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권도자료 ▒

태권도의 역사

천하한량 2014. 8. 20. 17:43

태권도의 역사
태권도 역사는 ITF와 WTF가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인다. ITF는 카라테도우(空手道, 唐手道)를 기반으로 하여 한민족 고유의 무술로 승화시킨 것이라고 하는 반면, WTF는 고대시대부터 전해 오는 전통무술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WTF의 이러한 역사 서술을 조완묵(1971년), 정찬모(1972년)에 의한 태권도 역사 연구에서 근대이전의 역사연구를 통해 고대역사가 태권도 역사에 포함되게 된 까닭이다.

고대 역사는 충분한 고증이 없어 생략하고, 1940년대 이후부터 태권도 역사를 전개한다.
1950년대 중반부터 ITF와 WTF의 역사는 다소 차이를 보이다가 1972년 최홍희의 망명에 의해 ITF와 WTF로 각기 다른 길을 가게 된다.
3103231940년대
1944년 9월 일본 중앙대 카라테부 (쇼토칸 카라테/송도관) 출신의 이원국에 의해 청도관 개관
1945년 11월 황기에 의해 무덕관 개관
1946년 3월 일본 동양척식대학 카라테부 출신의 전장섭에 의해 연무관 개관
1946년 중국무술과 쇼토칸 카라테를 거쳐 일본대학교 카라테도우부 주장 출신인 윤병인에 의해 창무관 개관
1947년 일본대학교 카라테부 출신의 노병직에 의해 송도관 개관

1950년대5131950년 무덕관 황기관장이 명칭개정 시도 (무덕관만 공수도, 당수도에서 화수도로 개정)
1952년 일본 중앙대학 카라테부 출신의 최홍희에 의해 오도관 개관

1950년대 이전의 최홍희
최홍희는 1918년 11월 9일 함경북도 명천국 하가면 화대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2살이 되던 해 일본학교에 퇴학 당한 후 1937년(20세)에 일본으로 건너간다.
그리고 교토에서 가라테를 2년 동안 수련한 후 초단이 된다. (한국인 임씨에게 배웠다고 함)
2단으로 승단 후 일본 도쿄의 YMCA에서 강의를 할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다. 2362391941년 동아상업학교 야간부 4학년으로 편입한 후 일본 중앙대학 법학과에 재학중 1944년 1월 16일 일본군에 징집되어 평양 제 30보병사단 42부대에 배속된다.
1944년 11월초 평양학병의거를 주도하여 7년형을 언도받고 평양지방형무소에 복 역중 광복으로 출감하게 된다.
1946년 1월 군사영어학교에 입교 육군 창설 멤버 110명중 한 명이 된다.
1953년 제주도 모슬포에 육군 제 29사단 창설 (최초의 태권도 교육기관) 5491954년 '태권도'명칭 오도관, 청도관에서 사용
5071955년 '명칭제정위원회'발족 ('태권도' 명칭 합의) 3281955년 4월 11일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태권도' 명칭 인가 / 채택
4241959년 3월 ‘태권도'라는 명칭으로 최초의 해외 시범
대한 태권도 협회 창립 (초대 회장 최홍희) 404429- 위사진 하단 오른쪽 좌측으로 두번째 현 국기원장 엄운규 3143231960년대
1961년 9월 16일 대한 태수도 협회로 개칭
1963년 통일틀 완성
1962년 6월 20일 대한체육회 경기단체로 가입승인
1963년 10월 24일 제 44회 전국체육대회 시범종목
1964년 9월 3일 제 45회 전국체육대회 정식종목
1965년 최홍희 제 3대 대한태권도협회장
2991965년 8월 5일 대한태권도협회로 재개칭
1965년 최초의 태권도 교본 출간
1965년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서독, 이탈리아 등 세계 6개국에 친선사절단 파견
1966년 3월 22일 국제태권도연맹(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창립 (조선호텔 / 9개국)
태권도지침 발간 (카라테도우 형태 / 기술용어 개정)
1968년 제 1회 ITF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 개최 (홍콩/29개국 참가)
1969년 대한태권도 협회 우리말 용어 채택309322 세계태권도연맹(WTF)가 서술하는 1960년대 태권도사
1961년 9월 16일 대한태수도협회 창립 (대한태권도협회 전신)
1962년 12월 15일 대한태수도협회 초대회장 채명신 추대
1963년 2월 23일 대한체육회 경기단체로 가입승인
1963년 10월 9일 제 44회 전국체육대회 시범종목
1964년 9월 3일 제 45회 전국체육대회 정식종목
1965년 1월 15일 최홍희 태수도 협회장
1965년 8월 5일 대한태권도협회로 재개칭
1966년 10월 28일 대통령기 쟁탈 전국단체대항태권도 대회
1968년 6월 16일 주한 외국인 개인선수권대회
1969년 대한태권도 협회 우리말 용어 채택

