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직 명 |
해 설 |
자덕대부(資德大夫) |
종2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
자의(諮議) |
정6품의 관직(官職). |
장군(將軍) |
정4품의 무관직(武官職)이다 |
장령(掌令) |
사헌부(司憲府)·감찰사(監察司)의 종4품의 관직(官職).
|
장무장군(將武將軍) |
정4품 하(下)의 무산계(武散階).
|
장사(長史) |
종 6품의 무관 벼슬. |
장사랑(將仕郞) |
종 9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
절도사(節度使) |
지방장관, 뒤에 안무사(按撫使)라고 했다.
|
절제사(節制使) |
원수(元帥)를 개칭한 이름으로 각 주(州)·부(府)의 장관(壯觀)직.
|
정당문학(政當文學) |
조선 초기의 종2품의 관직(官職).
|
정당문학(政當文學) |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소속이며 조선 때는 문하부(門下府) 소속이었다.
|
정랑(正郞) |
6조(六曹) 소속의 정5품 벼슬.
|
정봉대부(正奉大夫) |
종2품의 문산계(文散階).
|
정순대부(正順大夫) |
정3품의 문산계(文散階).
|
정언(正言) |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속한 종6품의 관직(官職). 뒤에 정6품이 되었다.
|
정윤(正尹) |
종친(宗親)에게 종2품, 훈신(勳臣)에게 정3품으로 내리던 봉작(封爵).
|
정원장군(定原將軍) |
정5품의 무산계(武散階).
|
정조(正祖) |
향직(鄕職)의 7품 벼슬. |
제거(提擧) |
관직(官職).
|
제학(提學) |
정 3품의 벼슬로 대제학 다음 벼슬. |
조교(助敎) |
태의감·국학에 소속된 벼슬.
|
조교(助敎) |
국학박사(國學博士) 다음가는 벼슬. |
조봉랑(朝奉郞) |
종5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
조산대부(朝散大夫) |
4품 또는 5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
조산랑(朝散郞) |
종7품 하(下)의 문관품계(文官品階).
|
조열대부(朝列大夫) |
종4품 하(下)의 문관품계(文官品階).
|
조의대부(朝議大夫) |
정5품 상(上)의 문관품계(文官品階).
|
조의랑(朝議郞) |
정6품 상(上)의 문관품계(文官品階).
|
조전원수(助戰元帥) |
고려 말기의 무관직(武官職), 도원수(都元帥)·상원수(上元帥)를 돕는 구실을 담당. |
조청대부(朝請大夫) |
정5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
조청랑(朝請郞) |
정7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
조현대부(朝顯大夫) |
문반품계(文班品階).
|
종사랑(從仕郞) |
7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
정4품의 관직위계(官職位階). 조선 때 정3품. |
좌대언(左代言) |
밀직사(密直司).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에 소속된 정3품의 벼슬.
|
좌랑(左郞) |
6조(六曹)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
좌반전직(左班殿直) |
액정국(掖庭局)의 남반(南班)에 예속된 정3품. |
좌보궐(左補闕) |
시대에 따라 정5품에서 정6품의 벼슬.
|
좌복야(左僕射) |
상서도성(尙書都省) 소속의 정2품의 벼슬로 상서령(尙書令) 다음의 관직(官職).
|
좌부대언(左副代言) |
밀직사(密直司).
|
좌부승선(左副承宣) |
정3품의 벼슬.
|
좌부승직(左副承直) |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정6품의 벼슬.
|
좌사간(左司諫) |
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관직(官職). 뒤에 좌헌납(左獻納)으로 개칭. |
좌사낭부(左司郎部) |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예속된 정2품직.
|
좌사낭중(左司郎中) |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
조선 초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간관(諫官).
|
좌상시(左常侍) |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정3품의 벼슬.
|
좌습유(左拾遺) |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소속의 종5품에서 정6품. |
좌승직(左承直) |
정5품으로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관직(官職). |
좌시금(左侍禁) |
액정국(掖庭局) 소속의 정8품의 벼슬.
|
좌위수(左衛수) |
춘방원(春坊院) 소속의 정5품의 무관직(武官職).
|
좌윤(左尹) |
삼사 소속의 종3품 벼슬. 조선 때 한성부의 종2품의 벼슬.
|
좌윤(佐尹) |
향직(鄕職)으로 6품의 벼슬. |
좌찬선대부(左贊善大夫) |
동궁(東宮)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
좌첨사(左詹事) |
첨사부(詹事府)에 소속된 벼슬.
|
주사(注事) |
관직(官職).
|
중대부(中大夫) |
종4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
중랑장(中郞將) |
조선 초 각 영(領)에 소속된 정5품의 무관직(武官職).
|
중무장군(中武將軍) |
정4품 상(上)의 무산계(武散階). |
중봉대부(中奉大夫) |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를 고친 정3품의 문산계(文散階).
|
중부(重副) |
대제상(大帝相)의 다음 가던 벼슬.
|
중사인(中舍人) |
정5품으로 동궁의 속관관직(屬官官職)
|
중산대부(中散大夫) |
정5품 상(上)의 문산계(文散階).
|
중서령(中書令) |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종1품의 관직(官職).
|
중서사인(中書舍人) |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종4품의 벼슬.
|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
중서성(中書省)의 정2품 관직(官職).
|
중정대부(中正大夫) |
종3품의 문산계(文散階).
|
주서(注書) |
종7품의 관직(官職).
|
중현대부(中顯大夫) |
정3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
중호(中護) |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에 예속된 정2품 품계.
|
지부사(知部事) |
6부(六部)에 속한 종3품의 관직(官職).
|
지사(知事) |
각 도(道)의 도통사(都統使)에 딸린 5품에서 6품의 벼슬이며 또한 각 관청의 2품에서 5품의 벼슬.
|
지성사(知省事) |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종2품의 관직(官職).
|
지원사(知院使) |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종2품의 벼슬.
|
지제고(知制誥) |
조서(詔書)·교서(敎書) 등을 지어 왕에게 올리던 관직(官職).
|
지주사(知奏事) |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정3품의 벼슬.
|
지평(持平) |
정5품의 관직(官職).
|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
중추부의 정2품 무관(武官) 벼슬. |
지후(祗侯) |
정7품의 벼슬.
|
직문하(職門下) |
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종3품의 벼슬.
|
직사백(職詞伯)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소속의 정4품의 벼슬.
|
직장(直長) |
6품에서 9품까지의 관직(官職).
|
직제학(直提學) |
정4품의 관직(官職).
|
직학(直學) |
국자감(國子監)에 둔 종9품의 관직(官職).
|
직학사(直學士) |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정3품의 관직(官職).
|
진국대장군(鎭國大將軍) |
종2품의 무산계(武散階).
|
진덕박사(進德博士) |
성균관(成均館)의 종8품의 관직(官職).
|
진무(振撫) |
도통사(都統使) 소속의 종2품과 정3품이 있었다.
|
진무부위(振武副尉) |
종6품 하(下)의 무산계(武散階).
|
진장(鎭將) |
각 진(鎭)에 배치된 으뜸벼슬로 7품이상 관원중에서 임명됨.
|
집사(執事) |
말단 관리. |
진위교위(振威校尉) |
종6품 상(上)의 무관(武官)관계. |
집의(集義) |
사헌부(司憲府)의 3품관. 조선 때 사헌부의 종3품관. |
집주(執奏) |
추밀원(樞密院) 소속의 관직(官職). |
징사랑(徵事郞) |
정8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