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자료실 ▒

귀농 컨설팅? / 미네르바 2008.04.07

천하한량 2008. 11. 24. 20:09

귀농 컨설팅?

 

3천평에 벼농사나 밭 작물을 심어서는 절대 안 됨.....수익성이 나지 않음...3천평 정도라면 보통 돈 좀 있으면 하우스를 하는게 보통이지만 이건 가족들 4.5명이 있을 때가 가능한 애기고 귀농후 3년 정도 후면 인근농협에서 대출이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그리고 혼자서 자본 없이 할 생각이라면 크게 작황에 지장 없는 감자나 고구나...혹은 김장용 배추 심으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하지만 그 정네 인근에서는 뭘 재배 하는지 부터 돌면서 조사해 보셔야 합니다...지역마나 토양 특성이 틀리기 때문에 지역 고유의 특산품이 있습니다.....일반 작물은 절대 심지 마십시요...3년 안에 빚잔치 할 공산이 큼니다.. 

 

인근 토지를 사용하려면 토지 소유권과 별도로 농지 사용만 1년에서 3년까지 사용하는 법적인 방법이 있습니다.....즉...토지 소유권자가 투기 목적으로만 보유하고 농사를 짓지 않는 땅인 경우 소유권 당사자는 땅의 소유권만을 일반 거래 방식으로 타인에게 거래를 하지만 토지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3년 정도 임대 해서 쓰는 방식으로 계약상 임대 기간이 끝나면 갱신 하는 방식 방식으로 유지 되는 방식이 있습니다.....갑자기 생각이 안 나는데 법률 상담을 한 번 받아 보셔서 제3자에 의한 타인 농지 사용 임대 대여 가능 여부라는 걸로 물어 보시면 정확한 조건과 계약상의 관련 부문을 자문해 줄 겁니다..

 

요즘에 하는 방식은 내려 가신 분들이 소규모로 하다가 인근 경작지를 매입 하는 방식.......이런식으로 5천평에서 최대 10배까지 불린 사람도 있습니다...물론 동일 경작지니까 가능한 애기죠....일단 그 동네의 인구 분포상 고령 인구가 많은 관계로 인근 경작지를 통합 시킨후에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사를 짓는 겁니다....확 뿌려서 한 몫 잡는......제 친척은 이렇게 해서 연 수익 7억입니다....이렇게 하기까지 12년을 투자했습니다...이제 본전 뽑는거죠.... 

 

장기 계획으로 플랜을 말씀 드리자면 일단 시장 조사를 해야 합니다..우선 파악해야 할 것이 그 동네나 지역의 지도를 구해서 토지 등기를 떼거나 소유권이 외지인인지 현지인인지 파악해서 적생과 파란색으로 구역 표시를 해 가면서 라인을 그립니다..그럼 한 번에 파악이 됩니다.....그 다음에는 현지인 토지 소유라면 일단 동네 분들의 연령 분포를 파악하고 친분 관계를 쌓아 갑니다.....그래서 잘 아는 관계를 유지 하고 고령자라면 더더욱 좋습니다..

 

그 다음에 소규모 경작지에서 작황에 기후 조건이 영향을 안 받는 고급 작물을 기른 후에 수익이 나는 대로 땅을 매입할 준비를 합니다....무조건 농사만 짓는다는게 아니라 부동산이라는 방식으로 접근을 하는 겁니다.....그런식으로 장기 플랜에 돌입해서 꾸준히 매입하면서 일정 부분 규모를 늘려 간 다음에 대규모로 재배가 가능하거나 기업 고정 출하가 가능한 상품이나 아니면 아니면 지역 경매소나 진흥청 같은데 얼굴 들이밀면서 대규모 도매상이나 수출 거래선 하는 애들을 잡는 겁니다....그런식으로 장기 플랜 잡아 나가시면 최소한 농사가 일이년 작황이 안 좋아도 부동산으로 대출로 뽑아 쓰면서 다른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이라도 기계 같은 정비 기술은 내려 가지 전에 시간을 들여서 자세히 배워 둬야 합니다..........내려 가서 콤바인이나 기계류를 써야 할 때가 많은데 이 경우 수리비가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질 뿐더러 여기에 소질이 있으면 농사를 지으면서 저녁 떄는 부업으로 공업사 같은걸 하면서 돈을 벌 수 있습니다......잘 하면 정말 길바닥에 널려 빠진게 돈 버는 겁니다...................