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생각 해봤다" 4.71시간 "우울·무기력 경험"4.77시간 "자살계획 세워봤다" 5.6시간
우울·무기력감에 빠지거나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 중학생들은 일반 중학생에 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고 중독 성향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
존 연구에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 등 정서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된 만큼, 우울하거나 자살 생각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더 심각한 정신건강상 문제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7
일 성균관대 의대 사회의학교실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 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지역 중학교 1∼2학년 학생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915명을 대상으로 우울감 등을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청소년 5명 중 1명 정도가 지난 2주 동안 우울 및 무기력감에 빠진 경험(21.5%)이 있거나, 자살을 생각해 본
경험(21.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1%는 지난 1년 동안 자살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본 경험이 있었으며, 실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도 5.7%에 달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측정한 결과 우울 및 무기력감에 빠진 경험이 있는 학생은 4.77시간으로 전체 평균(3.9시간)보다 길었다.
자살 생각 경험이 있는 학생(4.71시간), 자살계획을 세워본 학생(5.6시간), 자살 시도 경험 학생(5.47시간)도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평균보다 훨씬 길었다.
이
들은 스마트폰 중독 성향도 보였다. '특별한 이유가 없어도 스마트폰을 자주 확인', '자기 전 또는 잠에서 깨자마자 스마트폰을
이용', '스마트폰이 없어서 불안감을 느낀 적 있음' 등을 묻는 한국인터넷인증원의 스마트폰 과몰입 행동조사(5점 만점)에서 우울,
자살 생각, 자살 경험, 자살 시도 학생들의 점수는 3.27∼3.42점으로 평균 점수(2.99점)보다 높았다.
기존
의 많은 연구에서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이 우울 및 불안, 강박증, 자살 관련 행태 등 '정서적 위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연구에서처럼 우울하거나 자살 생각·경험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하는 것은 현재
우울 증상 및 자살 생각을 더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스마트폰이 일반화된 현대 사회에서 단순히 스마트폰 사용을 규제하기보다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절제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실혼 확산·혼전계약 활성화..대한민국 '결혼'이 바뀐다 (0) | 2015.02.27 |
---|---|
검찰 "노무현 구속" 국정원 "망신만".. MB 향해 '충성경쟁' (0) | 2015.02.27 |
남·북 군사력 2:11로 北 절대우위" 美헤리티지 재단 보고서 (0) | 2015.02.25 |
한국이 일본보다 방사능에 더 오염된 이유 (0) | 2015.02.25 |
결혼을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여기는 국민이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0) | 201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