1970년대
1971년 3월 ITF 제 2회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 대회 개최 (말레이시아)
1972년 ITF 본부 캐나다 토론토로 이전
1973년 11월 ITF 세계 태권도 시범 투어 (13개국 방문) 4651973년 제 1회 ITF말레이시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에너지 원리 발견-사인웨이브
1975년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ITF 태권도 단독 시범
세계태권도연맹(WTF)가 서술하는 1970년대 태권도사
1970년 10월 24일 전국국민학교 태권도 개인선수권대회
1971년 1월 17일 김운용 7대 회장 (7~14대, 19~20대 회장) 4051971년 국기로 인정
1972년 최홍희 망명
2792741972년 11월 30일 국기원 준공
1973년 5월 25일 제 1회 WTF 세계 태권도 선수권대회 (서울/17개국)
1973년 5월 28일 세계태권도연맹 창립
1972년 8월 7일 재단법인 국기원 설립
1974년 10월 18일 제 1회 WTF 아시아 태권도 선수권대회 (서울/10개국) 3273221975년 10월 8일 GAISF 국제경기연맹 가입
1976년 4월 19일 국제군인체육회(C.I.S.M) 정식 경기종목 채택
1979년 김운용 WTF 총재 세계 비 올림픽종목연합회 회장 선임

1980년대
1980년 한국인 사범 양성을 위해 15명의 ITF사범 북한 방문 (남한 양성 불가능에 대한 조치) 3391982년 10월 IOC에 승인 건의 3591984년 WTF에 태권도 통합 건의
1985년 3월 ITF본부 캐나다 토론토에서 오스트리아 빈으로 이전
1986년 북한 시범단 중국 방문
1987년 제 5회 ITF세계 선수권 대회 (한국정부 방해에도 불구하고 그리스에서 개최)

세계태권도연맹(WTF)가 서술하는 1980년대 태권도사
1980년 7월 19일 IOC 정식 승인 단체
1986년 9월 제 10회 아시안게임 정식종목 채택
1987년 10월 7일 제 1회 여자세계선수권대회 (스페인)
1988년 제 24회 서울올림픽 시범경기 종목

1990년대
1992년 부리타니카 백과사전에 태권도 소개 (창시자 최홍희 명기) 326- 90년대의 최홍희
세계태권도연맹(WTF)가 서술하는 1990년대 태권도사
1990년대 제 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시범경기 종목
1992년 12월 9일 제 1회 태권도 한마당 개최
1996년 11월 29일 한국문화 CI 대상으로 선정 3212000년대 6332001년 ITF 태권도 기술체계 완성
2002년 6월 15일 최홍희 별세
2002년 최홍희 별세 후 ITF 본부 오스트리아 빈에서 캐나다 토론토로 이전
2002년 11월 아르헨티나 정기총회에서 최중화 새 총재로 선출
2002년 11월 대한민국으로의 단계적 귀환 결정 국제태권도연맹 대한민국 회원국 승인
(ITF 대한태권도연맹)사무총장 오창진 www.kitf.org ( 042-482-3113 ) 3902002년 12월 국제태권도연맹 2004 세계선수권대회 한국개최 결정
(2004. 10. 14 - 19, 대전광역시 무역전시관)
제13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제7회 주니어 세계태권도 선수권대회 성공적 개최 633대한민국 ITF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48개국입국 관련입국자 2600여명

■ 국제태권도연맹 ITF-KOREA 대한민국으로 각 시도협회 구성중
2005년 12월현재 대한민국에서의 1회 국제심판세미나완료
이 후 각 시도협회 발족 박차 현재 교육사범1700여명 배출 377대전광역시 둔산동 ITF-KOREA 연맹 교육관 운영 3712006년 국기관 (전세계지도자 교육관 충북 착공예정) 432* 참조 : http://kr.blog.yahoo.com/tkd_gumdo/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