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렌사 라티나는 이날 북한의 관영 조선중앙통신(KCNA)의 보도를 인용, B-52 전략폭격기들은 한국의 영공을 통해 북한내 지상 목표물들을 겨냥해 새해들어 첫 모의공습 훈련을 실시했으며,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미 7공군 소속의 F-16, A-10 전투기들과 합동으로 훈련이 실시됐다고 전했다.
중앙통신은 "이날 8시경 괌도의 기지에서 이륙한 'B-52' 전략폭격기들이 항로상에서 급유를 받으며 남조선 지역 상공에 날아들었다"면서 "이 폭격기들은 남조선 강점 미 제7공군 전투기 등과 함께 직도와 상동 사격장을 작전무대로 해 우리측 주요 대상물들을 노린 지상 대상물 타격 연습에 광분했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또 "미제 침략군 비행대들이 새해벽두부터 핵탄을 적재할 수 있는 'B-52' 전략폭격기들을 남조선 지역 상공에 투입하여 대상물 타격 연습에 열을 올리고 있는것은 미제가 조선에서 모험적인 핵전쟁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현실로써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과학원 세계군사연구부는 지난해 10월 시사주간 요망(瞭望) 동방주간에 게재한 글에서 "북한은 핵무기 개발 과정에서 직면할 국제적 압력 및 미국의 군사공격 가능성에 대해서도 충분한 준비를 해두었다"고 밝혔다.
군사과학원은 특히 "평양시는 매년 1-2차례의 전 인민 방공연습을 실시, 미국의재래식, 핵, 화학.생물 등 3가지 공습 가능성을 염두에 둔 대응방안을 점검, 보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
미국은 연구개발에 착수하여 1948년 7월에 발주하여 1952년 4월에 거대한 B-52 1호기의 시험비행에 성공하였고 1954년 평가시험용 B-52A형 3대가 생산되었다.
B-52는 1955년부터 미공군에서만 운용되었다. B-52 A, B, C형을 합해 88대, B-52D형 170대, E형 100대 및 F형 89대를 생산하였는데, 이상의 B-52 항공기는 모두 퇴역한 상태이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B-52 G형은 193대, H형은 102대가 생산됨으로써 B-52의 총생산 대수는 742대에 이른다.
B-52는 베트남전과 걸프전에 참가하였는데, 특히 베트남전에서의 융단폭격은 유명하다. 베트남전에서 B-52의 출격횟수는 총 124,500회로서 3,735,000톤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폭탄을 투하하였다. 또한 최근의 걸프전에서 B-52는 재래식 폭격기로서의 우수한 성능을 다시 한번 입증하게 되었다.
걸프전에서 B-52 편대는 총 1,624회의 임무 출격을 통해 25,700톤에 달하는 72,000발의 무장을 쿠웨이트내의 지역표적, 이라크의 비행장, 산업시설, 병력 집결지 및 각종 저장시설에 투하하였는데, 취역한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B-52의 임무가능률은 평시보다 2% 높은 85% 이상이었다. B-52 편대는 걸프전에서 미국이 투하한 폭탄의 29%, 그리고 다국적군의 38%에 달하는 무장을 투하하였다. 그동안 꾸준히 진행해 온 개조작업의 덕택으로 B-52는 여전히 효과적인 폭격기로 남아있다.
길이 160 ft
폭 185 ft
높이 40 ft
최대중량 488,000 lbs
최대비행거리 G : 12,070km
H : 16,093km
최대속도 마하 0.90
추 력 G : 13,750lbs × 8
H : 17,000Ibs × 8
최대상승고도 55,000 ft
승무원 6명
제작(개발) Boeing
백과사전 연관이미지 |
| |||||||||
내용출처 : [기타] http://afbase.com/ |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국 온실가스 규제 팔짱… 더 열받는 지구 (0) | 2007.01.11 |
---|---|
전세계 자산價 하락 경고음 높아져 (0) | 2007.01.11 |
올해 주식·부동산값 붕괴` 잇단 경고 (0) | 2007.01.10 |
라이스, 북한 2차 핵실험에 강력경고 (0) | 2007.01.08 |
미국의 핵폐기 데드라인에 대한 북한의 응답 - 2차 핵실험 (0) | 2007.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