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가난한 고령가구가 전체 고령은퇴가구의 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정민 연구원이 21일 낸 `은퇴빈곤층의 추정과 5대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금융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은퇴빈곤층은 전체 고령은퇴가구(264만3천가구)의 38.4%에 달하는 101만5천가구인 것으로 추산했다.
은퇴빈곤층이란 은퇴 후 소득 인정액이 최소생활비보다 적은 가구를 의미한다.
반면 은퇴 후 소득 인정액이 적정생활비보다 많은 은퇴부유층은 3.2%인 8만4천가구에 불과했다.
또 단독가구 중 56.6%가 은퇴 빈곤층에 속했고, 부유층은 1.2%에 그쳤다.
은퇴빈곤층의 자산 대부분은 거주 관련 자산에 묶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빈곤층의 평균 자산 7천만원 중 거주 주택과 전·월세 보증금이 76.7%를 차지, 처분 가능한 기타 자산이 거의 없었다. 은퇴부유층은 평균 자산 15억7천만원 가운데 거주 관련 자산이 47.5%였다.
주택을 소유하고도 빈곤층으로 분류되는 가구는 전체 은퇴빈곤층의 절반이 넘는 51.7%를 기록했다.
정 연구원은 또 은퇴빈곤층은 금융자산이 매우 빈약하고 그중 개인적으로 준비한 노후자금(사적연금)은 평균 61만원에 불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은퇴부유층의 사적연금은 2천200만원으로 은퇴빈곤층보다 36배 많았다.
정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은퇴빈곤층을 줄이기 위해 주택연금과 즉시연금 가입을 활성화하고 복지제도 사각지대 해소와 은퇴 후의 재취업 기회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장기적으로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는 베이비붐 세대와 그 이후 세대들이 은퇴빈곤층이 되지 않도록 사적연금 활성화와 정년연장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eun@yna.co.kr
'▒ 은퇴와귀농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가오는 노인시대 복지대책 문제 없나](下)기초노령연금 대상자 축소 논란 (0) | 2011.08.22 |
---|---|
두 딸 등록금 가족회의… 한 중산층 가장의 한숨 (0) | 2011.08.22 |
급증하는 독신·독거노인에 '1인 가구'가 대세 (0) | 2011.08.16 |
국민 43% "100세 시대 축복 아니다" (0) | 2011.08.14 |
백수아들에…며느리살이에…명퇴 남편에…‘찌드는 중년’ 아줌마는 괴롭다 (0) | 201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