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결혼을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여기는 국민이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의 '2014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3세 이상 남녀 가운데 결혼에 대해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38.9%로 2012년 조사 때보다 5.3%포인트 증가했다.
결혼에 대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답한 비율은 2.0%로, 이 비율은 더하면 국민 41%가 결혼을 필수라고 여기지 않는 것으로 응답한 셈이다.
성별로 보면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답한 비율이 남성은 34.4%인 반면, 여성은 43.2%로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다.
같은 대답을 한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50.7%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20.8%로 낮아 연령이 많을수록 결혼을 당연시하는 인식이 컸다.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라는 답변 비율은 2002년만 해도 27.2%를 보여 지금과 견해 차이가 컸다.
이 비율은 2008년까지도 27.7%로 큰 변화가 없다가 이후 2010년 30.7%, 2012년 33.6%로 급격히 뛴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같은 조사에서 이혼에 대해서도 상당수 국민이 유연한 견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조사 결과 이혼에 대해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답변은 39.9%로 나타나 결혼에 대한 견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pan@yna.co.kr
(끝)
21일 통계청의 '2014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3세 이상 남녀 가운데 결혼에 대해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38.9%로 2012년 조사 때보다 5.3%포인트 증가했다.
결혼에 대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답한 비율은 2.0%로, 이 비율은 더하면 국민 41%가 결혼을 필수라고 여기지 않는 것으로 응답한 셈이다.
↑ (AP=연합뉴스 자료사진)
같은 대답을 한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50.7%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20.8%로 낮아 연령이 많을수록 결혼을 당연시하는 인식이 컸다.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라는 답변 비율은 2002년만 해도 27.2%를 보여 지금과 견해 차이가 컸다.
이 비율은 2008년까지도 27.7%로 큰 변화가 없다가 이후 2010년 30.7%, 2012년 33.6%로 급격히 뛴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같은 조사에서 이혼에 대해서도 상당수 국민이 유연한 견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조사 결과 이혼에 대해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답변은 39.9%로 나타나 결혼에 대한 견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pan@yna.co.kr
(끝)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북 군사력 2:11로 北 절대우위" 美헤리티지 재단 보고서 (0) | 2015.02.25 |
---|---|
한국이 일본보다 방사능에 더 오염된 이유 (0) | 2015.02.25 |
오바마 "북한 결국 무너져..군사해결책 답 아니다" (0) | 2015.01.24 |
닐 암스트롱 고백 - 내가 발을 내딛은 곳은 달이 아니다 (0) | 2014.12.29 |
스마트폰, 중국에 추월당했다 (0) | 201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