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인간이 조상에게 제사 지내는 까닭은
효(孝)를 계속하기 위함이며,
효란 자기존재에 대한 보답이기 때문입니다.
모든 제사에는 향사 대상자를 상징하는 신위를 설치하게 됩니다.
신위는 돌아가신 조상의 형체를 표상한 것입니다.
신위에는 예로부터 시동,신주,위패,사판,소상,동상,초상화,지방 등이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사진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사 중에는
이들 신위에 신이 깃들이는 것으로 믿어졌습니다.
오늘날 주거형태의 변화로 신주를 모실 가묘(家廟 : 사당)가 없으므로
신주 대신 지방을 써
신위판에 붙여 제사를 지내게 된 것입니다.
오늘날 지방은 고례(古禮)에 의한 한문으로 쓴 지방을 쓰고 있는데,
'건전가정의례준칙'에는
한글로 지방을 쓴다고 되어있습니다.
한글 세대가 많아진 요즈음
어린 후손들에게 제사의 의의와 제사 참례의 참뜻을 전승시키려면,
보고 해득할 수 있는 한글 지방이 좋을 것입니다.
한글식 지방 쓰는법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다.
문안을 쓸 때에는 붓을 사용하여 한자로 쓰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적당한 필기구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하여도 무방하다
지방의 규격은 가로 6 cm, 세로 22 cm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상단을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데
이는 천원지방(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이다.
문은은 일반적으로 남자고인의 경우
'顯()考學生府君神位',
벼슬이 있으면 "學生"(학생)대신에
벼슬의 관직(예를 들면 "崇祿大夫"등)을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대신에 "貞敬夫人"(정경부인)을 쓴다.
"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쓴다.
"考"(고)는 사후의 "父"(부;아버지)를 뜻하며
"비"는 사후의 母(모;어머니)를 뜻한다.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는 것이 기본이다 .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이다.
한 할아버지에 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 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아버지 << 아 버 님 신 위 어머니 << 어 머 님 경 주 이 씨 신 위 남편 << 부 군 신 위 아내 << 망 실 김 해 김 씨 신 위 절사때 << 선 조 여 러 어 른 신 위 [참고] 한글 축문 최근에는 지방을 쓰지 않고 사진이나 초상화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경향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시대의 흐름에 따라 풍속도 바뀌듯이,
한글 세대에게
무슨 뜻인지도 알 수 없는 한자 축문을 그대로 쓰라고
고집할 수 만은 없는 것이다.
각 가정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다음은 한글로 쓴 축문이다.
다른 대상의 축문도 아래 것을 보기로 해서 쓰면 될 것이다. <부(夫), 조(祖) 기제 축문 쓰는법(한글식)> ○○년 ○월 ○일 아버지(또는 할아버님) 신위 전에 삼가 고합니다. 아버님(또는 할아버님)께서 별세하시던 날을 다시 당하오니 추모의 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소서 <아내의 기제 축문 쓰는법(한글식)> ○○년 ○월 ○일 남편 ○○는 당신의 신위 앞에 고합니다. 당신이 별세하던 날을 당하니 옛 생각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니 흠향하소서. |
*************************
지방 쓰는 법 | |
|
'▒ 관혼상제집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0) | 2007.05.29 |
---|---|
차례의 유래와 의미 (0) | 2007.05.29 |
차례상(제사상) 차리기 (0) | 2007.05.29 |
전통.역사.왕조.고향.일반.상식등 유용한 정보 (0) | 2007.05.29 |
제사 절차 (0) | 2007.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