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 부족, 걸림돌 꼽혀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걸림돌은 ‘노후준비 부족’이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50대’, ‘저소득자’, ‘주부’는 다른 집단에 비해 행복감이 떨어졌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지난해 12월 중순 실시한 경제행복지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28.8%는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노후준비 부족’을 지목했다. 이어 ‘자녀양육·교육’(21.9%), ‘일자리 부족’(20.2%), ‘주택문제’(19.1%) 등 순이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노후준비 부족을 걸림돌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60세 이상 응답자 중 60.2%, 50대 응답자 중 35.6%가 노후준비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지목했다.
경제적 행복감의 정도를 수치화한 경제행복지수는 50대가 39.4점으로 가장 낮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50대는 직장 은퇴를 겪으며 행복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응답자의 직업, 결혼 유무에 따라서도 행복지수는 달리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57.4점)·공무원(53.7점) 등의 행복지수가 높았고, 자영업자(40.2점)·주부(38.8점)는 낮은 편에 속했다. 연 8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63.4점으로 2000만원 미만 소득자(36.3점)에 비해 1.7배 높았다. 10억원 이상 보유한 응답자는 65.3점으로 1억원 미만 소유 응답자(39.2점)보다 1.7배가량 높았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50.4점), 대학 졸업(46.1점), 고등학교 졸업(38.9점), 중학교 졸업(38.4점) 등의 순이었다. 미혼자는 46.7점으로 기혼자(44.1점)보다 경제적 행복지수가 높았다. 이혼·사별자의 경우 26.8점으로 가장 낮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미혼자는 기혼자보다 경제적 부담이나 책임감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 은퇴와귀농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달픈 노년..새벽차 타고 '500원 순례길' (0) | 2016.01.21 |
---|---|
퇴직금·연금 다 줬는데.. "돈 못번다" 아내가 손찌검 (0) | 2016.01.20 |
66세 은퇴 예상하지만.."실제 은퇴 61.7세" (0) | 2015.12.21 |
미쳤다, 돌았다, 세계일주여행 했다 (0) | 2015.12.18 |
60대 이상 고령층, 가계부채 충격시 가장 위험 (0) | 201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