많은 신하들, 학문이 뛰어나 존경을 받는 유학자들에게 그들이 죽은뒤 생전의 행적을 칭송하여 나라에서 추증하는 이름을 말함. 문관은 "문(文)"자가 최고의 영예였으며 이외도 "정(貞)" "공(恭)" "양(讓)" 정(靖)"자가 있었고, 무관에게는 "충(忠)"자가 가장 영예로왔고 "무(武)" "의(義)"자 등이 있었음
(예) 지증왕(지철노), 태조(이성계), 문순공(이황), 문충공(익제공/백사공), 충무공(이순신/이수일/남이/김시민 등) cf 연산군, 광해군
. 부원군(府院君) : 왕의 장인이나 일등 공신에게 주던 칭호 cf 대원군
(예) 익제공(계림부원군), 국당공(월성부원군) 등
. 증직(贈職) : 종친이나 종2품이상 관원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또는 효자 충싱 학덕이 현저한 사람에게 공덕을 기리어 나라에서 사후에 관직과 품계를 추증하는 벼슬로 관직앞에 "증(贈)"자를 붙인다
실직 2품이상에겐 3대를 추증(부와 처는 본인 품계에 준하며, 조부와 증조부는 1품계씩 강등)하고, 대군의 장인은 우의정(정1품), 군의 장인은 좌찬성(종1품), 정공신이면 벼슬이 낮아도 정3품, 공신의 父는 보조공신으로 추증하고 군으로 봉하며, 왕비의 父는 영의정, 세자빈의 父는 좌의정으로 추증함
. 묘비(墓碑),비명(碑銘) : 묘비는 무덤앞에 세우는 비석의 총칭이며, 비에 새긴 글을 비명이라함
. 신도비(神道碑) : 임금이나 고관의 무덤앞 또는 길목에 세워 죽은이의 사적을 기리는 비석으로 고려시대에는 3품이상 관직자, 조선시대는 2품이상 관리들에게 세움
※ 신도(神道)라는 말은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이라는 뜻임
. 묘갈(墓碣) : 신도비와 비슷하나 3품이하 관리들 무덤앞에 세우는 머리부분이 둥그스름한작은 돌비석
. 사당(祠堂) :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곳으로 가묘(家廟)라고도 함
. 사신(使臣) : 외교정책의 근간으로 나라를 대표해서 파견되는 사람을 말하며, 사신단의 총책임자인 정사(正使)는 3공 또는 6공이 담당하고 정사를 보조하는 부사(副使)와 기록관인 서장관(書壯官)외 40여명이 수행 하였음
. 수단(收單) : 족보 편찬을 위하여 수록 할 명단을 받는 것을 말함
※ 족보상에 20세 이전에 사망하면 요절이란 뜻의 조요(早夭), 70세가 되기전에 사망하면 향년(享年), 70세가 넘어 사망하면 수(壽)라 기록함.
'▒ 관혼상제집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결혼식과 뒷풀이 (0) | 2007.07.18 |
---|---|
계촌법 (0) | 2007.06.14 |
현대인이 알아야 할 조문 예절 (0) | 2007.06.02 |
관례(冠禮)의凡節. (0) | 2007.05.30 |
한복 입는 법 (0) | 2007.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