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어플루엔자에 감염되다] <중> SNS·블로그는 허영의 시장
'별천지'를 접한 듯
소득 수준 비슷한데도 거리낌없는 구매자 보고 묘한 경쟁 의식 생기기도
럭셔리블로거 롤모델로
화려한 생활에 동경심, 네티즌 방문 하루 1만명… 명품족 합류 뿌듯함까지
명품업체 발 빠른 대응
팔로워 많은 스타 이용… 간접 홍보의 수단으로 편향·왜곡된 이미지 심어
서 울 신림동에 사는 직장여성 장현숙(37ㆍ가명)씨는 최근 자신의 씀씀이를 되돌아보며 스스로도 깜짝깜짝 놀란다. 그는 지난 1년 사이 각각 500만원대, 300만원대 명품 가방 두 개를 사들였다. 명품은커녕 국내 유명 브랜드 가방을 살 때도 몇 번이고 가격표를 들여다 보던 몇 년 전까지의 소비 습관과 비교하면 딴판인 요즘이다.
장씨가 명품 쇼핑에 맛을 들인 것은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서다. "처음엔 유모차 등 아기 용품을 좀 싸게 구입하려고 블로그를 이용했어요. 그러다 저랑 소득수준은 별반 차이가 없을 것 같은 사람들이 온갖 명품을 입에 올리는 '별천지'를 알게 됐죠. 나만 모르고 살았나, 싶은 묘한 경쟁의식이 들었습니다. 스트레스 좀 받다가 결국 충동적으로 샤넬 백을 질렀어요."
나는 과시한다, 고로 존재한다
국 내 명품 소비 열풍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지만, 블로그와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의 영향을 빼놓을 수 없다. 개인의 생각과 생활방식 등을 마음껏 드러낼 수 있는 매체가 활성화하면서 대중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소비를 과감히 과시하고, 이는 소비의 연쇄효과를 불러오고 있다.
2009년 미국 럿거스대 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트위터 이용자의 80% 가량이 일명 '미포머'(Meformer)다. 영어 'Me'와 'Informer'를 합성한 미포머는 자신이 무엇을 사고 무엇을 먹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등을 시시콜콜 알리는 이들을 지칭한다. 이들의 등장으로 개인의 소비생활은 과거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게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게 됐고, 그 틈을 타고 어플루엔자 바이러스도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요컨대 소셜미디어가 명품 소비 확산의 고속도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온라인에서 새로운 유행어로 떠오른 '럭셔리 블로거'와 '럭셔리 제너레이션' 은 블로그와 명품의 '협력 관계'를 명확히 보여준다. '럭셔리 블로거'는 명품 구매와 이용기, 호사스러운 육아 경험, 해외여행기 등을 끊임없이 올리는 블로거를 가리킨다. 최근 세계 와이너리 탐방기 등을 블로그에 올린 모델 출신의 한 주부는 화려한 생활을 꿈꾸는 네티즌의 '롤모델'이 되고 있다. 그녀의 블로그를 방문하는 네티즌은 하루 1만명 안팎이다. '럭셔리 제너레이션'은 일상화된 명품 소비를 통해 정체성을 찾는 대학생 명품족을 지칭하는 신조어다. 이들은 블로그와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명품 정보를 공유하고 물건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블로그에서 명품을 보면 다들 사는 것이란 생각이 들어 죄책감 없이 나도 지르게 된다. 특히 명품으로 치장한 배우들을 비교해 보여주는 블로그를 보면 정말 나도 사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진다." 대기업 계열사에 다니는 직장인 한영현(35ㆍ가명)씨의 말이다.
지름신을 부르는 소비의 고속도로
소 셜미디어의 강력한 영향력에 주목한 기업들도 발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명품 업체들도 예외가 아니다. 기업들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에 적극 나서면서 등장한 용어가 '그라운드스웰'(Groundswell). 원래는 먼 곳의 폭풍으로 생긴 큰 파도를 말하는데, 소셜미디어를 통해 특정 제품의 정보를 얻고 엄청난 파급력을 지닌 입소문을 내는 네티즌의 소비 행태를 일컫는 상징적 표현으로 쓰인다. 기업들은 소셜미디어가 일으킨 유통의 지각변동을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로 여기고 있다. 수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스타가 돈을 받고 트위터 메시지를 통해 특정 회사 제품을 간접 홍보하는 것은 이젠 비밀 아닌 비밀이 됐다.
전 문가들은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가 네티즌들에게 특정 상품에 대한 그릇된 신념을 신어줄 수 있고 그 신념이 충동적인 구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른바 '신념편향 효과'(Belief Bias Effect)가 발생하는 것이다. 소셜미디어와 소비 행태에 대한 논문을 준비 중인 홍문기 한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사람들은 누군가 블로그에 특정 물건을 10년간 사용했다고 쓴 글만으로도 신뢰를 갖는다"며 "소셜미디어의 편향적이거나 왜곡된 메시지에 의해 사람들은 비합리적인 결정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 [리빙&조이] 앗! 이런것도… 몰랐던 생활정보 가득! 클릭해봐~
▶ 이럴수가! 세상에 이런 일이… 요지경 세상 속으로~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한인여성들 “맹장수술 4천만원 괴담 아니다” (0) | 2011.11.18 |
---|---|
길바닥에 목숨건 인생… 하루 15시간 달려도 월 130만원” (0) | 2011.11.18 |
"호주 외국인 매춘여성 중 한국인 17%" 우리정부, 대사 급파… 단속 요청키로 (0) | 2011.11.14 |
英 BBC방송, '자살공화국' 한국 심층 보도 (0) | 2011.11.09 |
성질급한 한국 사람 BEST 10 (0) | 201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