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뒷바라지하다 노후준비 늦었다"..빈곤한 노인가구
전혜영 기자 입력 2020.04.19. 12:02 https://news.v.daum.net/v/20200419120212644국내 퇴직세대는 자녀의 교육과 결혼 뒷바라지 등으로 노후준비가 늦고, 조기퇴직, 공적연금의 늦은 시행 등으로 노후준비가 충분히 되지 못해 퇴직 후 소득절벽에 직면할 우려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70세 이후 고령층에서 주로 가구 분화가 발생하고 노인과 자녀 가구의 분화로 인해 노인세대 소득이 분화 전 가구소득의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원은 19일 "노인빈곤 문제는 노후소득 부족이 궁극적인 원인이지만 노년기에 주로 발생하는 자녀 분가와 황혼이혼 등에 따른 가구분화도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노인가구의 분화는 2세대 이상에서 1세대 가구로 세대 간 분화되거나 황혼이혼으로 세대 내 분화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가구 분화 시 소규모화되고 가구 수는 증가한다. 국내 노인가구 구성 형태를 보면 439만 노인가구 중 △노인자녀세대와 초고령 부모노인세대로 구성된 노노세대가구는 1% △노인과 자녀로 구성된 노인·자녀가구는 16.1% △노인부부가구는 33.2% △독거노인가구는 34.2%를 차지한다.
보험연구원의 강성호 연구위원·이태열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가구분화는 자녀 혼인 등 중고령 시기에 주로 발생하므로 조기에 분가가 이뤄지는 국가들에 비해 단계적으로 노후준비를 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20대 가구주 비중을 통해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18.7%인데 반해 일본 33.5%, 노르웨이 35.9%로 우리나라보다 15% 이상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40대까지는 자녀의 분가가 발생하지 않다가 50대에 3인 가구로 일부 분화가 나타나고, 60세 이상에서는 자녀 세대의 궁극적 분화로 2인 가구가 가장 많다"며 "특히 퇴직 이후인 60세 이상 노인가구에서 분화가 발생할 경우 노인빈곤으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가구형태의 변화와 빈곤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황혼이혼이 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국내 황혼이혼은 2010년에서 2019년까지 65세 이상은 4.3%p(포인트), 75세 이상 자는 1.0%p 증가했다.
강·이 연구위원은 "황혼이혼은 노인가구 소득을 약화시켜 노인빈곤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며 "이런 이유들로 인해 노년기에 집중된 가구분화가 노인빈곤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노인·자녀세대 가구가 분화될 경우 노인세대의 소득은 분화 전 가구소득의 38.7%로 나타나 빈곤에 직면할 우려가 크다는 분석이다. 국내 노인·자녀세대로 구성된 가구의 가구소득은 월 407만원인데, 해당 가구가 분화될 경우 월 평균 소득이 87만원으로 나타나 원가구 소득 대비 38.7% 수준으로 축소되는 가구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강·이 연구위원은 "가구 규모 변화가 노인빈곤율 산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소득 정책과 더불어 가구 형태 변화를 고려한 노인빈곤 정책이 필요하다"며 "가구분화를 간과한 채 단순히 노후소득에만 초점을 둔다면 가구분화를 통해 발생하는 빈곤율 문제를 해소할 수 없기 때문에 가구 형태 변화를 고려한 소득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은퇴와귀농 ▒'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60 '신중년' 절반 이상 "70세 넘어서도 일하고 싶다" (0) | 2020.10.02 |
---|---|
중년 여성 노동이 위험하다.. 생계·인격모독·코로나19 이근아 (0) | 2020.04.30 |
립스틱 바르는 94세 의사, 9시 출근해 병실 회진.. 100세 현역 어찌 꿈이랴 (0) | 2020.01.16 |
현재 노인 인구 만한 730만 베이비부머..고령화 쓰나미 온다 (0) | 2020.01.01 |
부모 잘 모신다더니" 부양 갈등..초고령화 사회 안타까운 사연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